엘 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 |
Selección de fútbol de El Salvador | |
정식명칭 | Selección de fútbol de El Salvador[1] |
FIFA 코드 | SLV |
협회 | 엘 살바도르 축구 연맹 (FESFUT)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지역연맹 |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UNCAF) |
감독 | 알베르트 로카 (Albert Roca) |
주장 | 안드레스 플로레스 (Andres Flores) |
최다출전자 | 알프레도 파체코 (Alfredo Pacheco) 87경기 |
최다득점자 | 라울 디아스 아르세 (Raúl Díaz Arce) 39골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쿠스카틀란 (Estadio Cuscatlán)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과테말라 (3:3 무),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 (1921년 9월 14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앵귈라 (12:0 승), 엘 살바도르 산살바도르 (2008년 2월 6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헝가리 (1:10 패), 스페인 엘체 (1982년 6월 15일) |
별칭 | La Selecta (정예병), La Azul y Blanco (파랑-흰색) |
월드컵 | 출전 2회 (1970, 1982) |
골드컵 | 출전 14회, 준우승 2회 (1963, 1981) |
올림픽 | 출전 1회 (1968)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파랑 | 하양 |
하의 | 파랑 | 하양 |
양말 | 파랑 | 하양 |
1 개요
감독은 알베르트 로카이다. 정예병(La Select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70년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온두라스와 대결에서 서로 감정이 격해지자, 최종 경기에서 엘 살바도르가 온두라스를 이긴 뒤 축구 전쟁을 한 바 있다. 1970년, 1982년 월드컵 본선에 출전했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1970 멕시코 월드컵에선 벨기에에게 0-3,소련에게 0-2,멕시코에게 0-4로 털렸고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는 헝가리에게 무려 1-10으로 패하면서 월드컵 역사상 최다 실점을 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11골이 나오면서 역대 월드컵 2번째로 많은 골이 터진 경기(가장 골이 많이 터진 경기는 1954 스위스 월드컵 8강전에서 오스트리아가 스위스를 7-5로 이기면서 터진 12골) 헝가리에게는 이렇게 대패했지만 조 1위를 차지한 벨기에에게 0-1,아르헨티나에게 0-2로 졌다. 여담으로 이 대회에서 멕시코에게 프리킥을 도둑맞았으며 이것은 최초로 도둑맞은 골이라는 불명예를 안겨주었다.
국제 성적은 1981년 골드컵 준우승(우승이 공교롭게 온두라스)이후로 내세울 게 없다. 이웃 라이벌 온두라스가 2000년대 와서 골드컵 4강까지 3번 진출했던 거와 대조적. 월드컵은 1970년, 1982년 2회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3패로 탈락하고 말았다. 두 대회에서 엘 살바도르는 단 1골을 넣는데 그쳤는데, 그 유일한 골은 루이스 라미레즈라는 선수가 가지고 있다. 그 이후 월드컵에 나가지 못하고 있어 몇년이 지나야 월드컵 2호골이 나올지 알 수 없다.
2014 월드컵 3차 예선에선 멕시코와 코스타 리카,가이아나와 같은 조로 편성되어 2위 자리를 두고 코스타 리카와 경쟁을 벌일 듯 싶었으나 1승 2무 3패 부진 속에 일찌감치 탈락했다.
피파랭킹은 2013년 7월 현재 86위.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69위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 우루과이 월드컵 | 불참 | ||||||||
1934 이탈리아 월드컵 | 불참 | ||||||||
1938 프랑스 월드컵 | 기권 | ||||||||
1950 브라질 월드컵 | 불참 | ||||||||
1954 스위스 월드컵 | 불참 | ||||||||
1958 스웨덴 월드컵 | 불참 | ||||||||
1962 칠레 월드컵 | 불참 | ||||||||
1966 잉글랜드 월드컵 | 불참 | ||||||||
1970 멕시코 월드컵 | 조별리그[2] | 16위 | 0 | 3 | 0 | 0 | 3 | 0 | 9 |
1974 서독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82 스페인 월드컵 | 조별리그[3] | 24위 | 0 | 3 | 0 | 0 | 3 | 1 | 13 |
1986 멕시코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4 미국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8 프랑스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02 한일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06 독일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0 남아공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4 브라질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8 러시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22 카타르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2회 | 2/20[4] | 0 | 6 | 0 | 0 | 6 | 1 | 22 |
2.2 골드컵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엘 살바도르 1963 | 결승리그[5] | 준우승 | 7 | 3 | 3 | 1 | 17 | 11 |
과테말라 1965 | 결선리그[6] | 4위 | 5 | 2 | 1 | 2 | 7 | 9 |
온두라스 1967 | 불참 | |||||||
코스타 리카 1969 | 출전 금지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기권 | |||||||
아이티 1973 | 예선 탈락 | |||||||
멕시코 1977 | 결선리그[7] | 3위 | 5 | 2 | 1 | 2 | 8 | 9 |
온두라스 1981 | 결선리그[8] | 준우승 | 5 | 2 | 2 | 1 | 2 | 1 |
개최국 없음 1985 | 조별리그[9] | 4위 | 4 | 2 | 1 | 1 | 7 | 2 |
개최국 없음 1989 | 조별리그 | 5위 | 6 | 0 | 2 | 4 | 2 | 8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예선 탈락 | |||||||
미국 1996 | 조별리그 | 6위 | 2 | 1 | 0 | 1 | 3 | 4 |
미국 1998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0 | 6 |
미국 2000 | 예선 탈락 | |||||||
미국 2002 | 8강 | 8위 | 3 | 1 | 0 | 2 | 1 | 5 |
미국/멕시코 2003 | 8강 | 6위 | 3 | 1 | 0 | 2 | 3 | 7 |
미국 2005 | 예선 탈락 | |||||||
미국 2007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2 | 6 |
미국 2009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2 | 3 |
미국 2011 | 8강 | 7위 | 4 | 1 | 2 | 1 | 8 | 8 |
미국 2013 | 8강 | 7위 | 4 | 1 | 1 | 2 | 4 | 8 |
미국/캐나다 2015 | 조별리그 | 9위 | 3 | 0 | 2 | 1 | 1 | 2 |
합계 | 15회 진출(15/23) | 준우승(2회) | 60 | 18 | 16 | 26 | 67 | 89 |
- ↑ 스페인어
- ↑ 홈팀 멕시코와 같은 조였다. 둘 다 북중미 국가지만 이 땐 대륙안배의 개념이 없었다. 지역예선에서 온두라스와 그 유명한 축구전쟁을 치르고 올라온 대회.
- ↑ 헝가리에게 1:10으로 대패해, 월드컵 사상 최다 실점을 기록한 불명예를 안고 있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엘 살바도르의 유일한 월드컵 득점이 나왔다.
- ↑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 ↑ 이 대회는 4개국이 풀리그로 결승전을 치뤘던 대회였다.
- ↑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 ↑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 ↑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 ↑ 최종 4위였지만 결승 리그 티켓은 3장이었고 나머지는 전부 조별리그 탈락했다. 조별리그 탈락국 중 순위가 가장 높은 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