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우간다 계획

1 개요

British Uganda Programme

20세기영국유대인들에게 제안한 아프리카 유대인 국가 수립 계획.

2 전개 과정

발단은 러시아반유대주의에서 시작되었다. 러시아에서는 시온 의정서 사건으로 반유대주의가 극에 달하고 유대인들에 대한 탄압이 이어졌다. 견디다 못한 유대인들은 러시아를 빠져나와 유럽 각국과 미국으로 이주했는데 영국으로도 많은 러시아 거주 유대인들이 몰려왔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당시 영국 식민지 장관이던 조지프 체임벌린이 시오니즘의 지도자였던 테오도르 헤르츨에게 영국으로 몰려드는 러시아 거주 유대인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영국령 우간다에 있는 마우 고원의 약 13,000제곱킬로미터의 땅을 줄 테니 그곳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게 어떠냐고 제안했다.[1]

테오도르 헤르츨은 1903년 바젤에서 열린 시오니즘 총회에 이 문제를 안건으로 올렸고 회의에서는 이 안건을 놓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당시 이미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이주가 진행 중이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굳이 영국의 제안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느냐는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팔레스타인이 본질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 있는 탓에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재건하는 게 요원하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았다. 그 과정에서 러시아 유대인 대표가 강력하게 반발하며 퇴장하는 일도 있었지만 결국 투표 결과 총원 295명 중 177명의 찬성으로 이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

1904년, 시오니즘 총회는 세 명의 대표를 영국이 제안한 마우 고원으로 보내서 현지 사정을 파악하게 했다. 마우 고원은 적도 바로 아래 지점이긴 했지만 해발고도가 높은 편이라 유럽인들이 거주하기에는 온화한 기후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사자 같은 맹수들이 많고 현지 원주민인 마사이족 등이 유대인들의 이주를 반길 것인가에 대해 대표들은 의구심을 가졌다.

결국 내부 논의를 거쳐 1905년 시오니즘 총회는 이 제안을 정중하게 거절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그러나 이즈레일 장윌 같은 인물들은 "팔레스타인 땅이 대수냐! 어디든 유대인 국가 세우면 그만이지!"라고 격하게 반발하면서 아시아아프리카 어디든 적당한 곳에 유대인 국가를 세우자고 주장하며 '유대 영토주의 협회'를 조직하고 세계 각지에 유대인 국가 수립을 모색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윈스턴 처칠홀로코스트를 피해 망명한 유대인들의 피난처로 영국령 우간다를 다시 제시했지만 시오니즘 총회는 "팔레스타인 유대인 이주 제한 철폐가 중하지 우간다가 대수냐!"라면서 거부했다.

3 실현됐다면?

이스라엘은 아프리카에 생겨났을 것이다. 현재의 이스라엘보다 더 크고 강력한 국가가 되었을 가능성과 반대로 국제사회의 무관심 속에 현지인들과 싸우면서 현재의 이스라엘보다 더 상황이 나빠졌을 거라는 관측이 엇갈린다. 어쨌든 일단 이 계획이 실현됐다면 아프리카 대륙 내부의 국제관계는 자연스럽게 아프리카에 건국된 유대인 국가에 가까운 지역을 중심으로 부유한 지역과 빈곤한 지역이 갈리는 형태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아니면 로디지아식 전쟁이 20년 앞당겨졌을 수도 있다.

우선 낙관론으로는 유대 자본의 적극적인 지원과 미국의 원조 하에 우간다에 만들어진 유대인 국가가 현대 무기를 갖추고 소수의 인력으로도 다수의 아프리카인들과 맞설 수 있는 역량을 갖추면서 아프리카 지역의 중심부로 급부상했을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아프리카 지역에 국가를 만든 김에 신생 유대인 국가가 아프리카 내부 분쟁에 대한 경찰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즉, 현재 이스라엘보다 더 강력히 주변부에 수시로 기계화된 군대를 파병하여 질서를 잡았으리라는 것이다. 아프리카의 개깡패 노릇.

반대로 비관론으로는 서방의 무관심 속에 유대인들이 우간다 지역에서 제대로 된 지배 체제를 확립하지 못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국가를 만들었으리라는 것이다. 물론 아프리카에 세워진 유대인 국가의 경우에는 국민소득이야 주변국들에 비할 바가 아니겠지만, 현재의 이스라엘처럼 외부 원조를 적극 받지도 못하고 그저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수준의 국가를 유지하면서 불안정한 지위에 놓였으리라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라도 아프리카인들의 무장 수준이 형편없기에 지배 체제는 일단 유지될 것이나 미래는 암울하다.

4 여담

꽤나 흥미로운 대체역사물의 떡밥이 될 것 같지만 이것을 다룬 대체역사물은 없다. 대신에 미국 알래스카 주에 있는 싯카라는 도시에 유대인 정착촌이 세워진다는 내용의 대체역사소설로 마이클 셰이본의 유대인 경찰연합이 있다.

묘하게도 이 계획은 나치 독일에게도 영감을 줬는지 유대인들을 마다가스카르 섬으로 옮기는 계획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추진되었지만, 강력한 영국 해군의 포위망을 뚫고 마다가스카르 섬까지 갈 수 있을 것 같지가 못해서 계획은 폐기되었다. 대신에 나치는 유대인들을 가스실로 보냈다.

이 계획의 문제점은 아프리카나 마다가스카르 섬이 그 기후로 보았을 때, 당시의 유럽에서 살던 사람은 그곳에 가서 살라고 하면 적응 못해 죽기 딱 좋은 곳이었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원래 거기서 살던 마다가스카르나 아프리카 원주민은 그럼 어디로 가라는 건지 대책이 없었다. 어차피 유대인과 아프리카인을 사람 취급도 안하던 제국주의 열강들과 나치였으니 그들에게 이 계획은 '열등인종의 청소'나 다름없는 개념의 계획이었으나, 일단 이 계획은 유럽에서 흔히 보이는 "이교도"와 "사회 부적응"를 이용한 식민지 건설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러니 만약 계획이 실현되어 유대인들이 그곳에서 살아남았더라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원주민들이 되려 소외되어 마다가스카르 및 아프리카가 팔레스타인 꼴이 났을 것이다.

기묘하게도 일본제국도 유대인들을 만주로 이주시키는 이른바 '하돈 계획'이란 것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부유한 유대인들을 만주로 이주시켜 만주를 부흥시키려던 이 계획도 원래의 목표이던 부유한 유대인은 안 오고 빈한한 소수의 유대인만 이주해오는 바람에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왠지 진짜 되었다면 영토분쟁은 중국-러시아와의 대결 대신 북한이나 한국, 만주에 세워진 이스라엘의 대결이 되었을 것 같다 동북공정 유대인 버전이 나왔을 수도 있다
  1. 해당 지역은 우간다케냐에 걸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