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디지아

밀덕들의 꿈의 나라

로디지아 공화국
Republic of Rhodesia
국기국장
공용어영어
수도솔즈베리
존속기간1965.11.11 ~ 1979.06.01
인구5,469,000명
(1960년 추계치)
인구 구성전체 : 5,469,000명
백인 : 299,000명 (5.47%)[1]
흑인 : 5,170,000명
면적390,580 km²(1978)
정치체제입헌군주제(1965–70; 영국령)
의원내각제(1970–79)
통화로디지아 파운드(1965-70)
로디지아 달러(1970-79)
멸망 이후짐바브웨-로디지아 공화국(1979.06.01 ~ 12.12)
짐바브웨 공화국(1980.04.18 ~ 현재)

로디지아(Rhodesia)는 짐바브웨를 과거에 불렀던 명칭이면서, 1965년부터 1979년에 걸쳐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던 백인 정권이 사용한 국명이다.

1 역사

1.1 1850년대 ~ 1920년대

1273911479.jpg
아프리카 전부 다 내꺼다요를 외치고 있는 세실 로즈

1850년 이전의 역사는 짐바브웨 역사 항목 참고.

1850년대에 탐험가 데이비드 리빙스턴에 의해 해당 지역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후, 케이프 식민지의 총리였던 세실 로즈보어인 식민지 국가인 트란스발과 오렌지 자유국에 대한 압력과 함께, 북방 지역의 개척을 목적으로 1889년에 대영제국 남아프리카 회사(BSAC)을 설립. 이듬해에는 이곳에 위치했던 마타벨레랜드 왕국과 마쇼나랜드 왕국으로부터 광산 개발권을 획득하여 광산개발을 시작했다. 그러면서 야금야금 두 국가를 집어 삼켜 보호령으로 만들고는 끝내 영국령 식민지로 병합시킨다. 식민지화가 되는 과정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무력 투쟁이 있었지만, 영국군에 의하여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
한편 1890년에는 북쪽으로 진출하여 현재의 잠비아 남부에 해당하는 파로체랜드 왕국의 광산개발권을 획득하고 이 지역도 영국령 식민지로 병합시킨다.

1898년 세실 로즈는 남아프리카회사 이름으로 병합한 이들 지역에 대해서, 자신의 이름을 따서 "로디지아 Rhodesia(로즈의 지역)"라고 명명한다. 이에 따라 지금의 잠비아는 북로디지아가 되었고, 짐바브웨는 남로디지아가 되었다.

한편 말라위도 영국령 식민지가 되면서, 영국에서는 잠비아, 짐바브웨, 말라위 지역을 통틀어 '영국령 중앙아프리카'라고 불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초의 목적이었던 광산 개발은 지체되어 BSAC은 플랜테이션 위주의 식민지 방침으로 전환. 흑인 원주민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남로디지아(현재의 짐바브웨)를 중심으로 백인 식민지화가 진행된다. 1923년에는 백인만의 주민투표로 남로디지아 자치정부가 수립된다. 이듬해 북로디지아(현재의 잠비아)는 영국의 직할 식민지가되었다.

1.2 1950년대 ~ 로디지아-니아살랜드 연방 해체

북로디지아 개발이 진행되면서 남로디지아 출신 백인들이 남북 로디지아에 니아살랜드(Nyasaland; 현재의 말라위)을 포함한 합병을 요구한다. 이에, 1953년에 "로디지아-니아살랜드 연방"이라는 자치식민지국가간의 연방이 성립했다. 당시 남로디지아는 기술과 자본이 충분하였고, 니아살랜드에는 값싼 노동력이 풍부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로디지아 일대를 개발할 계획이었다.
한편 이 시기 제2차 세계대전이후 식민지 지역을 강타했던 독립의 열풍과 토착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하여 나름 흑인에 대해 이전보다 다소 유화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여전히 흑인들의 정치참여는 허락되지 않았고,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착취당하고 있었기에 투쟁이 지속적으로 벌여졌다. 결국 흑인들의 독립투쟁 끝에 1963년에는 연방은 해체되고, 이듬해인 1964년에는 북로디지아와 니아살랜드가 각각 잠비아와 말라위로 독립한다.

1.3 로디지아 공화국 ~ 짐바브웨-로디지아 공화국

백인 지배가 강했던 남로디지아에서 흑인의 저항 운동이 격화되면서 1961년, 소련의 지원으로 "짐바브웨 아프리카인민동맹(ZAPU)"이, 1963년에는 중국의 지원으로 "짐바브웨 아프리카민족동맹(ZANU)"이 각각 결성된다.[2] 한편 이에 대항하여, 백인 농장주를 중심으로 "로디지아 전선"이 결성되어 1964년에는 로디지아 전선을 이끌었던 이안 스미스가 남로디지아 식민지 정부 총리에 취임하여 흑인의 저항 운동을 철저하게 탄압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흑인들은 전국적인 게릴라전을 전개했다.

당시 영국 노동당정부는 국제사회의 압력과 식민지 토착민의 독립요구로 인하여 식민지들을 독립시키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북로디지아와 니아살랜드가 독립하였다. 남로디지아에도 흑인을 포함한 참정권을 보장하는 형태의 독립을 요구했으나, 스미스 정권(백인 정권)은 이를 거부했다. 백인인구가 남아공의 1/10에도 못미치고 인구비율도 남아공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주제에[3] 엄청난 패기 곧이어, 1965년 11월 11일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여담이지만 독립을 선포한 시간이 영국에서 1차대전 전몰자를 위한 추모시각이었는데, 이는 당시 로디지아 독립을 선포한 이안 스미스가 의도한 것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우리는 니네 1차대전 싸울때 도와줬는데 이딴 식으로 배신 때릴거냐?' 라는 뜻이다.

영국은 당연히 독립 행동에 대해서 불법행위라고 분노했다. 하지만 그에 따른 제재는 실질적이기보다는 솜방망이에 가까웠다. 한편 UN 차원에서 이를 비난하고 1966년에 부분 경제제재, 1968년에는 전면적 경제제재를 실행했지만, 로디지아정부는 이를 무시했다. 그리고 같은 인종 차별 정책을 취하고 있었던 남아공과 포르투갈령이었던 모잠비크에서 물자가 수입되어 거의 효과가 없었다.

한편 로디지아 정부는 백인 지배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반 인종주의적 성격과 다수결의 원칙이 담긴 1961년 헌법과 1965년 헌법 개정을 추진한다.
그리고 1969년 신헌법 초안을 국민 투표를 통하여 유권자의 73% 지지도를 얻는데 성공한다. 물론 유권자는 전국민의 5.47%인 백인 역사를 역행하는 헌법개정 그 후 의회에 헌법 개정이 의결되어 1970년 3월 2일, 로디지아는 공화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흑인 측의 게릴라 전선도 격렬해졌다. 로디지아 정부측은 포르투갈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사 원조와 더불어 용병을 적극적으로 고용하여 흑인 게릴라와의 내전에 돌입한다.(로디지아 분쟁)
도심에서는 흑인 폭동이 빈발하여 종종 동원령이 발령되었고, 1975년 모잠비크가 독립함으로써 흑인 게릴라에 가담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 때문에 당초 선전하던 로디지아군과 경제는 점차 피폐해져갔다.

결국 미국의 중재로, 1979년에는 국명을 짐바브웨-로디지아로 개칭하여 흑인의 참정권을 인정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각료는 대다수 백인이 관여하고 군인사 또한 백인이 주체가 되는 등, 백인 기득권이 보장된 상태였기 때문에 흑인의 저항 운동은 격화된다. 눈가리고 아웅
이에 따라 같은 해 8월에 정부와 반정부 게릴라 사이에 체결된 "랭커스터 하우스 제헌협정"을 통해 새로운 헌법을 제정. 일단 영국령으로 복원 한 후에 1980년에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공식적으로 독립하였다.

2 트리비아

  • 만화나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전 세계에서 모은 전설적인 용병들로 강한 군대를 건설'하는 로망을 실현시킨 로디지아군이 유명하다.
  • 짐바브웨로 독립하면서, 총선에 이기게 되어 권력을 승계받은 게릴라 무장지도자는 바로 로버트 무가베이다. 또다른 지옥
  • 로디지아국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인종주의 정책을 밀어붙힌 이안 스미스짐바브웨가 성립되고나서도 1986년까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면서 백인의 권익을 주장했다. 87년도 이후 은퇴하여 농장으로 낙향한 와중에도, 로버트 무가베의 정적으로 대립하였다. 이후, 2007년 11월 20일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향년 88세. 악인은 오래산다.
  • 이곳에서 유래해서 사자 사냥에 쓰려고 만들어진 견종이 로디지안 리지백이다.
  •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의 백인 용병 대니 아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역)이 이곳 출신이다.
  1. 참고로 아파르트헤이트를 시행했을 당시에 남아공 백인 인구비율이 최소 15%에서 최대 22%는 되었다. 아무리 198-90년대에 백인인구가 80만씩이나 빠져나가면서 비율이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하지만 현대도 백인인구비율은 당대의 로디지아보다 높다.
  2. 이 시기 소련과 중국간의 대립이 심각하였고, 이들은 제3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영향력 확대에 열을 올렸다.
  3. 참고로 남아공의 백인인구비율이 매년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이기는 하나, 2010년대 들어서도 여전히 총 인구의 8%대는 유지하고 총 인구수도 460만 정도는 기록하며, 그나마도 이 정도도 줄어든 수치로 1980-90년대에 백인 인구 상당수가 흑인의 보복을 두려워해서 먼저 빠져나간 영향이고, 그 이전의 아파르트헤이트가 절정에 달했을시기에는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대의 두배는 넘었다.(백인들 입장에선 다행히도 대대적인 보복같은건 일어나지 않았지만) 이때의 백인 인구의 유출이 없었으면 현재 남아공의 백인인구가 600만은 거뜬히 넘었을것이라는 중론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짐바브웨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