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observer
감시자라는 뜻의 영어 단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오브저버'가 맞지만, 오래 널리 쓰인 단어는 예외로 두는 원칙에 따라 '옵서버'가 표준어이다.
2 스타크래프트 프로토스의 유닛
관측선 참조.
3 회의 따위에서 특별히 출석이 허용된 사람
발언권은 있으나 의결권이나 발의권이 없어 정식 구성원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참관인’으로 순화 되었다.
4 게임 내의 관전자
게임연출가라고도 불리며,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아직 옵저버 기능이 도입되지 않아, 유닛 없이도 게임 진행을 볼 수 있도록 유즈맵에서 수동으로 트리거 세팅을 해야 관전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옵저버맵이 따로 있다. 옵저버맵의 옵저버 유저는 아무 유닛도 없는 대신 모든 플레이어의 시야를 공유하게 된다. 즉, 그냥 보여주기만 하는 것.[1]
이 방법이 나오기 전까지, 스타 중계를 할 때는 테란을 선택한 후 커맨드 센터를 띄워 맵 구석에 놓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 때 남은 SCV는 서로 강제공격시켜 없앴는데, 운이 좋을 땐 동시에 터지는 모습을 볼 수도 있었다. 99' PKO, 즉 초회 스타리그 대회를 봐도 옵저버 세팅은 존재했는데, 다만 이 방식을 다른 방송사에서 몰라서 이렇게 플레이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한때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진행했던 iTV의 경우도 리그에서 커맨드를 이용한 방법을 써먹었다.[2] [3]
이후에 나온 다른 게임에서는 옵저버 기능이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
방송사의 옵저버는 따로 담당자를 두어서 하게 되는데, 과거 온게임넷의 김희제가 안좋은 의미로 이름을 떨쳤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저그가 열심히 때려박으면 그것만 보여준다. 당연히 해설진은 아~ 저그 유리해요~ 하는데 갑자기 병력이 끊긴다. 뒤늦게 저그의 본진을 찍으면 어느새 테란의 드랍쉽이 날아와서 건물을 다 부숴놓는 식. 시청자들은 당연히 뒷목을 잡았다. 물론 반전의 묘미라고 좋아했다는 이들도 있다 초기의 MBC게임이 매니아층에게 호평받은 점도 김희제와 비교해서 이우호 옵저버의 캐치가 매우 정확했기 때문. 이후 김희제는 다른 부서로 옮겼고 옵저버는 다른 사람이 담당한다. 직접 보자. 이거 못 막습니다. 병력이 어딨습니까?
프로게이머 출신이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박경락은 은퇴 이후 옵저버로 한동안 활동했는데, 특이하게 브루드 워 프로리그도 해봤고, 자유의 날개 GSL도 해본 케이스.
경기를 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동시 산발적으로 벌어지는 난전이나, 멀티 활성화 상황 등을 화면을 통해 보여주지 않으면 시청자와 중계진에게 혼란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AOS 장르에서는 더 중요한데 플레이어가 10명이다 보니, 최대 10개의 다른 일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초반에 적어도 라인 3개는 왔다갔다 하면서 보여줘야 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 북미 LCS 도중에는 해설이 틀린 해설을 하자 바로 옵저버가 해당 장소로 화면을 전환해서 확인시켜주는 등 해설자들을 도와주는 역할도 했다.
아무리 재미있는 게임이어도 옵저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청자들과 중계진은 벙찌게 되고, 경기의 평가를 깎아먹게 된다. 스타크래프트의 경우 2로 넘어갔음에도 아직도 옵저빙 문제가 심심지 않게 터지면서 시청자들의 혈압을 올리는 중이다. 온게임넷은 WCS 탈퇴 이전까지 개선의 여지를 보이지 못하고 해설진들의 적절한 조율에 의지해야 했으나, SPOTV의 경우 늦게나마 옵저버를 前 프로게이머 출신인 송재경으로 교체하면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OGN도 2016년을 맞아 롤챔스 옵저버를 前 프로게이머 출신인 모쿠자로 변경하였다.[4]
- 주요 게임연출가
5 영국 신문 가디언의 주말판
1. 에서 제목을 따온 듯. 일요일에는 가디언이 아니라 옵저버가 발행된다.
여담으로 UK 앱스토어에는 아이패드용 옵저버가 존재한다. The Guardian으로 검색하면 된다. 아이패드 잡지 중에서도 수준급의 인터페이스와 퀄리티를 자랑한다. 또한 사전 기능과 동영상 기능까지 제공하므로 여타 신문에 비해 고유의 장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가디언과 옵저버를 동시에 구독하거나 어느 하나만 구독할 수도 있다. 물론 동시구독이 훨씬 저렴하다.
6 켠김에 왕까지의 옵저버
켠김에 왕까지의 진주인공이자 인기인인[13] 허완욱씨.
여기서 허완욱씨는 옵저버 1호로 사실- ↑ 옵저버의 역할이 이정도면 되지 않냐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천만의 말씀. 보여주기만 한다는 것은 말그대로 실제 경기 중인 프로게이머의 시야만을 공유하는 것으로 상대편이 어떤 업그레이드 및 연구를 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질 못한다. 예를들어 히드라리스크 덴이 올라가 있는데 이게 속업을 하는건지 사업을 하는건지 아니면 러커 변태를 하는건지 사람들은 실제 게임에 반영되기 전까지는 모른다는 의미다. 한마디로 상대편 기지 정찰 가서 보는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이건 게임 관람에서 상당히 큰 요소인데, 이미 선수들의 전략을 모두 파악하고 있는 관전자 입장에서 각 선수들이 관전자만 알고 있는 것을 부족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히 캐치해서 운영을 하는 것에 전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 ↑ 당연하지만 당시 iTV의 경우 맵제작 기술도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 래더맵만 써서 경기를 진행했다.
- ↑ 실제로 랭킹전 중 옵저버의 커맨드 센터가 공격당하기도 했다. 다행히도 파괴되지는 않았다.
- ↑ 단, 모쿠자는 완전히 옵저버 역할을 수행하는것이 아닌, 옆에서 조언을 해주는 역할이라고 한다.
- ↑ 켠김에 왕까지, 스타행쇼 담당.
- ↑ 스타행쇼 시즌 3 담당.
- ↑ 2016년 GSL 시즌 1부터 담당.
- ↑ 윤정민 옵저버 퇴사 후, 2015년 4월부터 GSL 담당. 2016년 현재 군 입대중
- ↑ GSL 담당. 현재는 퇴사
- ↑ 글로벌 중계 담당. 現 스2 프로게임단 SBENU 감독.
- ↑ 2014년 3월 4일 부로 투입.
- ↑ 2014년 5월 13일 부로 투입.
- ↑ 버추어 테니스 2009편에서 G스타 관객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