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의 통화 | |||
유로 ( | 터키 리라 | ||
러시아 루블 | 벨라루스 루블 | 우크라이나 흐리브냐 (카르보바네츠) | |
루마니아 레우 | 불가리아 레프 | 몰도바 레우 |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1] |
조지아 라리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아르메니아 드람 | 나고르노 카라바흐 드람[2] |
목차
гривня(흐릐ː우냐)[3]
우크라이나의 통화로 ISO 4217코드는 UAH, 약칭은 hrn이다. 인플레는 통화바스켓제로 전환 후 3%대로 바뀌었는데도 다소 불안정한 편[4]이고, 보조단위로 코피이카(копійка)가 있다. 기호는 ₴로, 대략 S를 뒤집어[5]] 세로줄 2개를 넣은 형태. 복수형은 гривні(흐리우니), 흐리벤(гривень)이다. 전신은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2015년 10월 현재 환율은 53원/₴. 내수가 약한지 외환시장 영향을 지나치게 잘 받는 편이었는데, 근래에 들어 정치적 문제까지 겹치면서 무진장 떨어졌다. 최전성기인 2008년에는 250원도 돌파했었으나, 외환위기로 확 꺾여 150원까지 하락, 이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다가 크림반도 위기로 다시 반토막, 2016년에는 세토막이 나 버렸다. 어디까지 내려갈 지는 현재로선 미지수.
흐리브냐는 슬라브어 грива(흐리바)에서 파생한 단어로 "말갈기"[6]라는 의미인데, 이것도 산스크리트어로 "목"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첫 등장은 11세기 키예프 대공국에서 발행한 전혀 돈 같아 보이지 않는 마름모꼴 동전이다.
1 1차
1996년 9월 2일 출시되었으나 표기상으론 1992년판이라 되어있다. 당시의 불안정한 초인플레이션을 극복하고자 만든 단위인만큼 정확히 2주동안만 구권인 카르보바네츠과 교환해주었다. 교환비는 1:100,000 이며 당시 환율은 ₴1.76/USD
앞면에 들어가는 인물은 특정액면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국으로 치면 천원에 이황, 만원에 세종이라는 식.
1차 | 앞면 | 뒷면 | |
width=100% | ₴1 | 볼로디미르 벨리키[7] | 케르소네소스 사적지[8] |
width=100% | ₴2 | 현공(賢公) 야로슬라브 1세[9] | 키예프 성 소피아 대성당 |
width=100% | ₴5 | 보흐단 흐멜니츠키[10] | 수보티프의 동네교회 |
width=100% | ₴10 | 이반 마제파[11] | 키예프 페체르스카 대수도원[12] |
width=100% | ₴20 | 이반 프랑코[13] | 리비브 오페라 극장[14] |
2 2차
분명 공식적으로도 두번째 시리즈인게 확실한데도 1차 시리즈와 동시에 배포되었다. 단, ₴2~₴20는 이듬해 9월 1일에, 새 고액권인 ₴200는 2001년 8월 22일에 등장했다. 첫 등장 당시에는 상당한 고액권[15]라 쓰일일이 없었을까 싶었는데... 1997년 아시아발 외환위기[16]의 영향으로 가치가 삽시간에 대폭락을 하는 바람에 평범한 돈이 되어버렸다. 교체 직전인 2000년 ~ 2005년의 평균환율값은 대략 ₴5/USD.
2차 (전판승계) |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1 | ₴2 | ₴5 | ₴10 | ₴20 |
2차 (신규) | 앞면 | 뒷면 | |
width=100% | ₴50 | 뮈하일로 흐루쉬으시키[17] | 우크라이나 중앙의회당[18] |
width=100% | ₴100 | 타라스 셰우첸코[19] | 키예프 성 소피아 대성당 |
width=100% | ₴200 | 라리사 페트리우나 코사치 크위트카[20] | 루치크 성 |
3 3차 (현행권)
2003년 12월 1일 ₴20를 선두로 차츰 교체되어, 2006년에 현행권 전 종류가 완성되었다. 하지만 아시아 금융위기를 뒤이어 찾아온 2008년 9월 세계금융위기의 공격에 또다시 굴복, 정부가 나서서 물가상승률을 35%[21]로 잡겠다고 선언할 정도로 막장이 되어버렸다. 2009년 8월에는 2012년 현재 환율에 근접한 평균 ₴8/USD의 벽이 허물어졌다.
2014년 크림 위기로 인해 그렇찮아도 불안정하던 흐리브냐가 크게 붕괴되기 시작,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면서 ₴11/USD라인도 무너졌다. 러시아의 압박이 심하게 가해진 8월에는 ₴13까지도 돌파당했다. 그나마도 ₴14 라인을 용케 저지한 결과. 하지만 이후 전망은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현행 (전판승계) |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2 | ₴5 | ₴10 | ₴20 | ₴50 |
현행 (신규) | 앞면 | 뒷면 | |
width=100% | ₴1 | 전판과 동일 | 키예프 볼로디미르 요새 |
width=100% | ₴100 (2011) | 타라스 셰우첸코 젊은 시절 모습으로 변경 | 체르네차 성자의 언덕에서 류트같은 악기를 치는 코브자르[22]와 도우미 |
width=100% | ₴100 (2015) | 타라스 셰우첸코 (재탕) | 타라스 셰브첸코 국립대 (키예프 소재) |
width=100% | ₴200 | 라리사 페트리우나 코사치 크위트카 (2차와 동일) | 전판(2차)과 동일하나 옆에 새가 한마리 추가. |
width=100% | ₴500 | 흐리호리이 스코보로다[23] | 키예프 모힐라 국립대 |
- 동전은 1, 2, 5, 10, 25, 50코피이카 및 ₴1까지 해서 7종류이다. 다만 현지 거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터키 리라처럼 50코피이카가 주로 사용되며, 10코피이카 및 25코피이카가 보조통화로 활발히 쓰이지만 5코피이카 밑으로는 일단 쓰이긴 쓰여도 너무 가치가 낮아 땅에 떨어져 있어도 주워가는 이가 없을 정도의 취급이다(...) 심지어 1, 2코피이카는 모아다가 5나 10단위로 맞추지 않는 한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1 동전은 국가에서 발행중지를 시켜 보기가 많이 힘들다고 한다.
- ↑ 미승인국이다.
- ↑ 미승인국이다.
- ↑ '그리브냐'가 아니다! 물론 러시아어식으로 읽으면 '그리브냐'겠지만 우크라이나어로는 외래어 표기법 상'흐리브냐', 실제 발음상으로는 '흐릐우냐'가 맞다. 우크라이나어에서 /g/에 해당하는 문자는 'ґ'로, /h/발음이 나는 'г'와는 다르다.
- ↑ 2007년 12.8%, 2008년 22%에 비하면 낫긴 하다.
- ↑ 키릴 문자 Г의 필기체는 S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생겼다.
- ↑ 목덜미에서 등까지 길게 나 있는 털. 사람으로 치면 머리털같은 것.
- ↑ Володимир Великий, 블라디미르 1세. 키예프 시대의 대공으로, 동유럽에 그리스 정교를 수용하여 비잔틴 문화를 퍼트렸다.
- ↑ Χερσόνησος, 흑해 북쪽 연안 크리미아 반도에 자리한 고대 그리스의 식민도시.
- ↑ Ярослав Володимирович 이 대공의 문장이 현재 우크라이나의 국장이 되었을 정도로 중요한 인물이다.
- ↑ Богдан Зиновій Михайлович Хмельницький
- ↑ Іван Мазепа
- ↑ Києво-Печерська лавра, 세계문화유산이다.
- ↑ Іван Франко
- ↑ Львівський Державний академічний театр опери та балету імені Соломії Крушельницької, 리비브 역사지구에 자리하고 있다.
- ↑ 최고액권인 ₴100가 당시 환율로 약 6만원 가량이었다. 당시 한국물가로 6만원은 정육점에서 삼겹살 6kg정도는 사먹을 수 있었던 양이고, 라면 4~5박스(약 120개)는 거뜬히 살 수 있었다.
- ↑ 한국을 비롯한 동남아를 충공깽으로 몰아놓은 그것 맞다.
- ↑ Михайло Сергійович Грушевський
- ↑ Центральна Рада
- ↑ Тарас Григорович Шевченко
- ↑ Лариса Петрівна Косач-Квітка
- ↑ 이게 얼마나 심각한거냐면, 2012년 지금 모두가 "날이 갈수록 먹고살기 힘들다"를 외치는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아직 한 자리수대이다.
- ↑ 전통음악인 코즈바를 연주하는 우크라이나 음유시인
- ↑ Григорій Савич Сковород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