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교육

  • 한자: 委託敎育
  • 영어: commissioned education

1 개요

일정한 조직에서 외부의 기관이나 단체, 개인에게 조직의 구성원의 교육을 맡기는 것.

초중고 시절에는 위탁교육이라 할 만한 게 거의 없지만 굳이 찾자면 병영캠프수련회 등이 있다. 학원은 학교에서 맡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탁교육이라 보기 어렵다.

위탁교육이 주로 나타나는 곳은 기업과 공직사회 등 직업 관련이다. 신입연수를 외부기관[1]에 위탁하는 경우도 있고 주요 전문 직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외부위탁을 맡기거나 유학을 보내기도 한다.

2 군대

군인의 경우에는 장교가 위탁교육을 받을 수 있다. 부사관야간대학을 수강하는 것과 차이가 큰데 장교의 위탁교육은 주간, 즉 월급 다 받으면서 대학원에 가서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당연히 단기복무 장교한테는 안 시키고 장기복무가 결정된 군인에게 허락한다.

성적이 우수한 사관학교 출신자는 중위 달자마자 석사 위탁교육을 나가기도 한다. 박사 학위는 보통 소령 시절에 위탁을 나가는 경우가 많다. 대학교 도서관 등에서 참고자료를 신청하는 30대 남성의 학생증정복 차림이면 대체로 이런 경우. 보통 중령 이상까지 진급할 지휘관, 참모 자원은 아닌 자원[2] 이 위탁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전액 국비로 교육하는 거라서 국방부 입장에서는 가급적 오래 복무할 것이 확실시되는 자원에게 기회를 주려 하는 것.

또 일부 자원은 의대 위탁교육을 받아서 군의관이 되기도 한다. 이 쪽은 의사라는 직업의 포스가 포스다보니 사관학교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성실히 복무하며 평점도 좋은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만이 가능한데, 왠지 수능으로 의예과부터 뚫은 용자들에게는 질투의 대상인 것 같다.(...)

대부분의 경우 민간대학 위탁교육 기간은 의무복무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조종장교들은 조심하자. 까딱하면 대한항공 못간다.

참고로 병이나 부사관이 다른 군으로 위탁교육을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현 소속부대보다 위탁교육기관의 전문성이 더 뛰어나거나, 소속군에 그 병과 관련 교육기관이 아예 없을 경우 일어난다. 특전사가 해척교육을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받는다든지, 해병대 기갑, 포병, 헌병 등의 병과가 육군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다든지 하는 것이 좋은 예.
  1. 그래도 보통은 자회사거나 소속만 독립된 경우.
  2. 대체로 이런 경우는 교수사관으로 양성하려고 하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