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

1 개요

こんなこともあろうかと. 클리셰. 각종 매체에서 어떤 물건이 더 이상 힘을 못 쓰는 상황이 되었을 때 그걸 만든 과학자개발자들이 하는 마법의 말. 시기 자체는 정확하지 않아도 언젠가 곤란한 상황이 올 것을 미리 예측하고서 "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 XXX를 준비했다!" 같은 대사와 함께 숨겨진 능력이나 기능, 추가 장비 등등을 친절하게 소개해 준다. SF물, 특히 일본로봇, 그리고 위키러라면 너무도 익숙할 허세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종의 클리셰라고 할 수 있다.

2 상세

그야말로 유비무환의 정신이 빛나는 대사이며 위기에 몰린 주인공 일행을 구원해 주는 대사이기도 하지만, 이런 전개가 너무 남발되면 '그런 기능 있으면 미리 말하라고!!' 같은 반발 개그 네타를 불러 일으킬 수도 있으니 되도록 자제해야 할 대사. [1] 사실상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속성을 가진 대사라고 할 수 있다.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에 등장하는 사나다 시로가 이 패턴의 원조[2]로 알려져 있으며, 각종 2차 창작이나 패러디물에서 어김없이 사나다의 얼굴이 등장한다.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것이 기동전함 나데시코우리바타케 세이야로, 원작은 물론이고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등장하기만 하면 꼭 한 번 이상은 이 대사를 한다. 원작에서는 이 대사를 몇번씩 되풀이하며 '꼭 한번 말해보고 싶었다'며 흥분하는 장면도 있다.

진짜 원조를 굳이 대라고 한다면 토니 타케자키가 1991년부터 98년에 걸쳐 애프터눈에서 연재한 '키시와다 박사의 과학적 애정(岸和田博士の科学的愛情)'일 것이다. 한번 읽어보면 안다. 이 만화에서는 매편마다 한번은 반드시 이 대사가 나온다. 오직 이 대사 하나만 가지고 12권을 그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물론 일본어 위키를 찾아봐도 '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는 쓰여있다.) 작품 소개에도 분명히 나온다. 사실 이 작품을 소개하면서 이 대사가 안 나오면 그게 더 이상할 지경이다(...).

이후로 각종 서브컬처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응용되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포켓몬 라디오 쇼! 로켓단 비밀제국. 이 방송의 컨셉 자체가 나옹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 미리 준비해 놓은 기획서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는 전혀 다른 상황이다. "이런 일도 있을까봐"는 말 그대로 이런 일도 있을까봐 대책을 마련해 둔 경우이며,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는 해당 문서 보면 알겠지만 아무도 그 말을 듣고도 대책을 강구하지 않았다. 즉 전자는 행동, 후자는 말 뿐인 것.

2.1 걱정됐으면 처음부터 막았어야 했다?

이런 일이 있을 줄 알았다면 미리 그런 일을 막는 쪽으로 예산을 쓰는 게 담당자로써 현명하다는 주장도 있다. 왜 1차적인 범위에서 사건을 해결하려 하지 않고 2차적인 피해를 키우는가? 라는 것.

이는 시스템 설계(공학적이건 사회적이건)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비판으로, 예방을 아무리 철저히 해도 반드시 언젠가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다. 소방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AED(심폐소생용 기계), 낙하산, 데이터 백업 등 "이런 일이 있을까봐" 마련하는 장치에 비용을 들이지 않겠다고 "절대 불이 나지 않는 건물", "절대 펑크가 나지 않는 타이어", "절대로 심장마비가 생기지 않게 하는 약", "절대 고장나지 않는 비행기", "절대 고장나지 않는 컴퓨터" 같은 것을 만든다고 생각해 보자. 비용적 측면을 차처하더라도 애당초 가능할지조차 의문이다.(참고로 타이타닉의 별명이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 배"였다.)

때문에 사회적, 공학적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반드시 "이런 일도 있을 것이다"라는 전제 하에 예비/응급 장치를 마련해두어야 한다. 이는 크게 contingency(컨틴전시, 비상시 대책)와 redundancy(리던던시, 예비용 시스템)로 나뉘는데, 리던던시는 응급처치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는 것으로 하나의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그 기능을 곧바로 이어받아 수행할 예비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비행기나 우주선 등의 중요 시스템들(비행기의 경우 중요 시스템은 삼중 리던던시가 기본이다.), 인간의 기관계 중 일부(두뇌, 콩팥 등), 일부 컴퓨터 시스템(RAID 셋업) 등이 리던던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반면 컨틴전시는 하나의 시스템이 고장날 경우 이를 수리할 때까지 다른 시스템이 그 기능을 (부분적으로라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빠른 응급조치로 원래 시스템의 기능을 (부분적으로라도) 복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부분의 공학적, 사회적 시스템이 이런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대부분의 기계, 도시의 교통 및 전력공급 시스템, 행정부나 군대의 직권대행 체계, FEMA 등).

당연히 리던던시가 컨틴전시보다 바람직하지만 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 때문에 상술한 대로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리던던시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막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브레이크 케이블 파열 등) 응급처치가 불가능하며 사고가 인명과 직결되는 시스템인데도, 리던던시(예비 브레이크)가 없고 컨틴전시(안전벨트, 에어백, 크럼플 존 등)만 있다. 리던던시가 마련된 시스템은 응급처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비용이나 손실이 리던던시를 마련하는 비용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 리던던시의 유명한 사례로 JAXA하야부사에 장착된 이온엔진 세트가 있다. 4개의 이온엔진 세트는 2개의 조로 구분되어 상호간의 노즐과 이온발생기를 교차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혹시나 해서 만들었고, 제대로 테스트도 하지 못한 채 탑재해 쏘아보냈다. 이후 항행과 시료 채취중 온갖 사고와 고장을 겪으며 이온 엔진을 포함한 중요 기능들을 하나하나 상실당하는 와중에도 단 한번도 검증하지 않았던 회로가 훌륭하게 제몫을 하면서 이온엔진을 간신히 재점화시킨 덕분에 무사히 귀환할 수 있었다.

근년 개발되는 공학적 시스템 중 많은 수가 리던던시는 커녕 컨틴전시마저 마련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철저하게 자본주의의 논리, 즉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다. 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설계된 기계는 생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원가가 싸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신형 기계장치들(자동차, 스마트폰 등)은 성능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반면, 고장에 대한 대책이 (전통적인 시각으로 볼 때) 터무니없이 미흡한 경우가 많고 수리 비용도 비싸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종류는 트랜지스터 하나가 고장났을 뿐인데도 이 트랜지스터만 교체할 수가 없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화된 어셈블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거나 아예 기계를 새것으로 교환해주도록 되어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자본주의적 논리가 공학적 시스템 설계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시스템의 설계에도 적용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각 지역별 소방서가 담당하는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하지 않고 비용 효율적으로 설계할 경우, 한 지역의 소방서가 화재 진압을 위해 전원 출동중인데 그 지역에서 또 화재가 난다면 이를 진압하기 위해 인근 지역의 소방서에서 시간 내에 와줄수 없을 것이다.

3 창작물에서의 예시

  • 드래곤볼 - 나메크성인 : 『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 드래곤볼의 성능을 파워업 시켰지! 이제 한번에 여럿을 살릴 수 있어!』
  • 언더테일 - 알피스 : 주인공과 첫 만남에서 개조해 준 핸드폰이 이후 등장한 살인기계 메타톤과의 전투에서 큰 도움이 된다. 이 뿐만이 아니라 주인공이 여러 난관에 봉착했을 때 기술적으로[3] 큰 도움을 준다. 그런데...
  •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 사나다 시로 : 본인이 꺼낸 말은 아니지만 이 패턴을 널리 퍼트린 인물. 한두번도 아니고 여러번 답습하기로 유명한 컬트적인 캐릭터이다. 제작진도 99년도 극장판 DVD를 홍보할 때 사나다의 대사로 『이런 일이 있을 줄 알고 이 DVD를 준비해놨지.』라고 써먹을 정도.
  • 원피스 - 상디 : 에니에스 로비 전에서 정의의 문을 미리 닫아두어 해류를 발생시켜서 일당의 탈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원피스 - 트라팔가 로 : 펑크 해저드 편에서 미리 자신의 수갑을 해루석 수갑이 아닌 일반 수갑으로 바꿔치기해두어 독가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 키시와다 박사의 과학적 애정 - 키시와다 박사 : 사실상 본 대사의 원조. 그가 이 대사를 말하는 순간 악의 편은 파멸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뭐 사실 박사도 악의 편이지만
  1. 특히나 이런 전개는 작중 등장인물은 물론이고 독자들조차도 전혀 예상 못하는 말 그대로 갑툭튀인 경우가 대다수라서 이런 말이 나올만한 것.
  2. 정작 본인은 원작에서 저 대사를 한 적이 없다. 해당 문서 참조.
  3. 예를 들면 주인공이 가는 길을 가로막는 레이저를 해킹해서 끈다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