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이씨

1 개요

한국의 성씨. 김해 김씨 계열 성씨이다. 이름처럼 시조 묘소가 인천광역시에 있다. 고려 초기에는 인천이 '인주'로 불렸고, 고려 말기인 공양왕 초기에 경원부로 승격되었기에 이 성씨도 옛날에는 '인주', '경원' 이씨라고 불렸다고 한다. 고려 역사 초중기에 언급되는 외척 세력인 '인주 이씨','경원 이씨'가 이 가문 이야기 맞다.

2 유래

김해 김씨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 게 아니라, 수로왕의 왕비 허황옥의 성을 딴 김해 허씨에서 갈라져 나왔다. 원래 김해 허씨인 허기(許寄)라는 사람이 신라 시절에 사신으로 갔다가 안록산의 난이 터져서 귀국을 못했고, 당에 남아 있으면서 당현종을 호위한 공 덕에 난이 끝난 뒤에 현종이 그에게 자신의 성인 이씨 성을 내려줬다.

이 성을 원래 성씨인 허씨 앞에 붙이다가 허기의 후손인 허선문은 왕건에게 군량미를 바친 공로로 공암(현재의 양천)을 식읍으로 받아 양천 허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허선문의 동생인 허사문은 왕건의 딸과 결혼해 아들 둘을 낳았는데 큰아들 허즙은 태인 허씨의 시조가 되었고 둘째아들인 허도는 나중에 이허겸(李許謙)로 개명하고 이후로는 계속 이씨 성만을 썼기에 이허겸을 시조로 본다. 이 때문에 김해 김씨, 허씨 계열과는 동성동본으로 간주된다. 그래서 동성동본끼리 결혼을 못 하게 규정했던 때에는 김해 김씨, 허씨 계열과 통혼하지 않는 관습이 있었다.

3 역사

이 성씨의 시조인 이허겸부터 고려 초기의 권세가로 세력을 떨쳤고, 손자인 이자연 때부터는 본격적으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으며, 그의 고손자 이자겸 때는 극에 달했다. 그러다가 막장의 극에 달한 이자겸이 쫓겨나고 난 뒤에 몰락했고, 다른 인천 이씨 일가도 전라도 쪽으로 많이 건너가서 지금은 정작 인천에는 많이 없다고 한다. 현재는 대구광역시[1]경상남도[2], 전라남도쪽에 비교적 많이 사는 편.

이자겸 이후로 얼마나 가문이 몰락하였냐 하면, 고려 최고의 외척 문벌귀족세력이던 인천 이씨는 조선시대 때는 문과 급제자가 가문 전체를 통틀어서 아홉 명밖에 없었다.[3] 이정도면 그야말로 몰락 귀족의 처절한 말로.[4]

그런데 의외로, 이 집안에서 본격적으로 왕과 사돈관계를 맺기 시작한 이자연[5]은 당시 음서로 관직에 오른 것도 아니고, 과거 문과로 시험쳐서 관직에 들어서 최고위 관직인 문하시중까지 오른 실력파 인재였다. 3대가 지나면 강산이 변한다더니?

기타 주요 인물로는 고려 무신집권기 초기의 문학자로 파한집등을 저술한 한림원학사를 지낸 이인로, 고려말~ 조선초에 형조판서, 대사헌, 참찬의정부사를 지낸 공도공 이문화 등이 있다. 이문화는 세조정희왕후의 외조부이다.

조선의 명장 이징옥이 원래 인천 이씨였으나 그가 반역한 후에 그의 직계들은 처형을 피하기 위해 양산 이씨로 개명했고, 그래서 현재는 양산 이씨로 알려져 있다는 내용이 주간 동아 등을 통해 소개된 적이 있다. 관련 블로그 포스팅 # 허나 이징옥의 후손은 근대에 이르러 모두 인천 이씨로 환원하였고, 이징옥의 형인 이징석의 후손이 양산 이씨를 승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인에 인천 이씨 출신 유명 인물들과 집성촌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이 있기에 소개한다. #

4 현황

실제로 이제는 이씨 중에서도 꽤 듣보잡 성씨에 속해서 '인천 이씨'라고 하면 다들 "그런 성씨도 있었나?" 하는 반응. 가끔 역덕 정도나 알아본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 전국에 약 6만 8000명이 사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과거 화려하던 시절을 생각한다면 무척이나 적은 숫자. 김해 김씨가 그 조사에서 412만 5000명이 보고된 것과 비교한다면 더더욱 안습해진다.

하지만 그만큼 족보세탁으로 가문에 편입된 사람이 적다는 말도 된다. 이자겸 시대를 기점으로 너무 몰락한 바람에 조선 후기 이후에 시작된 족보세탁 바람에서 별 관심을 못 받은 양반가문으로 보인다. 아니, 애초에 조선시대 전체에서 문과급제가 9명밖에 안 된다면 양반이라고 하기도 좀 그렇다. 기록 등을 참고하면 조선 초기 때는 그래도 양반가문이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근대 때는 그냥 평민 가문이었다고 한다.

중시조인 이허겸의 묘려(墓閭)인 원인재가 인천 연수구 연수2동에 있다. 그 바로 옆에 있는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수인선 원인재역이 여기서 이름을 땄다.

  1. 대구 북구 연경동과 동서변지구에 인천 이씨 집성촌이 있었다. 현재 동서변동은 택지지구로 개발되었고, 연경동은 개발 준비 단계라 거진 초토화 됐으나, 여전히 주변에는 인천 이씨가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다.
  2. 경남 창녕의 가항리 인근에 시중공파를 중심으로 한 인천 이씨 집성촌이 있다.
  3. 대과 급제자를 말하는 것임, 진사시,생원시는 예외
  4. 다만 부계 성씨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외손, 어머니 쪽 모계 혈연도 중시하는 고려 시대 혈족 관념에 의한다면 인천 이씨 가문의 외손은 장난이 아니다. 인천 이씨 가문의 외손에 고려 개성 왕씨, 외증손에 조선 전주 이씨 가문이 속한다. 즉 고려 문종의 부인이 인천 이씨이며, 조선 세조의 부인 정희왕후 파평 윤씨의 어머니가 인천 이씨이다. 고려 문종 이후 국왕들의 혈통은 모두 인천 이씨의 피가 섞여있다. 또 세조비 정희왕후의 외조부가 이문화로, 세조 이후 모든 국왕들의 혈통 속에 인천 이씨 가문의 피가 흐르긴 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모계쪽 혈연까지 감안한다면, 정식 본관을 갖춘 어지간한 성씨의 피는 모두 고려, 조선 왕실 피 속에 섞이니 인천 이씨의 피가 왕가에 흐른다는 이야기는 사실상 의미가 없다. 당장 왕손인 전주 이씨도 널리고 널린 세상이다.
  5. 사실 이자연 이전엔 왕과 직접적으로 사돈관계를 맺지 않았다. 굳이 기원을 찾자면 현종에게 시집간 김은부의 세 딸 원성,원평,원평왕후의 어머니인 안산군대부인 이씨가 인천이씨였다. 이자연은 딸 셋을 문종과 결혼시켰는데, 이 중 장녀가 인예왕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