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게임

1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슈퍼로봇대전 Z에서는 작품 후반부에 들어오는데 이터널과의 합체기 미티어 풀버스트 외에는 ALL 병기가 없지만 최종기인 파툼 01이 나름 우수한 성능에 아스란이 기본적으로 원호공격을 달고있다 보니 원호공격용으로는 쓸 만하다. 재공격을 달고 보스 킬러용으로도 쓸 만하지만 아스란이 혼이 없다보니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는 느낌. 거기다 아스란은 기본적으로 사격 능력치가 높은데 기체는 근접전 특화란 게 골치 아프다.(이건 신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이 녀석은 초장부터 소드 임펄스를 이용해 근접전용으로 키워주는 게 가능하기에 덜하다.) 한술 더 떠서 근접전용 기체인 인피니트 저스티스로 개조전승이 되는 아스란의 초중반 기체 세이버 건담은 사격전 특화에 사격계 ALL 병기도 달려 있다. 덕택에 멋모르고 아스란을 사격으로 키웠다간 나중에 피본다(…).
여담으로 아스란에게 블로킹 기능이 달려있어서 실탄 무기를 베어내기 할시에 발로 차서 베어내기를 한다(…). 정말 신경 많이 썼다 반프...

슈퍼로봇대전 K에서는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데스티니 건담과 함께 하이퍼 듀트리온을 갖추고 있고, 파일럿 아스란에게 SEED가 있어서 무척 강력한 유닛이지만, 셋 중 육성이 가장 까다롭다. 단독기 중 가장 강력한 '그리폰 2'는 격투무기인데 합체기는 전부 사격병기다(…). 그리고 그리폰 2를 제외한 유일한 격투병기인 빔 사벨은 공격력이 살짝 달려서 주력으로 쓰기 애매하다. 격투로 밀자니 합체기 효율이 떨어지고, 사격으로 밀자니 단독기가 약해져서 아쉬운 계륵 같은 유닛이다. 합체기를 봉인하고 단독으로 활용한다면 데스티니 건담과 완전히 똑같이 활용해주면 되겠다. 단 이쪽은 체력이 조금 더 높은 적을 처리하는데 약간 애로사항이 꽃핀다. 데스티니 건담은 아론다이트가 있기에 체력이 높은 적들을 어택콤보로 처리하기가 더 수월하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어택콤보용인 저스티스의 빔 사벨은 EN소모가 없으므로 개조만 잘 되어있다면 유용하게 써먹을수 있다.

슈퍼로봇대전 L에서는 전작인 K에 비해 조금 약화되었다. 시드 보정도 공격력25%에서10%로 너프되고 혼이 삭제되고 열혈만 남았다. 그리고 아스란 자체는 아군합류가 적당한편인데 본기는 합류가 느리다 그리고 아스란이 그전에 타던 자쿠 워리어랑 개조전승이 되지않아 아스란을 육성하는데 애로사항이 많다 하지만 파트너 보너스가 격투무기 공격력을 올려주기 때문에 슈퍼계 유닛들과 파트너를 짜면 괜찮은 편. 나름 강력하지만 다소 서글퍼지는 성능이다. 저스티스로 갈아타기 전까지는 하이네가 구프 이그나이티드로 갈아탄 뒤에 남겨놓은 블레이즈 자쿠 팬텀이나 루나마리아가 타게 되는 임펄스에 대신 태워서 써먹는게 좋다.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파계편에서는 이제까지의 애매함을 시원하게 벗어던지고 주력으로 충분히 써먹을수 있을만큼의 성능으로 등장했다. 일단 EN 매턴 10%회복이 건재하고 아스란의 에이스 보너스[1]격투무기의 공격력 +10%인데다 스리덤과의 합체기 콤비네이션 어설트가 새로 드디어 추가돼있고 속성은 격투이므로 맘놓고 아스란을 격투로 밀어줄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풀개조 보너스는 EN회복을 10%에서 20%로 바꿔주므로 맘놓고 최강무기인 파툼 01을 난사해줄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파툼 01은 EN소모도 딸랑 40인데다 기력 110이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 효율적 연비를 자랑해서 아스란의 팬들은 환호할만한 상향. 풀개조 시켜주고 아스란에게 E세이브까지 달아주면 그야말로 파툼 01을 여기저기 날리고 다닐수 있는 반가운 상향이 되어서 아주 좋아진 셈이다. 배리어 관통이 붙어있는 것도 좋은 일이긴 하지만...파계편은 배리어 관통의 존재 의미가 거의 없다. 단 신과 키라에게는 있는 정신기 혼이 여전히 없는 관계로 보스전에서는 위의 둘보다 화력이 약간 딸린다는 것이 유일한 단점 정도.

슈퍼로봇대전 UX에서는 모든 스토리가 끝난 후의 참전이므로 발매 전에는 빨리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실제로는 40화 쯤에 등장한다.[2] 여태까지와 마찬가지로 근접전에 훌륭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하필이면 아군 중에는 데스티니 건담이 있고, 그 데스티니 건담은 꽤나 빠른 시간대에 등장하기 때문에[3] 이미 한참 성장했다는 게 문제다. 게다가 유일한 원거리 반격용 무기인 하이퍼 폴티스 빔포가 없어서 멀리서 싸우는 건 무리이며, 기력이 130으로 올라가기 전에는 쓸 수 있는 무기들의 화력이 좀 애매하므로, 키우는 데 엄청난 애로사항이 꽃핀다. 큰 애정이 없다면 그냥 근~장거리 다 커버 되는 신 아스카데스티니 건담, 그리고 적이 치기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사정거리를 자랑하는 키라 야마토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을 더 키워주는게 유리. 물론 당신이 SEED빠라면 관계 없다.

제3차 슈퍼로봇대전 Z에서는 시데가 참전함으로써 나올 수 있단 가능성이 있었다. 정작 시옥편에서 야메룽다주인양반께서 잠시 짤리셨기때문에 천옥편에서 등장한다. 그런데....데스티니의 무기로 전락한 임펄스레전드와 같은 처지가 되어 스리덤의 무기로 전락했다(...). 같은 샤아 오마쥬인 그라함과 젝스는 잘만 날아다니는데 무기화 되어버린 아스란(...). 왜그래 쟈밀하고 하리는 아예 짤렸구만.... 다만 연출이 꽤 화려한게 위안....

2 SD건담 G제네레이션 PORTABLE

  • 기체설명 - ZGMF-X19A
이터널 소속의 MS.
스트라이크 프리덤과 함께 자프트 최신예의 기술을 도입해 "팩토리"에서 제조된 스트라이크 프리덤의 상대가 되는 MS.
전사로써가 아닌, 한 사람의 인간으로써 싸우는 아스란에게 맡겨졌다.
전대전에서 그가 탑승했던 저스티스의 설계 데이터를 기본으로 해서 무장을 대폭으로 증설, 강화해 그 공격력은 데스티니마저 뛰어넘는다.
사실, 메사이어를 둘러싼 최종결전에 있어 데스티니, 임펄스의 2기를 상대하면서 그것들을 격파했다.
  • ZGMF-X19A+METEOR
ZGMF-X용 암드 모듈.
이터널에 탑재된 미티어가 인피닛 저스티스 건담과 합체한 상태.
전대전에서 3년의 시간을 경과했더라도 최강의 병기 자리를 계속 지켜가고 있는 이 기체는, 이번 대전에 있어서도 레퀴엠의 빔 편향 스테이션이라든가 메사이어의 파괴에 큰 공헌을 세웠다.
또, 이 기체는 이터널에 장착한 상태라도 가격이 가능해서, 함의 방위능력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메사이어 공방전에서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이 장착한 것은 미티어 08으로써, 전 대전에 사용되었던 01,02를 포함해 최저 8기는 생산되어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SPEC (레벨 1 기준)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생산비 93500
우주, 공중, 지상 B 수중 D
HP 16000, EN 300
공격력 32 방어력 30 이동력 7
특수능력 - 페이즈시프트 장갑(물리공격 50% OFF, 매턴 EN 10 소비), 뉴트론재머 캔슬러(페이즈시프트 장갑으로 EN소비 없음), 비행가능, 빔 실드 방어가능
무장
슈페일 라켈타 빔 샤벨 (RNG 1, POW 4500, EN45, HIT 100)
그리폰 2 빔 블레이드 (RNG 2, POW 5000, EN48, HIT 105)
샤이닝 엣지 (RNG 3~4, POW 4000, EN40, HIT 85)
하이퍼 폴티스 * (RNG 5~6, POW 3000, EN52, HIT 75)
스트라이크 프리덤(미티어 장착)
생산비 114100
우주 A
HP 20000, EN 320
공격력 33 방어력 30 이동력 8
특수능력 - 뉴트론재머 캔슬러, 탈출가능기체
무장
MA-X200 빔 사벨 (RNG 1~2, POW 6500, EN 60, HIT 100)
엘리나케우스 함대함 미사일 *6 (RNG 4~6, POW 900, EN 70, HIT 65)
버스트 어택 (맵 병기, POW 10000, EN 160, MP45)

인저스는 시작하자마자 격투병기가 사정 1 2 3 4를 다 커버하고 있고 5~6도 빔2에 *2인 무장이라 거의 뭐 사기급에다 스트라이크보다 조금 싸고. 이 게임은 텐션에 따라 데미지가 올라는 격투무기가 짱인 게임이기 때문에, 격투무기 사정이 1~4에 장거리 저격 하나까지 달려있으면 뭐 그냥 사기고...

3 건담 vs 시리즈

플레이어기체로서의 참전은 연합VS자프트 2,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의 2작품. 우선 연대자 2에서는 최고 코스트군인 590코스트의 격투형 만능기로 적색 록온 거리는 짧지만 사격무기 자체가 고수준이라 이점이 되며 격투화력과 가변행동인 파툼타기의 성능이 전 기체중 최강급이란 점 덕에 높은 평가를 얻었으나 시스템빨 때문에 드라군을 가진 스트프리와 레전드에겐 밀렸다. 또한 560+420코스트가 제일 코스트퍼포먼스가 우수했던 관계로 노멀 저스티스 수준의 평가를 얻진 못했다. 단호히 말해 강력하고 쓰기는 편한데 코스트가 너무 크기 때문에 고수 지향의 기체라는 미묘한 입장.

건담vs건담NEXT에선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의 어시스트로 참전. 유도/탄속이 우수한 파툼 01을 날려 히트한 상대를 날려버리는 성능이지만 사용편의도가 병맛이라 별로 좋은 어시스트는 아니었다. 다만 보정률이 우수하다는것 하나로 콤보파츠로나 간혹 쓸 수 있는 레벨. 전작 초대 건대건에서의 어시스트 성능도 그렇고, 특수대사의 이지스 드립도 그렇고 아스란 NDK설에 박차를 가했다(…).

그랬다가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에서 정말 간만에 참전하여 니코동에서 아스란과 함께 좋은 네타거리가 되었다 전국의 아스란과 인저 팬들의 한을 풀었다. 여기선 코스트 2500으로 격투형 만능기란 점과 무장체계는 연대자때 그대로라 무장의 풍부함을 살려 근거리에서 이짓저짓 다 할 수 있다. 초기 로케테에선 고코스트군이었으나, 코스트 시스템이 건대건식으로 변화한 후엔 동코스트가된 크로스본 건담 X1과 함께 격투형 만능기로서 자웅을 겨루고 있는 상황.

제품판에서는 무장체계만 연대자 2 그대로고 사양이 굉장히 많이 변화했는데, 치명적인 변경점들이 많다. 차지샷 차지속도가 길어졌고 3번의 샤이닝 엣지가 자신에게 돌아온 다음 충전이 다 되어야 다시 던질 수 있어졌으며 앞격의 파툼 리프터 찌르기의 다단히트화, 가변에 전체적 성능하향이 가해졌다.
특히 가변상태의 성능하향이 치명적으로 전 기체중 최고 레벨이었던게 전 기체중 최저 레벨로 하락. 가변후 즉상승/하강 불가에 선회성능도 저하되고 차지샷 이외의 캔슬동작이 불가능한데다가 변형격투조차 캔슬이 안되는 등 사양변경으로 피해를 본 NEXT 제타 급의 망했어요 상태. 이 때문에 빔라이플 소비가 격하므로 차지샷과 섞어쓰지 않으면 탄수가 쉽게 끊기며 적색록온 거리도 짧아서 고도의 운영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런 너프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여전히 S급 취급을 받는중.

3.1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FULL BOOST

  • 아스란 탑승기
무장명칭탄수비고
메인 사격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6평범한 빔 라이플
사격 차지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MA-6J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차지 시간 4초판정이 2개로 나뉜 차지샷
격투MA-M02G 슈페르 라케르타 암비덱스트러스 할버드-2500 코스트 중 중상위권 성능의 격투, 뒤격투로 그래플 스팅어가 발동
서브 사격파툼 01 사출1사용 후 회수 시까지 부스트 소모량 대폭 증가
특수 사격RQM55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1빔 라이플을 무시하고 상대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특수 격투어시스트 - 구프 이그나이티드3익스트림 버스트를 켜야만 리로드가 된다
버스트 어택미티어 소드EX버스트 한정첫타 범위가 넓다
  • 라크스 탑승기
무장명칭탄수비고
메인 사격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5평범한 빔 라이플
사격 차지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MA-6J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차지 시간 4초판정이 2개로 나뉜 차지샷
격투MA-M02G 슈페르 라케르타 암비덱스트러스 할버드-1000 코스트 중 중상위권 성능의 격투, 뒤격투로 그래플 스팅어가 발동
서브 사격파툼 01 사출1사용 후 회수 시까지 부스트 소모량 대폭 증가
특수 사격RQM55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1아스란기와는 달리 타격 간격이 매우 길다.
특수 격투어시스트 - 스트라이크 프리덤2빔짤 어시스트
버스트 어택어시스트 - 스트라이크 프리덤[하이맷 풀 버스트]]EX버스트 한정사용 후 이동 가능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FULL BOOST에서는 아스란 탑승기, 락순이 탑승기가 있다. 각각 코스트는 아스란기 2500, 락순기 1000. 예상외로 라크스 탑승기도 아스란기의 무장을 거의 전부 가져와서 얼핏 보면 사기기체가 될 법해 보였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모션은 바뀌지 않았는데 수치는 엄청나게 칼질당했다. 파툼은 날리는 순간 부스트가 떨어질 각오를 해야 하고 빔라와 샤이닝 엣지는 맞춰도 도통 데미지가 들어가는게 보이지가 않는다. 격투를 섞어주지 않으면 상대를 3번 다운시키는 동안 들어가는 데미지가 콤보 한셋트와 비슷할 지경. 대신 남친버프로 스트라이크 프리덤이 어시스트로 붙는데 빔라 3연사격의 록온 거리와 데미지가 아스란의 빔라보다 더 높은고로(...) 자주 애용하게 된다. 게다가 각성필도 본인은 아무 것도 안하고 스프리가 나와서 풀버스트를 쏴준다. 이것 역시 1000코스트의 특성상 자주 쓸 수 있고 아스란의 각필보다 실용성 면에서도 앞선다(...).

3.2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MAXI BOOST &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MAXI BOOST ON

  • 아스란 탑승기
무장명칭탄수비고
메인 사격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6평범한 빔 라이플
사격 차지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MA-6J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차지 시간 4초판정이 2개로 나뉜 차지샷
격투MA-M02G 슈페르 라케르타 암비덱스트러스 할버드-2500 코스트 중 중상위권 성능의 격투, 뒤격투로 그래플 스팅어가 발동
격투 차지S.E.E.D차지시간 5초사용 시 상대 적색 록온 해제, 피데미지 1.5배 증가, 피격 시 효과종료
서브 사격파툼 01 사출1사용 후 회수 시까지 부스트 소모량 대폭 증가
특수 사격RQM55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1빔 라이플을 무시하고 상대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특수 격투어시스트 - 스트라이크 프리덤2하루트의 퀀터 서포트와 같은 돌격 어시스트.
버스트 어택미티어 소드EX버스트 한정첫타 범위가 넓다
  • 라크스 탑승기
무장명칭탄수비고
메인 사격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5평범한 빔 라이플
사격 차지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MA-6J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차지 시간 4초판정이 2개로 나뉜 차지샷
격투MA-M02G 슈페르 라케르타 암비덱스트러스 할버드-1000 코스트 중 중상위권 성능의 격투, 뒤격투로 그래플 스팅어가 발동
서브 사격파툼 01 사출1사용 후 회수 시까지 부스트 소모량 대폭 증가
특수 사격RQM55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1아스란기와는 달리 타격 간격이 매우 길다.
특수 격투어시스트 - 스트라이크 프리덤2빔짤 어시스트
버스트 어택어시스트 - 스트라이크 프리덤[하이맷 풀 버스트]EX버스트 한정사용 후 이동 가능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MAXI BOOST에서는 보스버전의 기체로도 등장한다.일반적으로 싸우다가 체력이 떨어지면 미티어 합체모드가 되고 그 상태에서 다시 피를 빼면 미티어가 파괴돼서 맨몸으로 돌아오는 형식. 그런데 보스기체인지라 다운치가 매우 높게 설정되어있는데 다른 거대형 보스와는 다르게 인피니티 저스티스의 경우 일반 기체와 같은 크기, 같은 판정을 가지고있는지라 그냥 때리기만 하면 무한콤보가 성립.(...) 이미 세실등의 각종 유명 유저들이 저스티스와 아스란을 장난감처럼 가지고 노는 영상등을 올리고있다. 일명 AO(아스란 오못챠)영상.

전체적인 무장이 보스 버전 아스란의 무장으로 바뀌었다. 우선 그 구린 구프 어시스트를 스트라이크 프리덤 어시스트로 갈아치웠다. 하루트의 퀀터 돌격 서포트와 같은 종류의 어시스트. 다만 스리덤의 경우 돌진시 무적이 아니기 때문에 맹신하지 말자.

또 격투 차지로 S.E.E.D를 들고 나왔는데 효과는 제로시스템이나 MEPE와 똑같다. 사용하고 바로 사라져서 오해하기 쉬운데, SEED의 리로드 조건은 익스트림 버스트를 사용해야한다. 정확히 말하면 익스트림 버스트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얼마든지 재사용이 가능. 단, 지속시간 중에 익스트림 버스트가 끝나면 다음 익스트림 버스트까지 S.E.E.D를 개방할 수 없다. 또 제로시스템이나 MEPE와는 다르게 시전시 발이 멈추지만 부스트 게이지 절반을 회복한다.

락순기는 1500 코스트 상향조정 받은 것 이외엔 특별한 것이 없다.

4 건담무쌍에서

건담무쌍2부터 아스란 자라,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과 함께 참전한다. 공격 동작이 빠르고 공격범위가 넓어 통상 공격으로도 순식간에 졸개들을 썰어버린다. 콤비네이션 SP 공격도 범위가 매우 넓은 것도 장점. 약점은 간격이 짧고 클린히트 시키기 어렵다는 것. 건담무쌍3에서도 등장하는데 낮은 사격치를 제외하면 전반적인 능력치는 탑 클래스이며 격투 위주로 편성되어있기에 그쪽으로 키우고 파일럿은 가능한 아스란을 태울 것. 라크스를 태울 경우, 반드시 특수능력을 붙여야 한다.

5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에서

5.1 기본사항

  • 랭크 : SS
  • 속성 : 근거리 전투형
  • 무장(뒤는 가변 후)
    • 1번 : 슈페르 라케르타 빔 사벨(양날창형)/동일 무장이나 2도류로 바뀐다.
    • 2번 : 고에너지 빔라이플/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호밍 슬로우)
    • 3번 : 하이퍼 포르티스 빔 포(일명 파툼포)/그리폰 빔 블레이드(부스터다운 격투콤보)
    • 맵병기형 필살기/난무형 필살기
  • 스킬 구성
    • 페이즈 시프트
    • N 재머 캔슬러 EX - 체력이 50% 이하일 때 대쉬 부스터가 소모되지 않음 + 서치 거리 증가 + 레이더에 적군 표시

5.2 능력치

  • 기본 (가변)
  • 체력 : 15.3
  • 방어력 : 16.8 (19.8)
  • 필살기 : 21.3
  • 스피드 : 25.8 (27.6)
  • 공격력 : 21.3 (18.3)
  • 민첩성 : 21.6

5.3 유닛 설명

변형 전의 슈페르 라케르타 빔샤벨은 양날 합체형이지만 따로있는 메리트는 없다. 리치가 제법 길며 칼속은 평균보다 약간 빠른편. 다만 변형전의 주력 무장은 2번과 3번이기에 그다지 쓰이지는 않는다.

모든 저스티스 유저의 소원인 2번 빔라이플이 실현되었다. 다만 묵기답게 잔탄은 조금 적다. 하지만 리로드 속도가 좋은 편이기에 3번과 변형후 샤이닝 엣지를 섞어 써주면 딸깍거릴일은 적다.

3번인 하이퍼 포르티스 포는 딥암즈의 3번과 비슷한 가느다란 2연장빔이지만 일반 빔 라이플보다 사정거리가 긴데다 역경직이 없고 선딜이 거의 없다. 2-3번 빔라 짤짤이가 상당히 강하다. 원래는 중거리 판정이였으나 패치로 원거리가 되었다. 괜찮아 노련한 스나를 잘잡는다,이젠!!! 데미지는 평범하다 잔탄은 3발이고 리로드는 빔라이플처럼 충전식이다. 데미지는 준수...하다못해 절륜(...)하다. 2323폭격도 가능하기에 뒷크리 두방만 맞추면 빈사상태에 빠지는 적들을 볼 수 있다.

변형후의 2도류 라케르타는 합체형에 비해 리치가 조금 부족한 느낌이지만 광속을 자랑하는 선타와 공격속도를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무장 이름은 이도류라고 되어있는데 공격모션을 보면 오른손의 빔사벨 하나로만 공격한다(...) 이게 뭐야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은 잔탄 두 발이지만 호밍에 슬로우효과까지 붙어있다. 각도는 데스티니 건담보다는 안휘는 편. 견재,빼꼼,상태이상은 물론 딸피처리까지 완벽한 완소무장.

그리폰 빔 블레이드는 일반적인 격투콤보와 같은 연타형 공격에 부스터 다운 효과를 가진다. 다만 등짝을 보고있는 그래픽상 발로 베는 것보다 빔샤벨이 더 부각되어 보이기때문에[4] 이게 뭐가 발차기냐 하는 소리를 듣는 상황(...) 리로드가 격투콤보중에서도 독보적으로 빠른데다가(약 8초) 데미지도 뛰어난 편이라 선칼 잡기 용도로도 선칼을 잡은 후의 콤보용도로도 뛰어나다.(다만 너무 공격속도가 빨라서 3타까지가 금방들어가기가 쉽다 주의해서 사용할 것)

타수는 1클릭당 0.5씩 가져가며, 대미지는 일반 칼질에 비해 살짝 모자란 편이고 전진성능이 우월한것도 아니므로 가급적 선타 후 막타를 1번 넣어서 부스터로 도망가지 못하게 해놓고, 재빠르게 밧셀-가변 3232를 먹이자. 칼질로 빈피가 빠진 적 기체는 부스터도 없는데 슬로우까지 먹어 도망도 못 가고 뼛속까지 아픈 빔짤짤이를 얻어맞을 수 밖에 없다. 상황에 따라선 적 기체를 한방에 박살내버릴 수도 있는 유용한 콤보.

많은 유저가 구현을 바라던 저스티스의 책가방날리기파툼 날리기는 난무형 필살기에 잠깐 나온다. 그리고 원작에선 데스티니를 썰어버릴 때 외엔 한 적이 없는 2도류질. 상기의 건담 vs 시리즈에서의 각종 원작재현에 비교하자면 눈물난다.

광고문구인 어디에서나 대응가능한 범용성에 걸맞게 나왔다고 할 수 있겠다. 근, 중, 장거리 모두 대응가능한 무장체계를 지니고있으며 변형방식이 파툼이 날라갔다 다시 돌아와서 원래대로 돌아가는게 가능한고로 문제없다. 유저들은 변형하면 왜 파툼이 없어지냐며 까고있다. 뭐 없어보이긴 하다만. 반면 같은 SS랭인 황우석이 퍼지식 가변인데 이 녀석은 등짝의 짐이 없어지는 주제에 퍼지식이 아니냐는 것에 불만을 가진 유저들도 있는 듯.

과거 건담 헤비암즈 개(EW)건담 데스사이즈 헬(EW)과 같이 S랭 3황중 하나라고 불리며 개사기 기체로 악명이 높았으며, 이후에 몇차례의 너프와 더블오라이저와같은 사기 묵기가 등장[5]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현역인 기체. 되려 2011년 8월 18일 패치때 페이즈 시프트 스킬의 강화로 간접 상향까지 받았다. 나온지 제법 오래된 기체임에도 2013년 5월 캡파 S랭 근거리형 상급 기체 중의 하나.

결론적으로 캡파에서 가장 밸런스가 맞는 완전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성능과는 별개로 시대의 흐름때문인지 예전만큼 모습을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 아무래도 한창 사기급으로 악명을 날렸을때와 비교하면,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을 충분히 견제할 수 있는 빠기가 다수 등장하고 전성기의 인저급의 사기 묵기와 찌기들이 많아져서 그런 모양이다.

...그리고 대격변이후 상성이 사라지면서 그야말로 날아다니는 중. 격변 초기엔 헤커, 철벽 수비 패치 이후 레전드, 레전드 확빔 패치 이후 V2 어설트 버스터, 브압 하향 이후 스티어, 스티어 하향 이후 딥스&디스&퀀터, 딥스&디스&양자화 하향 이후 기마민족&알본즈&턴광접 등 자꾸 개편된 시스템에 특화된 기존 기체가 돋보이거나 미친 사기기체가 나오거나 해서 인저가 좀 덜 돋보일 뿐. 무장 자체가 안그래도 쓰기 쉽고 배치가 좋고 강력한데다[6] 포텐셜까지 미친듯이 높아서 고수가 쓰면 아주 성능이 하늘로 날아가고,[7] 13년 12월 이후 개편된 파츠들이 인저에게 유리하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4슬롯 잘만 달아주면 1대1로는 대책이 안나오는 악랄한 기체가 나오게 된다.

강습형 파츠 중 레벨 12 파츠의 옵션중 하나인 대쉬 점프시 부스터 소모되지 않음 파츠를 단 경우 과거 MS라도 무부중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던 시절의 공중 폭격 이 가능하다. 이는 밧셀의 성능이 좀 더 좋은 저스티스 건담이나 체방이 훌륭하고 호밍폭격이 강력한 미티어 기체 2기도 가능하지만, 뉴재캔 EX에 개인 통지 옵션까지 있는데다가 크기도 작고 호밍 리로드 속도도 빠른 편이고[8] 뉴재캔 뜨기 이전 SP수급도 무장들이 좋아 굉장히 원활한 편이라 공폭의 정점에 올라선 기체. 대기실에서 기체 정보를 보았을 때 강습형인 인저가 확인되었다면 경계를 늦추면 안된다. 안보이다가 어느새 위에서 무한 밧셀질 으아아아...하지만 무부공폭이 되는 파트인 만큼 페널티가 엄청 컸는데, 적용하는 순간 체력과 방어력이 A랭 수준으로 까여버린다. 그 때문에 페이즈를 달고 공폭을 하려 하다가 호밍을 잘못 맞아서 심심찮게 공중에서 그대로 터져죽기도 했었다.
그러나 13년 12월 파츠개편이 되고, 이 파츠는 기동형으로 분류되었고, 패널티가 사라졌다(!) 기동력은 개편전보다 떨어졌지만 패널티도 없어 폭사할 일이 많이 줄어든 상황.

결국 주요맵들의 천장이 낮아지는 간접하향을 당했다. 이전처럼 4대1 상황을 뒤집어버리는 말도 안되는 공폭은 불가능해진셈


인저 미티어는 미티어 항목에서.

5.4 입수 방법

  • 조합식 전용

키 유닛 : 저스티스 건담(레벨 7)
재료(전부 레벨 7) : 소드 임펄스 건담 / 이지스 건담 / M1A아스트레이 /

저스티스에 이지스가 들어가는데 이지스를 또 갈아먹는다...이뭐.

2014년 현재 SS랭 중에선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과 더불어 비교적 재료 구하기 쉬운 쪽에 속한다.다른 SS랭 조합이 수라장인게 문제지만 키유닛인 저스티스 건담(레벨 7, 2슬롯)과 재료인 이지스 건담은 퀘스트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고, 소드 임펄스 건담의 키유닛인 임펄스 건담 역시 포스 임펄스 조합식을 얻는 퀘스트를 통해 얻기 때문에 처음 나왔을 때보다 재료 수급은 매우 쉬워졌다. 문제는 준비된 재료유닛들을 키우는 것인데, 그래도 2013년부터 유행하고 있는 홍콩 시티 업방이 경헝치를 잘 주는 편이라(일반적으로 210~230 사이) 임펄스-소임 테크와 이지스를 키우는 것도 비교적 수월해졌다. C랭들은 전통의 사코 베리이지가 있다.

6 기동전사 건담 SEED BATTLE DESTINY

6.1 습득 조건

아크 엔젤 스토리 최종전 S랭크 클리어, 재출격 횟수 1회

6.2 기체 기본 스킬

6.2.1 인피니트 저스티스 - 일반

VPS 장갑[9], 전용기체[10], PS 자동재생[11]

6.2.2 인피니트 저스티스 - 미티어

대함병기[12], 전용기체, 우주출격제한[13]

6.3 무장

인피니트 저스티스 - 일반

주 무장 1 : MA-M1911 고에너지 빔 라이플
주 무장 2 : MA-6J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
주 무장 3 : RQM55 샤이닝 엣지 빔 부메랑
보조 무장 : EEQ08 그래플 스팅어
근접 무장 : 슈페르 라케르타 빔 자벨린[14]
SP 부스터 격투(SP를 소모하는 EX부스터를 사용한 뒤 격투를 누른다) : 파툼 01 전 빔샤벨류 무기 전개 후 돌격
SP 어택 : 파툼 01 익스플로전

인피니트 저스티스 - 미티어

주무장 1 : 120mm고에너지 빔 캐논X2
주무장 2 : 93.7mm 고에너지 빔 캐논X2
주무장 3 : 60mm "에리나세우스(Erinaceus)" 대함 미사일 발사기 - 3연장 발사기
서브 사격 : 60mm "에리나세우스(Erinaceus)" 대함 미사일 발사기 - 12연장 발사기X2
근접 전투 : MA-X200 빔소드X2
SP 어택 : 미티어 풀버스트

6.4 인피니트 저스티스 - 일반

인피니트 저스티스라고 해도 무장 2개가 바뀐 것일 뿐 실상 일반 저스티스 건담의 모션을 우려먹었고 저스티스가 하향먹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 에너지 빔 라이플은 꺾빔[15]이 아니어서 장거리 적은 맞추기 엄청힘들다. 명중률에 전부투자해도 근거리나 중거리 아니면 맞추는 건 힘들다. 더군다나 풀개조를 해도 1탄창 당 장탄수도 저스티스보다 적은 24발... 아예 대놓고 농락했다.

주 무장 2인 하이퍼 포르티스 빔 캐넌도 사정은 마찬가지... 오브젝트 관통 속성이 없기 때문에 상당히 계륵이다.... 데미지는 높은 편이지만 활용성은 심히 떨어진다.

주 무장 3 샤이닝 엣지 부메랑도 풀개조해도 명중률이 구린 건 마찬가지.... 인저는 한마디로 사격계는 쓰지말고 온리 격투로 하라는 걸로 보인다.

그 증거로 보이는 게 서브 무장 그래플 스팅어.... 인저는 이거 하나 믿어야 할 정도로 암울하다. 그래플 스팅어로 잡아댕기고 격투 3타 후 EX격투를 사용해서 적 때려잡는게 인저의 일반 플레이방식... 물론 빔 자벨린의 데미지 개조 수치가 높아야한다는 전제조건에서만(...)

SP 부스트 어택은 한마디로 파툼의 빔파츠를 꼬나 세운체 돌진한 뒤 빔 자벨린으로 벤다. 근데 웃지 못할 사실은 이 공격의 돌진 부는 페이즈 시프트에 씹어먹힌다(...) 실상 빔 공격으로 인정되는건 빔 자벨린으로 베는 것 단 하나.... 이 게임 제작자가 아스란 안티인 것을 증명하는 첫번째 증거이다.

SP 어택 파툼 01 익스플로전도 역시 이 게임 제작자가 아스란 안티임을 증명하는 두번째 증거로서 나온다. SP어택 파툼 01 익스플로전 역시 일반 저스티스의 SP어택과 모션하나 안 틀리고 똑같다(...) 모션 가져올 거면 명중률이라도 올려서 가져올 것이지 명중률도 저스티스의 명중률을 복붙... 가까이 있어도 못 맞추는 장님이다. 데미지는 분명 노개조로 페이즈 시프트 한방에깨고 기체를 빈사 상태로 만들지만.... 강하면 뭐하나 안 맞는데...[16][17]

결론은 이 게임에선 인피니트 저스티스는 사병기인 소드 105 대거만도 못한 초안습 기체[18]이다.(...)

6.5 인피니트 저스티스 - 미티어

SP어택의 차이만 있을 뿐 운용법은 스트라이크 프리덤 - 미티어와 똑같다[19]. SP어택인 미티어 풀버스트. 이게 그나마 안습인 인저를 살려준다(...)

시가전에서 빔소드로 개돌해서 건물사이에 끼일 위험이 있는 스리덤 미티어와는 달리 인저는 고도 좀 높히고 미티어 풀버스트 날려주면 스리덤이고 디스트로이도 다 녹는다.
한 가지 웃지 못할 사실은 이 미티어 풀버스트에서 데미지 비율이 빔 40, 미사일 60이라는점(...)빔보다 미사일이 더 강한 아이러니한 경우를 볼 수있다.[20]
역시나 스리덤과 마찬가지로 노멀/미티어 어느쪽을 기준치 이상으로 개조하면 재출격 횟수가 0이되므로 주의하자.

미티어의 시가전 참전은 지상/우주 출격제한 해제를 이용해 언락할 수 있다.
  1. 격추수 70기를 달성하면 캐릭터마다 고유의 보너스 습득 가능.
  2. 그 전까지는 아스란이 알렉스의 이름으로 카가리와 함께 오브에서 바쁘다는 스토리다.
  3. 1화 등장 후 침식 돼버려서 임펄스로 갈아타지만 좀 지나고나면 이후 다시 수복되어서 재등장한다.
  4. 그냥 부각돼서 보이는 정도가 아니다. 이도류 빔 사벨로 종으로 찍고, 발의 빔 사벨로 벤 후, 이도류 빔 사벨로 횡으로 벤다. 즉 이도류 빔 사벨로 2회 공격하고, 발의 빔 사벨로 1회 공격한다. 안그래도 공격횟수도 이도류 빔 사벨이 더 많은데 그래픽까지 발의 빔 사벨보다 이도류 빔 사벨쪽이 더 화려하고 잘보이니(...)
  5. 더블오라이저는 개사기 스킬 양자화만 제외하면, 무장 구성이나 범용성은 오히려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이 더 우세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렇다고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의 스킬이 나쁜 것도 아니다.
  6. 빔의 굵기가 얄팍할 뿐이지 2323 들어가기 시작하면 웬만한 화력기도 똑같이 무기스왑이 되거나 전방위 실드라도 있지 않는 이상 인저를 이길수가 없고, 사거리도 근거리 기체치고는 충분하다. 밧셀은 말할것도 없다.
  7. 전부 무빙판정인데다 빔은 2323 화력을 넣을 수 있고, 밧셀이 사실상 공격궤도를 사수가 맘대로 정할 수 있는 호밍무기란것도 감안하면 그냥 2323을 넣거나 호밍을 던져도 강력하지만 적재적소에 넣을 수 있는 위치를 알고 상황파악을 잘한다면 그야말로 어떤 기체도 농락 가능하다.
  8. 물론 밧셀 중에서는 인저가 느린편이다.
  9. 기존 페이즈 시프트 기체보다 게이지량 1.5배, 실탄 데미지 30% 추가감소
  10. 네츄럴 사용시 기체 성능 20% 감소, 기체제한해제를 통해 패널티 무효화 가능.
  11. 1초당 ps 게이지 2씩 회복.
  12. 함선 공격 데미지 증가
  13. 전장 배경이 우주인 경우에만 출격 가능, 출격제한해제 언락시 대기권 출격 가능
  14. 이 게임에서는 인저의 사벨을 자벨린이라고 한다
  15. 빔이 꺾이면서 유도가 되는 것
  16. 얼마나 명중률이 똥이냐면 근접한 상대에게 써도 상대 주변을 맴돌다가 그냥 혼자 터진다(...) 소형전함도 아예 못맞추는 경우도 있다.
  17. 또한, 어째서인지 적이나 아군의 CPU가 사용하면 사정거리만 맞으면 대상 기체가 어떻게 날고 기든 반드시 맞추는 일격필살의 무장이 된다(...)
  18. 105대거는 풀개조를 해도 재출격이 1회이며, SP게이지가 빨리차기 때문에 소드의 공격력과 앵커의 명중률만 높히면 소드팩 상태에서 앵커 + SP어택으로 프리덤도 그냥 썰어버린다.
  19.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게임의 건담 SEED BATTLE DESTINY의 스트라이크 프리덤 - 미티어를 참고하자
  20. 최대 데미지 수치 제한이 있는 빔과달리 미사일 같은 실탄류는 데미지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실탄계는 페이즈 시프트의 영향을 받는 대신 페이즈 시프트가 깨지는 순간 페이즈 시프트 기체는 말 그대로 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