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번 항목은 특이하게도 실제 발음이 /ʔil/이다.
1 숫자
아라비아 숫자로 1, 로마 숫자로 I을 의미하는 한자 一. 이걸 이용해 만화 나비효과에서 1본사람 개그를 하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현대 한국어에서 숫자 1의 발음은 기존의 일과 달라지고 있다. '1일'을 발음해보자. 성문음 항목 참조.
2 日, 일본국(日本國, Japan)의 약칭
일본 문서 참조.
3 노동의 순우리말
4 물리학에서의 일
물리학에서 '일'이란 것은 힘을 가해 물체를 움직이는 것으로, 일의 양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math]W = \displaystyle \int \vec F \cdot d \vec s[/math] 이다. 매 작은 거리마다 물체에 가해진 힘과 그 순간 물체의 힘 방향으로의 변위[1]를 곱한 뒤(즉, 힘과 변위를 내적한 뒤), 이것들을 모두 더하라는 의미이다.[2] 즉 쉽게 말해서 힘-변위 그래프의 어떤 구간에서의 밑넓이를 말한다.
미분의 역연산이 아니냐고 할 사람이 있을텐데, 물리학에서는 모든 적분은 정적분이고, 애초에 미분의 역연산을 ∫로 표기하는 것은 미분의 역연산이 함수 그래프 넓이의 무한합과 같다는 사실이 따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3] 집에 수학 교과서가 있는 사람들은 정적분 단원을 다시 한 번 보도록 하자.
SI 단위는 줄(J). SI 단위로 풀어쓰면 N×m. 에너지의 단위와 같다.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든 연구를 하든 안 움직이는 물체를 끙끙대며 힘을 주든 이건 물리학에서의 일을 한 게 아니다. 덧붙여, 힘의 방향과 물체의 이동방향이 수직이어도 물리학에서의 일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니까 '일'한 대로 돈을 주면 망한다. 실제 내용보다 각주의 내용이 더 긴 것은 신경쓰지 않도록 하자.
5 The Big-O에 등장하는 생물체
아마도 eel(뱀장어)이란 영단어가 유래로 추정.
거대한 뱀과 같이 생긴 괴생명체. 빛을 잃어버린 마을에서 호수의 신으로 숭배하고 있다. 정체는 과거 패러다임사가 연구하던 생물이 연구가 중단되면서 그대로 풀려나 혼자 자라난 것으로 추측된다.
특이하게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능력이 있는데 그 전력량이 장난이 아니라 혼자서 호수에서 방전하면서 쇼하는 것만으로도 도시 전체에 전기공급이 가능할 정도로 엄청난 전력량을 자랑한다. 또한 입 크기가 엄청나게 늘어나 Big O조차 한입에 삼킬 수 있을 정도로 늘어난다.
Big O가 대항하기에 곤란한 유연한 움직임을 보여주면서 Big O를 꽁꽁 묶고 괴롭히지만 재수없게 크롬 버스터 방사구 앞에 머리를 들이밀었던 탓에 크롬 버스터에 맞아 머리통이 날아가며 쓰러졌다.
나중에 패러다임사에서 시체를 회수해 Big Fau 기동용 발전기를 만드는 데 써먹었다.
참고로 와일드 암즈에도 등장한다.
6 日, 일요일(日曜日, Sunday)의 약칭
일요일 문서 참조.
7 시간의 단위
한국어: 일
독일어: Tag
중국어: 日
일본어: にち
영어: day
천체가 1회 자전을 마치는 주기이다. 태양의 1일은 27 지구일이고, 목성의 1일은 약 8시간이다.
7.1 지구에만 해당되는 것
日. 시간의 단위로 시의 24배이다. 1달의 평균 1/30, 1년의 1/365, 1세기의 1/36,524. 바로 위의 문단에서 알 수 있듯이 지구의 자전 주기이기도 하다. 1일의 길이는 10만 년마다 1초 증가한다.
또한 숫자 1과 헷갈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0/20/30일의 경우는 10/20/30날(십날, 이십날, 삼십날)이라는 단어를 관용적으로 쓰기도 한다.- ↑ 가끔 가다 '물체가 움직인 거리'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들은, 고등학교 때 배운 W=Fscosθ에서 cosθ가 왜 들어가는지를 생각해 보라. 뭐 엄밀히 말하면 저 공식은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다. 벡터의 분해가 물리Ⅱ 교육과정인데 일 개념은 물리Ⅰ 과정에서만 나오고 물리2에서는 다시 나오지 않기 때문.
- ↑ 앞에서 시간의 미소증분동안 물체가 움직인 거리를 물었으므로, 이 물체가 움직인 거리도 미소증분이 된다. F에다가 ds를 곱하는 것은 이 때문. 적분 기호 ∫는 '이 미소 증분들의 합을 구하라'라는 의미이다.
-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참고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