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심의
창작자가 창작할때 스스로 수위를 정한 것.
1 개요
세상에는 검열 말고도 창작을 제한하는 요소가 많다. 하지만 당시 사회 분위기와 여론을 우려해서 적당히 타협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작가도 결국 보통인간이어서 인간적으로 하거나또는 흥행을 우려해서나 극렬 단체의 살해협박이나 걱정때문에 그런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가장 유명한 자체 심의(?)는 제임스 조이스의 작품으로, 인쇄업자가 읽고 불경하다면서 불태웠다(...)
- 사회적으로 터부시되는 걸 묘사
- 또는 그런걸 찬미,정당화하는 것. 가령 《수라의 각》에서 주인공의 살인을 정당화하는 것.
2 예시
에페보필리아처럼 여고생과 남고생과 검열삭제하고픈 욕망, 서구에서는 이런 걸 금기시하기 때문에, 예술작품이나 2차원적으로 드러내도 강한 비판의 대상이 된다(물론 데이비드 해밀턴이나 유년의 사랑같은 예술성때문인지 예외이다).
하지만 그걸 하는 사람을 응징하거나 죽게만들거나, 악당으로 묘사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히 하드보일드 소설에서 많이 나온다.
- 임산부, 어린이, 여성, 노인, 환자, 비무장의 항복하는 적(물론 나쁜짓을 하면 안된다),무고한 사람에게 누명씌우고 살해. - 일단 나오면 불쾌하다. 그리고 이런일을 하는 사람이 죽지않으면 찝찝하다. 게다가 이런걸 찬미하면 문제다. 예를 들면 임산부를 통쾌하게 살해한다고 생각해보자. 끔찍하다. 통쾌하게 어떻게 묘사하는것도 문제인데 클로즈업이나 약간 기울어진 각도나 집중선을 많이 넣어서 박력넘치는 묘사를 넣고 폼나고 그럴듯한 대사를 넣으면 통쾌하고 카타르시스가 느껴진다. 대상이 대상이면 문제지만.
- 강제로 검열삭제 - 주인공이든 악당이던 이걸 넣으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될수있다(!) 특히 메이저라면 사회에서 지탄받는다. 이런걸 하는 악당이 결국 죽어도 욕먹는다. 그래도 서구의 하드보일드 소설에는 자주 나오는데(...) 끝은 좋지않다.
- 폭발물,독극물 제조방법 - 역시 위험하다. 특히 사회에 위협이 되는 요소를....
- 범죄자 찬양 - 선동의 우려가 있기때문에 문제된다.
- 비하 - 범죄자(이것도 언론플레이의 비호를 받는다면 예외)가 아니라 특정 인종,국가,지역,기타 차별요소가 있는 경우하면 문제다. 물론 정의로운 주인공이 응징하면 통쾌함을 느낄수도 있지만 결국 나오면 해당 관련 인물은 불쾌해지며 역시 사회적 문제가 된다.
2.1 우회
나오긴 하되 파멸한다. 또는 악당으로 묘사한다. 그러니까 알기쉽게 설명하자면 인종차별시대에는 KKK가 영웅으로 묘사되었다! 현대 인종평등시대에는 KKK가 악당이다라고 할수있다. 그러니까 도쿄도 조례안에서 요스가노소라가 심의를 통과한것은 친X빠와 여X생이 같이 검열삭제를 해도 그걸 찬미하지 않았기때문이다. 찬미한다면? 사회적으로 지탄받았을것이다.
3 예외
- 살로 소돔 120일 - 피에르 파졸리니감독의 영화의 원작소설. 심의? 그런 거 없다 사드후작이 심의 그런거 적용이 안되는 시대 사람이다.
- 판토마 - 좋은 점은 눈꼽만큼도 없고 악행을 저지르고 다니는 사악한 주인공. 역자 성귀수도 대놓고 다른 안티 히어로들은 아무리 사악해도 시대의 한계때문에 타협해야했지만 얘는 그런거없다고 했다. (판토마스 1권 역자 해설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