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任
(? ~ 213년)
1 개요
후한 말의 인물. 유장 휘하의 장수. 촉군(蜀郡) 사람.
연의로 인하여 유장군의 에이스로 알려져 있으나 정사에서는 그 정도까지는 아닌 장수.
2 정사
선주전에 주석으로 달린 익부기구잡기에 따르면 집안은 대대로 한미한 가문이었지만 어려서 담력과 용기가 있고 지조와 절개를 갖추니, 주의 종사로 복무하게 되었다.
선주전에 따르면 유장은 유괴, 냉포, 장임, 등현 등을 보내 부(涪)에서 유비를 막게 했으나 모두 격파되었고, 물러나 면죽현에 의지했다.
선주전에 주석으로 달린 익부기구잡기에 따르면 유장이 장임, 유괴를 보내 정병을 이끌고 부(涪)에서 유비를 막게 했는데, 유비에게 격파되자 물러나 유장의 아들 유순과 함께 낙성을 지켰다. 장임이 군사를 이끌고 안교로 출전해 싸웠으나 다시 패하고 사로잡히게 되었다. 유비는 장임이 충성스럽고 용맹하다는 것을 듣고 군사들에게 명해 그를 투항하게 했다. 장임이 성내며 외쳤다.
노신(老臣)은 끝내 두 주인을 섬기지 않는다.
이에 그를 죽였는데, 유비가 탄식하며 애석해했다.
3 연의
삼국지연의에서는 유장군의 에이스로 등장한다. 유비가 서천으로 침공해 오자 유비군의 공격에도 오랫동안 낙성을 지켜냈다. 매복하여 방통을 전사시키는 전과를 올리기도 하며 승세를 타고 유비까지 죽이려고 했으나 때마침 구원을 온 장비와의 일기토에서 승부를 내지 못하고 물러난다.
자치통감에 따르면 정사에서는 방통보다 장임이 먼저 죽었다. 낙봉파에서 장임이 방통을 사살한 것은 나관중의 창작으로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더욱이 '낙봉파'는 실존하지도 않는 허구의 지명이다.
정사에서는 장비가 촉에 도착하기 전에 장임은 이미 유비에게 처형되어 목숨을 잃었다. 정사에서는 제갈량, 장비, 조운은 낙성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유비 본대와 합류한 시기는 유비가 자력으로 낙성을 함락시키고 성도를 포위할 무렵이다. 즉 장임과 장비와의 일기토는 연의의 창작이다.
이후 제갈량이 도착해 장임을 꾀어낼 작전을 세우고, 그의 유인 작전에 걸려 성을 빼앗기고 패주하다가 유비군에게 붙잡힌다. 유비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등용을 거부하며 "충신은 죽더라도 두 주인은 섬기지 않는다."라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
4 미디어 믹스
4.1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0,11 |
삼국지 12,13 |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통솔력과 무력이 높은 유장군의 에이스 무장으로 나온다. 덧붙여 자신을 노신이라고 지칭하는 것을 보면 상당한 고령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시리즈 내내 젊은 모습으로 등장한다.[1] 시나리오 1에서부터 10대로 등장하고 213년 무렵에는 30대 중반의 나이.
삼국지 1에서는 무력이 94. 충격과 공포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지력 67/무력 88/매력 71. 엄안보다 무력이 높고 지력이 약간 떨어지는 수준. 단, 특이한 점은 성도 방어전마다 기이할 정도의 보정을 받고 나온다는 점. 80대 후반의 무력이 어색하게 90대 초반의 무장들은 다 씹어먹고 관우나 장비를 상대로도 이기거나 비기는 쾌거를 자주 보인다.
삼국지 3에서는 육지 84/수지 71/무력 87/지력 69/정치 65/매력 76/야망 8/운 10/냉정 14/용맹 8. 전작에 비해 많이 너프된 감이 없지 않으나 그게 아니라 전작에서 너무 강했었다. 그래도 엄안, 뇌동과 더불어 세력의 쓰리톱이다. 공격은 이 세 명이, 방어는 오의와 장익이 하면 좋다. 냉정이 워낙 좋다보니 저 지력임에도 불구하고 계략에는 어지간해서는 걸리지 않는다. 게다가 끝까지 유비에게 항복하지 않은 점이 강력히 반영되어 의리는 97. 거의 탑클래스 수준이다. 이 정도 의리 수치라면 충의지사라고 해도 무방하다.
삼국지 5에서는 89/75/43/78에 봉시, 횡액, 장사 진형을 갖추고 있으며 분기, 화시, 침착, 원시, 수습, 혼란을 특기로 가지고 있다. 장임과 엄안의 형액, 오의의 방원으로 뭉친 익주 세력은 공략이 쉽지 않다. 특히 한중에서 자동 방면으로 간다거나 자동에서 성도로 진격시에는 무력 좋고 지력도 좋은 장임이 막고 있는 관애의 체감 난이도는 상당할 정도. 의리 수치도 7점 만점에 7로 포로로 잡아서 등용을 권해도 거의 안 들어온다. 다만 유장군의 AI가 전투를 굉장히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 시리즈에서 중요한 용명 획득에 큰 지장이 있다. 제 아무리 장임이라도 겨우 군사장군이나 파로장군 등을 가지고 있으니 장기적으로는 버틸 수가 없다. 유장 휘하에서는 무력 88인 엄안과 함께 무력 투톱 맹장이지만 유비나 조조와 같은 다른 세력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다. 다만 주변 세력인 장노나 유표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편.[2] 전쟁에선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가상모드로 무술대회가 열리면 그야말로 안습하다. 항상 유장 세력 대표로 오는데 어차피 대부분 세력들이 90대 중후반 무장을 대표로 보내는지라 털리는 것이 다반사. 그래도 생각보다 강하다. 가끔 필살기 따위를 써서 부상으로 무력이 깎이거나 연타를 날려서 무력이 높은 상대를 잡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 85/무력 89/지력 76/정치 62. 성격이 냉정이라 돌발 행동을 하거나 계략에 잘 걸리지도 않고 보병 최고 병법인 '분신'과 노병 최고 병법 '연노'를 모두 지니고 있어 공성전, 야전에서 모두 맹활약하는 강력한 무장이다. 야전용 병법과 공성 전용 병법을 둘 다 마스터한 장수는 여포 외에는 장임 밖에 없고, 장임의 통솔력은 장비, 황충, 위연보다 좋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7/무력 86/지력 74/정치 57/매력 78에 특기는 13개로 그야말로 유장군의 넘버원. 평시에는 보수, 훈련 특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전투에선 일기토를 포함하여 특기가 빵빵한지라 유장군에선 독보적이다. 거기에 성격이 냉정이라 책략에도 잘 안걸리고 일기토도 잘 안 받아준다. 의리가 가장 높은 의사라 등용이 쉽지 않은 것이 난점. 시나리오 2 이전에는 성도에 재야로 등장하는데 사병으로 무려 노병 3000을 데리고 있다. 돌기병을 들고있는 이민족 장수들과 더불어 약소 세력들의 희망.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8/무력 84/지력 78/정치 59/매력 76. 노병/극병 적성이 S, 특기는 궁장이라 꽤나 막강한 모습을 보인다. 통솔과 무력, 지력이 높기 때문에 유장/유언으로 플레이할 시에는 군의 에이스로 활약한다. 또한 PK에서는 육성을 통해서 통/무/지 모두 90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참고로 유비가 처음부터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 관계를 가상으로 설정하지 않거나 에디트를 하거나 항복 권고를 받아내지 않으면 유비 진영에서는 절대 영입이 불가능하다.[3] 다만 군주인 유장이 성격상 항복 권고가 잘 먹히므로, 유장을 탈탈 털어서 땅 하나 남겨두고 항복을 받아낼 경우 그대로 휘하 무장으로 들어오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비를 혐오하는 왕루도 등용이 가능하다.
삼국지 12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84/84/78/59이며 궁병 병과에 전법은 원맹사. 황충이 기본 능력이 더 좋지만 전법의 차이로 인하여 황충보다 더 좋다. 지형이 까다롭거나 성문이 많아 공략하기 까다로운 도시에서 수비를 굳히면 난공불락이란 말이 실감이 날 것이다. 재동에서 성벽 위의 장임이 원사병격을 쓴다고 생각해보자. 끔찍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83/80/78/59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과 무력이 칼질 당했다. 특히 무력이 엄안이나 냉포보다도 낮아졌다. 연의에서는 그래도 나름 장비랑 맞짱도 뜬 인물인데 시리즈가 계속될 수록 점점 너프만 당하고 있는 불쌍한 장수가 되었다. 대신 창병 적성과 궁병 적성이 높은 편이라 유장군 중에선 여전히 쓸만한 장수이다. 특히나 궁병 적성을 올려주는 중신 특성인 궁병조련을 지닌 장수인지라 궁병 적성이 높은 장수들이 많은 유장군에서는 귀중한 존재이다. 보유 전법은 방어 30 사기 20을 올리고 역경을 부여하는 역경강화.
영걸전 선주입촉에서 등장하며 절개를 지키는 모습을 보인다. 항복을 권유하는 장비에게 자신의 주인은 한 왕실이 아니라 유장이며, 장비에게 "그대도 의형제를 배신하라는 말에는 무슨 소릴 해도 따르지 않을 거 아닌가."라고 하자 장비의 말문이 막힌다. 그리고 이렇게까지 배려해준 데 대해 속으로 깊이 감사한다고 말하며 사망한다.
4.2 영걸전 시리즈
영걸전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영걸전에만 등장한다. 낙의 전투 1과 2에서 등장하는데 1에서는 레벨이 39인데도 불구하고 연노병으로 나온다. 방통이 화살에 맞아 죽는다는 고증을 반영한 듯 하다. 또한 발석차로 나올 경우 공격력이 더 올라가서 방통 살리기의 난이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조정한 듯하다. 낙의 전투 2에선 발석차로 나오고 장비와 일기토가 있다. 엄안을 설득했을 때처럼 장비가 장임을 설득하려 하지만 응하지 않고 결국 장비의 손에 최후를 맞는다.
4.3 삼국전투기
장임(삼국전투기) 문서 참조.
4.4 창천항로
창천항로에서는 패배하여 붙잡힌 장면으로만 등장한다.[4] 강인한 노장의 이미지로 묘사되며 매부리코가 특징. 이때 정사의 '노신은 죽더라도 두 주인을 섬기지 않는다.'는 대사를 하며, 작중 유비는 촉의 무장치고 드물게 알려진 이름이라 하며 옛날에 '매부리코 장임'이라는 별명의 협객이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유비가 차가운 표정으로 한번 뱉은 말은 갈가리 찢어도 주워담을 수 없다는 것이냐 묻자 활짝 미소를 짓는 것으로 대답을 대신하고 있으며 처형되는 장면은 생략되었지만 이후 유장에게 낙성이 함락되고 장임이 처형되었다는 전령의 보고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