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휘하의 4대 부서 | |||
총참모부 | 총후근부 | 총장비부 | 총정치부 |
- 정자체: 總參謀部
- 간자체: 总参谋部
-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General Staff Department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소속의 군 참모부서로 타군의 합동참모본부와 비견된다. 중국의 육방부 기질로 인해 총참모부의 장인 총참모장은 사실상 인민해방군 육군 출신들이 독점한다. 총참모장은 보통 중앙군사위원회의 위원을 겸한다. 중국에선 제복군인 가운데 총참모장이 법적으로 최선임은 못 되는 게 당의 위원회에 더 선임인 군인들이 있다.[1] 군부 내의 보직만 따지면 총참모장이 최선임이긴 하다.
1 개요
중국군의 조직과 군사적 리더십을 관리한다. 군령권이나 군정권은 한국군 합참과 비교하면 좀 애매하다. 보급이나 군수 등의 기능이 총후근부나 총장비부에 있기 때문이다. 뭐 한국군도 군정권은 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에 있긴 하지만.
2 역사
1927년에 중국 공산당 내에 설치된 중앙군사부가 그 원형이다. 첫 의장은 저우언라이였다. 문화대혁명 기간에 조직이 반와해되었다가 1976년에 덩샤오핑이 복원하였다.
3 구성
총참모장과 부총참모장 5인, 총장조리(總長助理) 2인으로 구성된다. 총참모장은 한국의 합참의장에 비견되며 부총참모장은 합참차장에 해당한다. 총장조리는 총장을 보좌하는 참모들이다. 부총참모장 5명 중 2명은 총참모장과 같은 상장 계급자가 담당하며 나머지 3명과 총장조리 2명은 중장이 보임된다.
- 총참작전부(总参作战部/1부)
- 총참정보부(总参情报部/2부)
- 총참기술정찰부(总参技术侦察部/3부)
- 총참전자부(总参电子部/4부)
- 총참신식화부(总参信息化部5部)[2]
- 총참군무부(总参军务部)
- 총참군훈부(总参军训部)[3]
- 총참동원부(总参동部)
- 총참관리보장부(总参管理保障部)
- 총참육군항공병부(总参陆军航空兵部)
- 총참인민해방군전략규획부(中国人民解放军战略规划部)
- 중공중앙판공청경위국(中共中央办公厅警卫局/61889부대)[4]
- 총참측회도항국(总参测绘导航局)[5]
- 총참궤요국(总参机要局)[6]
- 총참정치부(总参政治部)
- 총참판공청(总参办公厅)[7]
- 중국인민해방군난징[8]육군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南京陆军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스좌장[9]육군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石家庄陆军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포병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炮兵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공정병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工程兵指挥学院)[10]
- 중국인민해방군방화지휘공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防化指挥工程学院)[11]
- 중국인민해방군육군항공병학원(中国人民解放军陆军航空兵学院)[12]
- 중국인민해방군이공대학(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13]
- 중국인민해방군신식공정대학(中国人民解放军信息工程大学)[14]
- 중국인민해방군전자공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电子工程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외국어학원(中国人民解放军外国语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체육학원(中国人民解放军体育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국제관계학원(中国人民解放军国际关系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국방신식학원(中国人民解放军国防信息学院)
- ↑ 한국으로 치면 국방부와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복군인이 들어가 근무하는 셈이라서.
- ↑ 신식은 중국어로 정보이며 신식화는 정보화를 뜻한다.
- ↑ 군사훈련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 ↑ 과거의 8341부대로 수도인 베이징과 고위층을 보호하는 경비부대이다.
- ↑ 항공유도와 지도 제작 등을 맡은 부서이다.
- ↑ 궤요는 중국어로 기밀을 뜻한다.
- ↑ 판공청은 판공실보다 규모가 큰 행정부서로 총참의 행정처를 뜻한다.
- ↑ 난징은 중국 남부의 도시로 중화민국 시절 수도였다.
- ↑ 중국 허베이 성의 성도(省都)이다.
- ↑ 공병을 교육하는 곳이다.
- ↑ 화생방을 교육하는 곳.
- ↑ 육군 항공대를 교육하는 곳.
- ↑ 인민해방군/사관학교의 하나.
- ↑ 인민해방군/사관학교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