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uniformed. 현역군인을 가리키는 영어식 표현이다. 한국어에서도 간혹 쓰이기도 한다. 그 예가 되는 문장으로 "합동참모의장은 제복군인 중에 최선임자이다."
군인 중에 특수임무를 맡은 경우엔 군복을 입지 않고 근무하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제복을 입기 때문에 제복군인은 현역에 복무 중인 군인을 가리키는 표현이 되었다.
uniformed services라고 하면 꼭 군인뿐만 아니라 경찰, 소방관, 응급구조요원 등을 가리키기도 한다.
2 각 국가별 제복군인 최선임자
한국군, 미군, 자위대의 경우엔 합참의장이 최선임이 된다. 자위대는 통합막료장이란 표현을 쓴다. 영국군이나 프랑스군, 독일군 등도 국방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사용하는데 합참의장과 성격이 비슷하다. 러시아군, 중국 인민해방군은 총참모장, 중화민국군은 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합참의장을 뜻한다. 각군 참모총장은 총사령관(러시아군)/사령원(중국 인민해방군)/사령(중화민국군)이란 표현을 쓴다.
러시아군, 중국군, 북한군은 현직 제복군인이 국방장관을 지낸다. 물론 북한의 경우는 국가수반도 제복군인이긴 하지만[1] 이런 점은 넘어가자.
영어로 번역하면 이런 식이 된다.
- 합동참모의장(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Staff): 주로 유럽의 제복군인 최선임을 가리키며 기능상 합참의장과 다를 바 없다.
- 총참모장(Chief of the General Staff): 다만 이 표현은 영국군의 육군참모총장을 가리키는 표현도 된다. 육군 중심의 표현이라 이해하면 된다. 육군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 공산권의 최선임 군인도 이 표현으로 번역하는 이유다. 또한 이스라엘군도 해당 표현을 사용한다.
2.1 세계 주요국가의 최선임제복군인
국방장관을 제복군인으로 앉히는 나라도 있긴 하지만 여기서는 국방장관을 제외한 작전권 지휘나 최선임 군인으로 대우받는 직위의 사람들을 서술한다. Chief of the General Staffs의 경우에는 총참모장으로 번역했고 Chief of Staff가 전군을 대표하는 경우에는 참모총장으로 번역했으나 이 경우에는 한국의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과는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군명 | 직위 | 이름 | 군종/계급 | 생년 |
대한민국 국군 | 합동참모의장 | 이순진 | 육군 대장 | 1954년 |
미군 | 합동참모의장 | 조지프 던퍼드 | 해병 대장 | 1955년 |
러시아군 | 총참모장 겸 국방 1차관 | 발레리 게라시모프[2] | 육군 대장 | 1955년 |
중국 인민해방군 |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3][4] | 판창룽 쉬치량[5] | 육군 상장 공군 상장[6] | 1947년 1951년 |
인도군 | 참모총의장[7][8] | 아룹 라하[9] | 공군 대장 | 1954년 |
영국군 | 국방참모총장 | 스튜어트 피치 | 공군 대장 | 1956년 |
프랑스군 | // | 피에르 드 빌리에르 | 육군 대장 | 1956년 |
독일군 | 연방군총감 | 볼커 위커 | 육군 대장 | 1954년 |
터키군 | 총참모장 | 훌르시 아카르 | 육군 대장 | 1952년 |
중화민국군 | 참모총장 | 옌더파 | 육군 상장 | 1952년 |
자위대 | 통합막료장 | 가와노 가쓰토시 | 해군 대장 | 1954년 |
이스라엘군 | 총참모장 | 베니 간츠 | 육군 중장[10] | 1959년 |
이탈리아군 | 국방참모총장 | 클라우지오 그라치아노 | 육군 대장 | 1953년 |
이집트군 | 총참모장 | 마흐무드 헤가지 | 육군 중장 | 1956년 |
브라질군 | 합동참모의장 | 호세 카를로스 드 나르디 | 육군 대장 | 1944년 |
파키스탄군 | 합동참모의장 | 라샤드 마흐무드 | 육군 대장 | ? |
캐나다군 | 국방참모총장 | 조나단 반스 | 육군 대장 | 1964년 |
폴란드군 | 총참모장 | 미에치슬라우 고쿨 | 육군 대장 | 1963년 |
인도네시아군 | 총사령관 | 모엘도코 | 육군 대장 | 1957년 |
호주군 | 국방참모총장 | 마크 빈스킨 | 공군 대장 | 1960년 |
우크라이나군 | 총참모장 | 빅토르 무젠코 | 육군 대장 | 1961년 |
이란군 | 총참모장 | 핫산 피로자바디 | 바시즈[11] 소장 | 1951년 |
베트남군 | 총참모장 | 도바띠 | 육군 상장 | 1954년 |
태국군 | 국방참모총장 | 타나삭 빠띠마쁘라꼰 | 육군 대장 | ? |
사우디아라비아군 | 총참모장 | 후세인 이븐 압둘라 알 구바옐 | 육군 중장 | ? |
시리아군 | // | 알리 압둘라 아유브 | 육군 중장 | ? |
스위스군 | 참모총장 | 앙드레 블라트망 | 육군 중장 | 1956년 |
스페인군 | 국방참모총장 | 페르난도 가르시아 산체스 | 해군 대장[12] | 1953년 |
스웨덴군 | 총사령관 | 스베르케르 예란손 | 육군 대장 | 1954년 |
체코군 | 총참모장 | 요세프 벳바르 | 육군 중장 | 1958년 |
알제리군 | 참모총장 | 아흐메드 가이드 살라 | 육군 대장 | 1940년 |
네덜란드군 | 국방참모총장 | 톰 미덴도르프 | 육군 대장 | 1960년 |
멕시코군 | 국방장관[13] 해군장관[14] | 살바도르 제페다 비달 프란치스코 소베론 싼스 | 육군 대장 해군 대장 | 1948년 1953년 |
벨기에군 | 국방참모총장 | 게라드 판 카엘렌베르게 | 공군 대장 | 1952년 |
오스트리아군 | 참모총장 | 오트마 코멘다 | 육군 대장 | 1954년 |
필리핀군 | // | 그레고리오 피오 카타팡 | 육군 대장 | 1959년 |
말레이시아군 | // | 줄키펠리 모하메드 진 | 육군 대장 | 1954년 |
노르웨이군 | 국방참모총장 | 하콘 브룬 한센 | 해군 대장 | 1960년 |
에티오피아군 | 불명 | 불명 | 불명 | 불명 |
조선인민군 | 총정치국장 | 황병서 | 인민군[15] 차수 | 1940년 |
- ↑ 김정은이 공화국 원수, 김일성과 김정일이 대원수 계급장을 달고 있는 제복군인이다.
대원수 계급장이야 뒈져야 주는 계급이지만... - ↑ 사실 러시아 연방군 전체적으로 따지면 국방장관인 세르게이 쇼이구 대장이 최선임자이긴 하나, 쇼이구의 경우 본래 러시아 연방군 출신이 아닌 비상대책군 출신에 '군인 신분과 계급이 부여된 관료' 이므로 순수 군인 출신으로서는 게라시모프가 제복군인 최선임자인 것이다.
- ↑ 2명이 임명되는데 (중군위 주석은 일반적으로 국가주석이 겸임), 이중 1명은 군 출신이 아닌 경우도 있다.
- ↑ 연합참모부 참모장이 작전부대를 통솔하긴 하나, 엄연히 말해서 중군위 부주석 또한 국가주석을 보좌하여 군 통수권을 행사하므로 사실상 중국군 최고의 제복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
- ↑ 공군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중군위 부주석에 올랐다.
- ↑ 공산권의 다른 상장(Colonel General)이 중장과 상당하는 것과 달리 중국의 상장은 타국의 대장에 상당한다. 중국군 측에서도 상장을 영어로 번역시 대장에 해당하는 General로 번역하기도 하고.
- ↑ Chairman of the Chiefs of Staff Committee
- ↑ 별도의 장성을 임명하는 것이 아닌 각군 참모총장이 번갈아서 겸직하는 체제로 임명된다.
- ↑ 공군참모총장을 겸직하고 있다.
- ↑ Rav Aluf는 서방에서는 중장급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간주하나 사실 계급의 고유 의미와 권한을 보면 대장에 더 가깝다.
- ↑ 1979년 이슬람 혁명 당시 활동했던 민병대로 구성된 준군사조직이다.
- ↑ 독일 해군에서는 General Admiral이 상급대장으로 번역되는 반면 스페인 해군에서는 그냥 대장 계급에 해당하며 상급대장이란 계급은 없다.
- ↑ 육군과 공군(편제적으로는 육군 항공대 개념에 더 가까움)을 통솔한다.
- ↑ 헌법상의 이유로 통합사령부가 없이 독자적으로 각 군을 대표하며, 장관이 참모총장의 직무를 겸하는 체제이다.
- ↑ 노동당에서 주로 있다가 북한군 총정치국으로 들어온 경우이기 때문에 특정 군 소속으로 보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