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쇠고기, 두부, 깍뚝썰기한 무가 핵심이 되는 쇠고기 무국의 한 바리에이션이다.
제삿밥의 중요한 요소로, 제사상 나물을 비벼 비빔밥을 해먹을때 탕국이 안 들어가면 섭섭할 정도. 쇠고기 무국이 기본이므로 시원하고 부담없는 맛으로 어떤 밥상에도 어울릴만한 좋은 국인데, 이상하게 헛제삿밥이 아니면 식당가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지역/가정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음식이 탕국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남은 명절 음식(주로 전)을 몽땅 냄비에 넣고 끓여버리는 잡탕이라던가.
2 지역 별 바리에이션
참고로 두부, 소고기, 무 이 3가지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기본으로 들어간다.
부산 지방에서는 어묵, 경남 해안 지방에서는 홍합, 새우, 오징어 같은 해산물도 들어간다. 어묵이 들어가는 부산 경남식은 어묵탕 느낌도 난다. 곤약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탕국은 무우도 부드러워질 정도로 익히는데 곤약만 탄력이 지나쳐 식감 상 좀 안 어울리는 편.
대구, 경북의 경우 쇠고기와 문어의 투톱체제. 이상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낙지나 문어는 의외로 소고기와 궁합이 좋다. [1]
경기 일부지방에서는 말린 북어와 양고기를 넣는 경우가 있는데, 양고기의 비릿한 맛을 잡기가 힘들어 쉽게 먹기 힘든 경우도 있다.
강원도에서는 명태와 소고기, 다시마를 넣는다. 객관적으로 볼 때 맛은 별로다. 오히려 소고기를 빼는게 훨씬 맛있다.
타 지방의 구성 방식은 추가바람.
3 끓이는 법
- 쇠고기를 냄비에서 참기름으로 들들 볶는다. 이때 다진 마늘 등을 좀 넣어주기도 하나 제사상에 오르는 탕국은 마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볶은 쇠고기에 무를 먼저 넣어 한 번 더 볶아주고 국물을 붓는다. 육수(멸치육수, 다시마 육수)를 사용해도 좋지만 그냥 물을 넣어도 상관 없다.
- 어느정도 무가 익으면 두부, 어묵 등 나머지 재료를 넣어주고 팔팔 끓여준다. 이때 거품은 걷어내줘야 텁텁함이 가신다. 탕국다운 느낌을 살리려면 두부, 어묵, 무를 비슷한 크기로 깍둑썰기하는 것이 좋다.
- 간은 소금으로 했을 때 맑은 국으로 깔끔한 맛을 낼 수 있고, 국간장으로 간을 하면 국물의 색과 맛이 진해진다.
- ↑ 다만 친척인 오징어는 돼지고기와 더 궁합이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