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뎅

1 일본 요리

odenyoko.JPG
뎅뎅뎅뎅뎅

어묵(생선묵), 곤약, 무, 유부 및 기타 야채 등을 다시 국물에 익혀 건져먹는 요리. 샤브샤브와의 차이점은 오뎅 재료들이 전용 용기에 담겨서 이미 끓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주인에게 원하는 품목을 주문하면 국물에서 건져 앞접시에 덜어주는 스타일의 요리이다. 뜨거운 국물에 담긴 채 진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포장마차 오뎅과 대동소이하지만, 이쪽은 원조인만큼 들어가는 재료의 바리에이션이 좀 더 넓다. 소심줄(스지), 만두(!) 같은 것도 당당한 오뎅 재료.

밥반찬부터 술안주[1]까지 다양한 곳에서 사랑받고 있다.

본디 일본식 오뎅은 국물을 먹지 않고 건더기(곤약, 어묵, 낙지 등)만 건져서 먹는 건더기 위주의 요리였다. 사실 일본의 나베요리들이 대부분 이런 편인데,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오뎅이 국물요리를 선호하는 한국인 취향에 맞게 변한 것이 아래의 길거리 오뎅. 따지고 보면 베트남 요리의 소고기 쌀국수(퍼 보)와도 유래가 비슷한 셈.

그런 논리로 아예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음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여럿 있는 모양. 댓글에도 보면 일본에선 이젠 아예 어묵을 먹지 않는다는 황당한 주장을 하며 이젠 우리나라 고유 음식이라고까지 주장하는 사람까지 있는 실정. 혐한들이 이 글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따지면 일본의 김치찌개도 일본 독자적인 음식이라고 봐야 한다. 이유는 해당항목 참조.

2 어묵과 오뎅

위의 설명대로 어묵은 생선으로 만든 묵이고 오뎅은 어묵 등을 넣고 끓인 탕 요리이지만, 처음 한국에 들어올 때 건더기인 어묵을 오뎅이라 하는 줄 알고 착각하여 오뎅이란 말이 어묵을 의미하는 말로 정착하였다. 이런 식으로 따지면 오뎅탕은 어묵탕으로 역전앞 처럼 의미가 중복되지만, 구어에서는 오늘날에는 어묵과 오뎅 둘 다 혼용되고 있다.

사실 어묵의 일명은 오뎅이 아니라 가마보코(かまぼこ)가 맞다.[2] 즉 어묵을 오뎅이라고 하는 것을 일본 사람들이 김치를 김치찌개라고 부르며 끓인 요리를 김치찌개탕이라고 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

흔히 어묵 = 오뎅이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네이버 일본어 사전에서 풀이한 오뎅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산초(山椒)의 순을 으깨어 섞은 된장을 두부에 발라 구운 음식.(=木の芽でんがく)

2.꼬치 안주.

즉, 사전에 따르면 오뎅은 결코 어묵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것이다.

현재 일본어 사전에서는 오뎅이란 단어를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1]

1 さつまあげ・はんぺん・焼きちくわ・つみれ・蒟蒻 (こんにゃく) ・大根などを、汁をたっぷり使って煮込んだ料理。煮込みおでん。関西では、関東だき・関東煮とよぶ。《季 冬》「硝子戸に―の湯気の消えてゆく/虚子」 2 田楽豆腐。また、木の芽田楽。3 蒟蒻 (こんにゃく) を串 (くし) に刺し、練り味噌を付けた食品。

즉, 우리나라 일본어 사전에서 나오듯 두부 꼬치 요리라는 의미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온갖 재료를 넣고 끓인 국물 요리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는 얘기다.

이런 식으로 외국어가 전해지면서 뜻이 잘못 전해져 원어에서의 뜻과 달라지는 사례는 오뎅 말고도 많다. 콩글리시 항목을 보면 영어가 한국에 전해지면서 이상한 뜻으로 전해진 사례를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일본어도 이런 와전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사례가 '오뎅'이다.

2016년 2월 26일 SBS 카드 뉴스에서도 이 문제를 지적한 기사가 나왔다.

하지만 문제는 이 기사 또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인용했듯이 오뎅은 어묵이 반드시 들어가지 않는다. 사전에서 본래 두부에 된장을 바른 꼬치 요리라고 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런데 문제의 기사에서는 어묵에 국물이 들어가면 오뎅이 된다고 잘못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견해는 아예 반대로 설명했다. 본래는 국민들이 어묵=오뎅이라 인식하고 있으므로 설령 일본에서 어묵탕을 오뎅이라 부른다고 해도, 우리가 어묵탕을 오뎅이라 부를 수 없다는 것인데, 이 기사에서는 오뎅을 어묵탕으로 부를 수 없다고 한 것(...)

3 길거리 음식

파일:Attachment/오뎅/e0019531 4c58c2d518066.jpg

한국에서는 길거리 음식의 대표주자 중 하나이다. 떡볶이, 순대, 튀김 등과 경쟁과 협동을 함께 하는 숙명적 라이벌 관계이다. 다른 분식 음식에 비해 오뎅이 특이한 점은 따끈한 국물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매콤한 떡볶이로 입을 지진 후에 오뎅 국물로 헹구면 이만한 것도 없다.

길거리에서 파는 오뎅은 얇은 어묵을 접고 접어 지그재그로 꽂은 형태와, 곤봉처럼 기다란 오뎅 덩어리 하나를 꽂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 맛과 양은 비슷하지만 굵은 어묵은 뜨겁고 탱글탱글한 식감이 좀 더 오래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고, 얇은 어묵은 국물 맛과 간장이 잘 스며든다는 장점이 있다. 두 종류의 어묵 모두를 파는 경우엔 지그재그 형태의 어묵이 조금 더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부산광역시등지에서는 가래떡과 묵을 꽂아 팔기도 한다. 은근 부산 사람은 외부에 이게 없음에, 외지 사람은 이런게 있음에 놀란다고 한다.

예전에는 간장 종지를 사용했으나, 위생 논란이 일어 김에 참기름을 바를 때 쓰는 솔로 간장을 발라먹거나, 작은 그릇에 덜어주거나, 스프레이로 뿌려먹거나, 전자동 간장 발사기계(!?)[3]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오뎅꼬치 재활용 위생은

떡볶이보다 더 분식집이나 노점상들의 개성이 드러나는 게 오뎅과 오뎅국물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는 오뎅과 국물용 멸치, 다시마, MSG (...) 맛이지만 추가로 , , , 고추, 새우, 북어, 후추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해당 분식집 개성에 따라 들어가기도 한다.

4 편의점 오뎅

한국에서는 2008년경부터 편의점에서도 오뎅을 팔기 시작했다. 원래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해왔지만, 중국, 한국, 독일 등에 들어온 지는 얼마 안 되었다. 처음 들여온 곳은 세븐일레븐이며, 길거리에 비해 비교적 깔끔한 매장 내에서 먹을 수 있으며, 간장도 1회용 포장으로 된 것을 주기 때문에 나름 인기가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 먹는 사람은 많지는 않다. 일단 오뎅이 주력상품이 아닌데다 몇시간 잠깐 영업하는 포장마차에 비해서도 24시간 영업이기 때문에 상품의 회전율이 불분명하여 품질의 신뢰도가 낮기 때문. 즉, 다시 말해 이걸 언제부터 익히기 시작했는지, 국물은 언제 갈았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잘 사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편의점 상품 특성상 회전율이 보장되면 또 그만큼 잘 팔린다는 것이라 제대로 된 오뎅을 먹으려면 오뎅이 잘 팔려 회전율이 높은 지점에 가야한다. 부익부 빈익빈 국물은 조미용 농축액을 따로 납품을 받아 희석시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오뎅국물이 짭짜름한 게 꽤나 중독성 있다. 그리고 편의점마다 있는 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으니 주의.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상품 특성상 오뎅이 잘 팔리거나 잘 안 팔리거나 둘 중 하나이기 때문에 초도물량을 적당히 팔아보고 회전율이 안 나온다 싶으면 점주들이 과감하게 포기해버린다.

5 자작 오뎅

오뎅은 술안주(특히 소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주변에 포장마차나 분식점이 없거나 자기 입맛대로 먹고 싶은 사람들은 직접 만들어보자. 라면보다 시간은 좀 더 걸리더라도 라면만큼 간단하다.

<기본 준비물 : 3~4인용 기준>
무 : 150g
멸치 : 中 사이즈 5~6마리
파 : 1뿌리
어묵 : 적당량(4각 어묵 기준으로 3,4장이면 적절하다. 물론 조절에 따라 더 늘릴 수 있다.)

<기본 조미료>
소금, 미원

<추가재료>
청양고추 : 2개 이상
마늘 : 5개 이상
버섯, 곤약, 쑥갓 등

<조리 순서 남자의 요리법 기준>

0. 물을 받는다. 다만 이 요리법 기준으로 물은 내다 버리는 것 별로 중요하지 않다.

  1. 무를 토막내어 멸치, 파와 함께 끓인다. 무를 잘게 자를수록 조리시간이 줄어든다.
  2.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진간장을 밥숟가락으로 3스푼 넣고 계속 끓인다.
  3. 젓가락으로 찔러봐서 무가 물렁해지기 시작하면 멸치를 건져내고 어묵(+ 곤약)을 넣는다.
  4. 이제 자리를 뜨면 안 된다.즉, 그전까진 굳이 자리를 지킬 필요가 없다.
    어묵을 넣고 유심히 보다 어묵이 갑자기 확대되며 물이 끓어 넘치려고 하면 불을 줄인다. 그리고 이때쯤 되면 어묵이 거의 다 익었으니 기타 재료(버섯, 쑥갓, 청양고추 등)를 모두 넣어준다.
  5. 넣은 재료들이 가라앉고 2, 3분쯤 지나면 불을 끈다. 이때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춘다. 그리고 미원을 아주 약간(반꼬집[4] [5]) 넣는다.

6 기타

어묵 제조시 들어가는 첨가물이 발암물질로 의심되고 있다. '스테비오사이드'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스테비아라는 허브에서 추출한 물질이란 것이다. 감미료로도 쓰인다. 또한 첨가물로 들어가는 감미료 중 하나인 소르비톨설사를 유발한다. 적당히 먹자.

미놀타에서 생산되던 저가형 망원렌즈 70-210mm F3.5-4.5의 별명이기도 하다. 자매품(?)으로 김밥(70-210mm F4), 형님김밥(75-300mm F4.5-5.6 ), 충무김밥(100-200mm F4.5) 등의 분식 시리즈가 있다(...)

위기탈출 넘버원에 의해 3대 위험한 간식으로 소개된 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바로 오뎅꼬치 때문. 한창 뛰어다니고 장난을 치기 쉬운 어린이들이 이걸 들고 있다가 넘어지거나 순간적인 외부 충격으로 쑤셔버리는 것으로, 안면 결상은 물론 실명, 파상풍,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것. 뭐 위기탈출 넘버원에서는 뭘 해도 사망이지만... 이 때문인지 몇몇 포장마차에선 끄트머리를 잘라주거나 나무젓가락에 옮겨서 준다. 이동욱, 현영이 남녀 주인공으로 출연했던 영화 최강 로맨스 초반부에, 여주인공(현영)이 든 오뎅꼬치에 범인을 쫒던 형사(이동욱)의 몸이 찔려 부상을 입고 병원에 가게 되는 장면이 나온다.

모 아프리카 BJ가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희생자들을 일명 오뎅탕에 비유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해당 항목 참고.

리니지에서는 게임머니인 아데나를 오뎅(...)이라고 돌려말하기도 한다. 더 줄여서 뎅이라고도 한다.

7 관련 항목

  1. 국물이 들어가는 요리인지라 싼 값에 많은 양을 먹을 수 있다. 이 덕분에 안주 값 아끼고 술을 더 마시려는 돈 없는 대학생들에게 사랑받는 안주다.(…)
  2. 그런데 가마보코도 만드는 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구운것(치쿠와, 사사카마보코), 찐 것(카니카마, 스지카마보코), 튀긴것(사츠마아게) 등등이 있으며, 일본 각 지역에는 지방 특유의 가마보코도 여럿 존재할 정도
  3. 센서에 어묵을 가져다대면 간장이 나오는 기계.
  4. 엄지와 검지로 가루를 집는 양만큼을 꼬집이라 한다. 미원은 조금이라도 과하게 넣으면 그동안의 노력이 허사가 되니 주의한다.
  5. 이는 영어의 pinch를 직역한 표현으로 요즘 인터넷 등에서 종종 쓰이지만, 정식 용법이 아니라 사전에는 없다. 정확히 이에 해당하는 올바른 단어로는 '자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