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카카 호

(티티카카호에서 넘어옴)

[1]

파일:Attachment/티티카카호/360px-Lake Titicaca map.png
구글지도

페루볼리비아에 위치한 세계에서 대호(大湖)[1] 로서는 가장 높은 곳에 존재하는 호수.

안데스 산맥 해발 3,810m 지점에 있다.

1 지리적 특징

호수의 면적은 약 8,300㎢[2]에 이르며 호수 형상이 다소 복잡하여 천차만별이긴 하나 지도에서 전체적으로 봤을때 에서 로는 대략 80km, 에서 으로는 대략 190km쯤 된다.

호수 주변의 크고 작은 으로부터 담수가 유입되며 남쪽 끄트머리에 있는 데사과데로 강을 통해 빠져나가는 구조다. 다만 이 강은 전체 담수량 중 겨우 5%정도만 내보낼 뿐이며 대부분은 증발 등으로 소실된다.

수심은 평균 130m 정도이나 동쪽의 볼리비아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구조라 어떤 곳은 최대 수심이 276m에 달하는 곳도 있다. 한때는 수면이 점점 낮아져 호수가 점점 말라간다는 설이 있었으나 실은 계절에 따라 수면이 올랐다가 내려가는 것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있는 것.

이 정도 규모의 호수중에는 특이하게도 이 많으며 크고 작은 섬을 모두 합하면 41개나 된다. 몇몇 섬은 원주민이 거주까지 하고 있고 어업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고지대 호수답게 어종은 그리 많은 편은 아니지만 물이 매우 맑아서 어획량 자체는 풍부하다는 듯. 원래 이 호수에서만 서식하는 티티카카 오레스티아스(Titicaca Orestias)란 희귀종 물고기가 있었는데, 1930년대에 남미로 이주한 미국인들이 북미산 송어를 먹고 싶다고 졸라대는 통에 미국 내무성이 송어를 잡아와서 티티카카 호수에 방류했고, 30년도 채 안되어 완전히 송어들에게 잡혀먹어 멸종되었다. 양키놈들을 죽입시다. 티티카카 오레스티아스는 아주착했습니다

북쪽보다 남쪽이 더 빠르게 융기하고 있어서 남쪽의 호안선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그릇에 물을 담아보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여보자. 물론 이런 류의 현상이 다 그렇듯이 그 차이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2 주변국

위에도 언급한 대로 인접한 국가로는 페루볼리비아가 있다.

특별한 일이 아닌 이상 관광도시로서의 기능은 페루 쪽이 더 나으므로[3] 이 호수를 구경하고 싶은 사람은 대체로 페루로 가기 마련이다. 이 호수를 방문하는 대부분의 여행기는 페루를 통해서 간다. 그와 함께 마추픽추도 필수 코스.

볼리비아는 과거 칠레와의 전쟁 때문에 해안선 쪽의 영토를 빼앗겨 내륙국가(...)가 돼버린 안습한 나라라서 그런지 티티카카호에 해군을 주둔시키고 있다. 심지어는 잠수함까지 운용한다고.잠깐 이거 해군이 아니라 호(湖)군이라고 해야하는 거 아닌가?

사실 볼리비아는 페루와 연합하여 칠레와 전쟁을 벌인 나라로그리고 둘다 사이좋게 탈탈 털렸다. 딱히 페루와 적대적이라 해군을 주둔시키는 건 아니다.

3 떡밥의 호수

그냥 보면 높은 곳에 어쩌다 생긴 호수 같지만 이곳에 사는 원주민들의 문화를 살펴보면 실로 미스테리한 것들이 많다. 왜냐면 이 호수는 잉카문명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뭐 물론 후술하는 부분에 대하여 이미 널리 지지받고 있는 일반적인 설이야 많지만 그냥 이런것도 있구나 라는 식으로 흥미위주로 보기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술할 내용은 일단은 사실이다. 해석은 자유.

  • 이곳의 원주민은 발사뗏목이라는 일종의 갈대로 엮은 배[4]를 사용하는데 이게 지구 정반대편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파피루스 배와 설계가 거의 동일하다는 점이나 이 지역에 존재하는 티아우아나코의 존재도 이런 지역과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 유적이라는 것. 또한 건축양식도 이집트의 그것과 완전히 같다.
  • 이 지역에 사는 우루족은 남다른 자부심을 갖고 있다. 평지의 인간들, 그리고 다른 지역에 사는 케추아족보다 자신들이 훨씬 오래전부터 존속한 민족이라는 것. 심지어 태양이 생기기 전부터 자기네 종족이 존재했다는 드립을 치고 있다.(...) 다만 혈통 연구 결과 이 지역 원주민들이 남미에서 가장 오래된 종족으로 판명되었다고 한다. 개드립이 아주 허튼 소리는 아니었던 셈.
  • 티아우아나코의 경우엔 처음엔 제사를 지내는 제단 정도로 여겨졌는데, 나중에야 이곳에 이 지역을 지배하던 왕국의 수도였음이 밝혀졌고 또한 주변의 오래된 터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항구로 기능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제는 이 곳이 항구가 되려면 지금은 멀찌감치 떨어진 호수와 맞닿아야 하는데, 주변의 지질구조 상 티아우아나코쪽이 더 빠르게 융기하는 구조라 이를 역추적 해보면 건설 시기가 기원전 10,000년 전쯤이어야 한다는, 일반 상식으로는 믿기 힘든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하지만 괴베클리 테페가 출동한다면 어떨까?
티아우아나코 자체가 오래되기도 했고 과거 스페인 사람들에 의한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어서 이제와서 완전한 연구를 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도 하고... 어쨌든 지금 남아있는 유적지보다 훨씬 거대했으리라는 일반적인 시각이다.
  • 또한 이 정도 시설을 건립하는 수준의 문명이라면 농업의 발전 또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데 이 곳은 고지대임에도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전통적인 농법 덕분에 생산량이 많다.

여튼 여러모로 초고대문명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여러가지 흥미거리를 선사해준다.

puno.jpg

티티카카 호의 갈대섬과 갈대배
  1. 흔히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호수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히말라야와 티베트 지역의 얌드록 쵸나 남 쵸 같은 호수들이 알려지기 이전의 이야기고 현재로선 배가 다닐 정도의 큰 호수 중 가장 높은 호수라고 할 수 있다.
  2. 이게 어느 정도 크기냐면 제주도 면적이 1,848㎢, 충청북도 7,431㎢, 전라북도 8,051㎢, 충청남도 8,597㎢이다. 대략 감이 잡히는가?
  3. 페루는 잉카문명의 본거지이다. 그에 반해 볼리비아는...체 게바라 무덤 정도만... 다만 근래에는 볼리비아에 있는 우유니 사막이 대단히 유명해지긴 했다. 물론 그렇다고 이 호수를 구경하러 오는 사람이 굳이 볼리비아로 가느냐는 또 다른 문제지만.
  4. 놀랍게도 이스터 섬에서 이 배와 비슷하게 생긴 석재 모형이 발견된 바 있다. 토르 헤이에르달이 괜히 콘티키 호를 만들어 고대 항해에 도전했던 게 아닌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