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펜티엄III 시리즈

(펜티엄 III에서 넘어옴)
인텔 펜티엄 시리즈
아키텍처 분류제품
P5 아키텍처펜티엄 1 (1993)
(P5·P54C·P54CS·MMX)
P6 아키텍처펜티엄 프로 (1995)펜티엄 2 (1997)
(클라매스·데슈츠)
펜티엄 3 (1999)
(카트마이·코퍼마인·투알라틴)
펜티엄 M (2003)
(베니아스·도선)
넷버스트 아키텍처펜티엄 4 (2000)
(윌라멧·노스우드·프레스캇·시더밀)
펜티엄 D (2005)
(스미스필드·프레슬러)
코어 아키텍처 이후
(보급형 라인)
인텔 펜티엄 듀얼코어 시리즈 (2007)
(PC: 콘로·울프데일·클락데일·샌디브릿지·아이비브릿지·하스웰·스카이레이크·카비레이크)
(모바일: 요나·메롬·펜린·에렌데일·샌디브릿지·아이비브릿지·하스웰·브로드웰·스카이레이크·카비레이크)
아톰 시리즈에서 편입
(보급형/저전력형 라인)
인텔 펜티엄 J, N 시리즈 (2013)
(베이트레일·브라스웰·아폴로레이크)
관련 문서인텔 코어 시리즈인텔 코어2 시리즈인텔 코어i 시리즈


90px-Intel_Pentium_III_Processor_Logo.svg.png

1 개요


인텔에서 출시한 x86호환 CPU.다 같이 외쳐! PENTIUM!!!

1999년 초부터 펜티엄II의 후속 기종으로 등장한 제품군.
데스크탑용 CPU로는 P6 아키텍처를 채용한 마지막 제품. 하지만 P6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펜티엄M 시리즈[1]코어1 시리즈를 거쳐 마침내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처의 코어2 시리즈까지 이어지게 된다.
펜티엄II에서 로마자로 Ⅱ를 쓴 것과 달리 펜티엄III는 느낌표를 세 개 이용하였다 (Pentium !!!).

출시 당시 CPU에 프로세서 고유 넘버 (PSN) 기능을 집어넣었다가 EU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이 일자 보드 바이오스에 PSN을 활성/비활성시키는 옵션을 두었으나 계속된 논란끝에 결국은 투왈라틴 이후부터는 삭제되었다.

2 카트마이 (1세대 펜티엄3)

카트마이 기반 펜티엄3가 1999년 2월 말에 출시되었는데 SSE(Streaming SIMD[2] Extensions)라는 부동 소수점, 벡터, 다중 연산에 특화된 명령어를 탑재, 3D 및 멀티미디어 성능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엄청난 특성 덕분에 국내에서는 1999년 10월 말에 출시된 국민PC의 고급형 사양에 해당되는 제품군이었다. 하지만, SSE 추가와 클럭 향상을 제외하고는 공정도 같으며, 슬롯1을 쓴다는 점까지 펜티엄II 데슈츠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

3 코퍼마인 (2세대 펜티엄3)

1999년 10월부터 출시한 코퍼마인부터 펜티엄3의 신화가 이뤄지는데 초기에는 500MHz 모델로 출발하다가 고클럭 모델들이 줄줄이 출시되었고, 2000년 3월 초에 출시한 'Pentium III 1000'이라는 모델을 기점으로 인텔 CPU로는 마침내 1GHz를 최초로 돌파하였으며 펜티엄 프로 이후로 L2캐시를 다시 다이에 내장시켜서 속도의 향상이 이뤄졌다. L2캐시가 다이에 내장이 가능해진 덕택에 슬롯 방식에서 다시 소켓 방식으로 회귀했다. 이 때문에 소켓 CPU를 슬롯1 메인보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라이저 카드'라는 물건도 나와서 이를 이용하면 보드를 바꾸지 않고도 소켓 CPU를 이용할 수 있었다. 440BX 칩셋의 펜티엄II 보드에서도 펜티엄III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3] 상당한 업그레이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RDRAM과의 악연이 시작된 때도 이 때부터인데, 펜티엄3의 서버용 칩셋에 해당되는 i820이 RDRAM을 지원했기 때문. 이 당시 RDRAM의 가격은 초월스러운 수준이었기 때문에 결국 인텔에서는 SDRAM을 지원하는 i820 칩셋을 내놓았는데, 메모리와 칩셋 간 통신 중에 심각한 데이터 오염이 발생했기 때문에 결국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이 때 맺어진 RDRAM과의 악연은 결국 미친듯한 고가격으로 인해 i850 때도 지속되었다.

4 투알라틴 (3세대 펜티엄3)

2001년 4월 투알라틴 펜티엄3가 출시되었는데 5개월 먼저 나온 1세대 펜티엄4 시리즈를 동일 클럭에서 완전히 발라버리고 - 성능도 투알라틴 > 펜티엄4 윌라멧 이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윌라멧 코어 기반 펜티엄4가 RDRAM 만을 지원한다는 대삽질을 펼친 결과였다. 한마디로 병크 - 오버도 잘 된다고 알려지면서 신화가 되었다. 게다가 투알라틴 셀러론의 경우 동 클럭의 코퍼마인과 비교해서 전혀 꿀리지 않는 성능을 지니고 있기까지 했다.[4] 때문인지 시중에는 투알라틴 펜티엄III은 비교적 낮은 클럭이 많이 풀렸고 높은 클럭은 셀러론 라인이 다수 나왔다. 그리고 높은 클럭의 투알라틴 펜티엄III는 컴퓨터 제조 회사에 공급되거나 비싼 값의 고급형 시피유로 시중에 풀렸다. 다만 펜티엄III용 칩셋 중 투알라틴 코어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서[5] 막상 업그레이드하기는 좀 애매한 물건이기는 했지만...

후에 투알라틴 코어의 펜티엄III와 그 아키텍처는 후에 등장한 노트북용 펜티엄M과 코어/코어2[6] 시리즈의 기반이 되었다.
후속 제품으로 펜티엄4가 나왔지만, 펜티엄4 초기에는 위에서 설명했듯 펜티엄3와 한동안 공존했었고 펜티엄4의 시대는 2002년 노스우드 모델부터였다.

5 펜티엄3 제품 일람

  • 펜티엄 III - "카트마이"(1999), 0.25㎛, L2 512KB, 450~600MHz, FSB 100MHz, 슬롯1, 1.93~2.12V, TDP 25.3~34.5W
    • L2캐시는 이때까지 CPU 버스 속도의 절반의 속도로 동작하는 하프-스피드
  • 펜티엄 III - "코퍼마인"(1999), 0.18㎛, L2 256KB, 500MHz~1.13GHz, FSB100~133MHz, 소켓 370, 슬롯1, 1.6~1.76V, TDP 13.2~33W
    • 모바일 펜티엄 III - "코퍼마인", 0.18㎛, L2 256KB, 400MHz~1GHz, FSB 100MHz, SpeedStep, BGA/PGA495, MMC-2
  • 펜티엄 III - "투알라틴"(2001), 0.13㎛, L2 512KB, 1.0~1.4GHz, FSB133MHz, 소켓370, 1.45~1.5V, TDP 28.7~32.2W
    • 펜티엄 III-M - "투알라틴", 0.13㎛, L2 512KB, 700MHz~1.33GHz, FSB 133MHz, SpeedStep, 초저전력 버전(ULV) 존재, 소켓479

6 2016년 현재의 체감 성능

2016년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Windows 7도 1GHz 클럭 이상의 펜티엄3 CPU면 돌릴 수는 있다![7]


단, SSE2 명령어를 비롯한 일부 특정 명령어들을 요구하는 Windows 8부터는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현역으로 쓰기엔 펜티엄 4 CPU보다도 더 어려우며, 그래픽카드의 도움없이 소프트웨어 디코딩을 통한 동영상 재생 능력도 최저클럭인 500MHz 모델일 경우 DivX 또는 Xvid 코덱 기반의 480p DVD급 해상도가, 고클럭인 투알라틴 모델은 720p HD급 해상도가 마지노선이기 때문에 투알라틴 CPU에 480p급 동영상이라면 멀티테스킹까지 가능하지만 720p HD급 동영상 재생 도중 멀티테스킹까지 완벽하게 커버하기엔 부족한 성능이라고 볼 수 있다.


단 투알라틴 같은 펜티엄3 최고 상위 모델에 경우 크라이시스까지 구동 가능하다. 단지 구동만 가능하다 수준이지만 덧글을 보면 그래픽 카드를 바꿔주면 더 높은 해상도에서 상옵으로 30프레임 유지가 가능하다고 할 정도니 간단한 캐주얼, 웹게임, 문서작성, 동영상 시청, 문서작성용으로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8]
  1. 내부적으로는 P6 마이크로 아키텍처 기반이지만 외부 버스는 넷버스트 아키텍처에서 가져와서 융합했다.
  2.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의 약자로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개의 값을 동시에 계산해주는 일종의 병렬 프로세싱
  3. 주로 코퍼마인 코어 까지 사용했지만, 비공식적인 와이어 트릭으로 투알라틴 코어의 셀러론을 쓰기도 했다.
  4. 초창기 슬롯형 펜티엄3 시절 셀러론 프로세서는 L2캐시가 아예 없거나 매우 작아서 클럭에 비해 성능이 매우 안 좋았는데 이에 대한 반성으로 투알라틴 시절에는 셀러론도 비교적 큰 캐시 메모리를 채택했고 그 결과 성능이 코퍼마인과 별 차이 없을 정도. 게다가 소위 국민오버 CPU라는 별명에 걸맞게 거의 모든 제품이 오버클럭이 가능했다. 당대 가성비 킹인 CPU, 팀킬의 대명사.
  5. 핀배열을 바꿔버려 정상적으로 인식 불가능. 하지만 BX보드 또는 693A 보드 등 일부 초창기 보드들은 와이어트릭이나 라이저카드를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개조가 어려운 유저를 위해 변환 컨버터나 개조된 라이저카드를 판매하는곳도 있었다.
  6. 코어2부터는 거의 전체적으로 새로워진 코어 아키텍쳐를 선보이게 된다.
  7. CPU 내에 일부 특정 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마지막 버전이었기 때문에 1GHz 이상이면 Windows 7 요구사양에 부합될 수 있다.
  8. 물론 전기비 등등을 따지면 훨씬 좋은 옛날 부품들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