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화학 관련 정보
1 개요
表面張力 / Surface Tension
액체의 표면(혹은 계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모든 방향에서 분자 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안정된 내부(bulk)와는 달리 표면의 분자는 내부(bulk) 방향의 인력과 표면(surface) 방향의 인력이 다르게 작용하므로 표면 자유 에너지(surface free energy)를 추가적으로 가지며, 대개는 양의 값을 가지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려 한다. 따라서 표면장력은 힘으로 표현되지만 그 기원은 면적당 에너지의 변화이고 [math]\gamma = (\frac{\partial G}{\partial A})_{T,P,n}[/math] (단위 면적 변화 당 자유 에너지 변화)라는 식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에너지-힘의 관계가 '힘=에너지/길이 변화'인 것을 생각해보면 표면장력은 그 자체로 힘이라기보다는 일정 길이당 작용하는 힘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실제로 표면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은 일정한 길이의 막대 사이에서 액체의 표면을 신장시키며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데 이는 표면장력이 길이에 독립적이지 않음을 보여준다.
2 실제
실제로 컵에 물을 담아보면 일정 수준까지는 용기의 부피를 초과해도 인력 때문에 흘러넘치지 않는데, 이는 표면장력의 영향 때문이고 이때 (특히 물의 경우) 위쪽으로 볼록한 모습으로 보인다. 물론 표면장력을 넘기면 그대로 흐른다.
액체의 부피를 측정할 때 유리 용기 쪽으로 수면(메니스커스)이 살짝 올라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물 분자들 사이의 인력보다 물과 유리 사이의 인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물의 표면적을 넓히며 손해 보는 에너지만큼 용기와의 표면적을 넓히며 이득 보는 에너지가 있어서 더 안정해진다. 수은과 같이 표면장력이 매우 큰 액체의 경우 반대로 위로 볼록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액체 분자 간의 인력이 액체 분자와 용기 사이의 인력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액체에 따라 인력이 다른 것처럼 표면장력 또한 다르다. 가장 표면장력이 높은 액체는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은으로, 금속 결합으로 인해 표면장력이 부왘 소리 나올 정도로 높다.[1] 물도 의외로 굉장히 표면장력이 높은 편인데, 이것은 물이 분자 간 수소 결합을 하기 때문. 또한 표면장력과 끓는점은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데, 표면장력과 끓는점 모두 액체 분자 간의 인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어떤 용질을 용매에 녹였을 때, 그 용매의 표면 장력은 변한다. 일반적으로는 표면장력이 감소한다. 용질과 용매 사이의 인력이 순수한 액체 분자 사이의 인력보다 크다 하더라도 용질을 중심으로 용매화(solvation)가 일어나며 용매끼리는 서로 같은 극끼리 만나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인력이 감소한다.[2] 그 외에도 '표면활성물질' 혹은 '계면활성제' 라는 개념이 있다. 물과 기름을 섞어도 물끼리의 인력(표면장력)이 더 강해서 섞이지 않는다. 표면활성제가 첨가되면 표면활성제의 친유성 꼬리를 중심으로 활성제가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여 물끼리의 결합을 방해하고 물의 표면장력이 줄어들면서 섞이게 된다. 대표적인 표면활성물질이 비누나 샴푸 등의 세제이다.
3 사례
3.1 물체 띄우기
소금쟁이는 이 힘을 이용해서 물에 뜬다. 표면장력을 이용하는 실례로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단골로 등장한다. 응용 실험으로 수면에 동전 띄우기 실험도 있다. 매우 가벼운 일원 주화나 십원 주화[3]를 사용한다. 동전 대신 클립도 많이 쓰는 편. 물수제비도 같은 원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물에 넣으면 표면장력이 약해져 표면장력에 의해 떠 있던 물체가 가라앉는다. 가끔 애꿎은 소금쟁이가 그 실험대상이 되기도 하는데 착한 위키러 여러분들은 소금쟁이가 익사하지 않도록 건져주든지 다른 실험대상을 찾든지 하자.
3.2 나침반
이를 통해 나침반을 만들 수도 있다. 먼저 바늘의 끝을 N극으로 문질러 반영구자석으로 만든 뒤 휴지 위에 올린 후 물이 든 용기에 조심스레 휴지째로 올리면 휴지와 같이 바늘도 위로 뜬다. 이때 휴지를 조심스레 아래로 가라앉히면 표면장력의 영향으로 바늘만 위에 떠 있게 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N극인 바늘 끝이 북쪽을 향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표면장력으로 나침반을 만드는 게 아니라, 자기장으로 인해 바늘이 돌 수 있게 자기장보다 약한 마찰력을 만드는 데 표면장력이 사용되는 것. 꽤 전통적인 나침반 제조법 중 하나. 하지만 충격을 가하면 당연하게도 가라앉아 쓰지 못한다.
3.3 모세관 현상
이 현상은 모세관 현상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위와 같은 용기와의 표면장력과 물끼리의 표면장력의 차이만큼 물은 위로 솟아올라 힘의 평형을 맞추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모세관 현상이다. 수은의 경우 반대로 수은 표면보다 모세관 안에서 수은 면이 더 아래로 내려간다. 이것은 물론 일반적인 유리관일 때의 얘기로서 수은끼리의 결합력보다 수은과의 결합력이 더 큰 용기가 있다면 물에서와 마찬가지로 더 위쪽으로 올라갈 것이고, 물의 경우에도 결합력이 낮은 용기를 사용한다면 수은처럼 수면이 오히려 내려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3.4 비눗방울
비눗물로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는 이유가 이것이다. 표면장력이 강한 물질(물)은 얇게 펴기 힘들다, 분자 간의 인력이 크므로, 얇게 펴지지 않고 작은 방울 형태로 뭉치기 때문이다.[4] 물에 계면활성제를 넣어 비눗물을 만들면 액체의 표면장력이 작아진다. 얇게 펼쳐질 수 있어서 눈에 띌 만큼 큰 방울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같은 이유로, 비눗물을 유리에 바르면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해진 액체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액체-유리 간 표면장력이 상대적으로 커져 유리에 액체가 방울(성에)로 존재하지 않고, 얇게 펼쳐져 빛의 투과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3.5 무중력에서의 물방울
중력이 작용하는 지면에서의 표면장력은 중력의 방해로 지면에 닿는 면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중력의 반대 방향에서만(표면에만) 제한적으로 일어나지만, 중력이 없는 환경에서는 간섭하는 힘이 거의 없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 표면장력이 일어나 구에 가까운 모습이 된다.
4 관련 문서
- ↑ 다른 액체는 100dyn/cm을 넘지 못하는데 혼자서만 487dyn/cm를 기록하는 위엄을 선보인다. 반대로 표면장력이 가장 작은 물질은 액체 헬륨으로, 대표적인 초유동체이다.
- ↑ 물에 약간의 소금을 넣으면 표면장력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 예전 10원이 아니라, 200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새 십원화
- ↑ 대표적으로 수은.
때문에 수은을 실수로 떨어뜨린다면 처치 곤란이다. - ↑ 챕터 명이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인 챕터가 나온다.
- ↑ 개미가 물방울에 들어가면 못 나온다(...).
- ↑ 술게임 중 술을 잔 가득히 따라서 주는 걸 '표면장력'이라 부른다.
사랑하는 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