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트 126

702ddb3e2a1dc74a43046480a6edc7fd.jpg
광고지. 토플리노부터 126까지 설명되어 있다.

1 개요

1973년식 피아트 126후기형 모델[1]

이탈리아의 피아트 사에서 제작한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생산한 리어엔진 경차. 피아트 124 못지않게 상업적인 히트를 치면서 폴란드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 이전 버전에는 밴 모델이 언급되었으나 밴은 프로토타입으로만 만들어졌다. 기본적으로는 피아트 500 누오바의 뒷엔진 뒷바퀴굴림 구성을 사용하고 휠베이스도 선대 모델과 같았지만, 피아트 127을 축소한 듯한 새로운 차체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기존의 디자인에 비해 굉장히 혁신적이었다. 디자인만 혁신적이었지 사실은 친퀘첸토 재탕 대우 르망씨에로가 떠오른다.

594cc~652cc 엔진은 기술적으론 사실 피아트 500에 사용된 엔진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최고출력이 23마력(500은 18마력이었다),최고시속이 105km/h였다. 출력은 1977년에 배기량이 652cc로 확장되고도 변한 것이 없었으나 엔진의 토크 수가 늘어났다.[2] 1987년에서 1991년 사이에 출시된 피아트 126 Bis의 경우, 엔진 배기량이 704cc에 출력도 26마력으로 증가했다.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1979년까지 카시노(Cassino)와 테르미니 이메레세(Termini Imerese)에서 1,352,912대를 생산했으며, 후솔하겠지만 폴란드 시장에서는 FSM에 의해 1973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이 지속되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폴란드 시장에서의 큰 상업적 성공과 인지도, 그리고 장수 차종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선대 모델만큼의 인기는 얻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탈리아와 폴란드(3,318,674대)는 물론 오스트리아(2,069대)와 유고슬라비아(수치 불명)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POP사에서 126 Bis의 카브리올레 버전을 생산하기도 했으며, 폴란드의 Bosmal에서도 1990년대 초반에 카브리올레 버전을 만든 적이 있다.

car444.1920.jpg
여담으로 레귤러 쇼의 주인공인 모디카이도 126를 타고 다닌다.[3]

2 파생형들

2.1 콤비(Combi)


뒤자리를 희생시키고 짐칸을 늘린 버전. 사실 이 차는 FSM에서 개발했던 프로토타입들 중 하나였는데, 콤비 버전을 비롯해 조그마한 화물칸을 뒤에 장착한 "Bombel(폴란드어로 "방울")" 특장차나 캐터필러가 장착된 오프로더 버전, 앞부분을 늘리고 평평한 화물칸과 해치백 구조를 적용한 앞바퀴굴림 버전도 개발되었다. 심지어 FSM에서는 디젤 버전을 시도하기도 했으며, 126p의 부품을 활용해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갖춘 "Beskid 106" 프로토타입도 만들었다. 그 이외에도 수많은 프로토타입들이 만들어졌다.

2.2 봉벨(Bombel. 방울)


밴과 비슷하나,이것은 특장차라는것이 특징이다.사족으로,짐칸이 해치백과 동일하게 열린다.(!)
원래 이런 차들은 대개 옆으로 열리는걸 생각하면 꽤나 독특하다.[4] 다만, 콤비와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 양산되진 못했다.

2.3 POLISKI FIAT 126P

1973년식 126p126p Bis. 이 때부터 해치백 구성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름만 봐도 알듯이 폴란드 식 피아트 126.원본보다 20년 더 버티고 단종되었다!!. 장수만세? 당시 폴란드는 자동차 보급률이 워낙 낮아서 폴란드 정부의 고민이 컸었는데, 구식 설계와 제한된 생산대수 때문에 FSM 시레나[5]가 감당하지 못하던 대중 소형차의 수요를 만족시키고자 도입되었으며...


옆에 짤린 시레나 캐안습..

1973년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 폴란드 사람들은 전례없는 조그만하고 싸며 앙증맞은 차를 보고 매우 신기해했다.[6]일명 “말루흐(Maluch. “작은 것“을 의미)“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FSM에 의해 2000년까지 생산되면서 다양한 파생차종들을 만들어냈다. 저렴한 가격 덕분에 폴란드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차였으며, 이 "말루흐"라는 별명도 이러한 인기를 반영해 1997년부터 공식 명칭으로 승격되었다.

상술했듯이 1973년부터 2000년 사이에 생산되었으며, 원본의 기본형 모델에다가 차대를 높이고 뒷부분에 달린 그릴 디자인을 달리했으며 기존의 호박색 방향지시등 대신 흰색 방향지시등을 적용했다. 원본 모델과 구분하기 위해 "피아트 126p"라는 이름으로 구분지었고, FSM의 비엘스코비아와(Bielsko-Biała)[7] 공장에서 생산을 담당하면서 1973년 6월 6일에 판매가 시작되었다. 이후 1975년 9월에는 티히(Tychy)에서도 생산이 시작되었다.

1977년에는 엔진 배기량을 594cc에서 652cc로 늘리면서 츨력도 24마력으로 살짝 증하갰고, 1978년부터는 594cc 엔진 자체의 생산을 중단했다. 1979년에는 비엘스코비아와 공장에서만 피아트 126p의 생산을 담당하게 되었지만 1981년에는 1백만번째 126p가 생산되는 등 나름대로의 호흥을 얻었고, 1984년 12월에 차체 구조를 개선한 "타입 FL(Type FL)"을 도입하면서 꾸준한 기술적 변화가 이어졌다. 처음에는 새 법규에 맞춘 경고등, 이탈리아 사양으로부터 가져온 개선된 브레이크와 해 휠을 추가했으며 1985년에는 후진등과 후미 안개등(tail fog light)을 플라스틱 범퍼에 장착했다. 1987년에는 704cc 수랭식 엔진이 적용되는 "피아트 126 Bis"를 출시하는 동시에 전자 점화 시스템과 알터네이터를 기존의 약한 발전기[8]를 대신해 적용했다.

31.jpg
피아트 126 FL.

126p EL126 ELX "말루흐"
1994년 9월부터 제공된 개량형에 해당되며, 후자는 1997년부터 생산된 생산분이다.

이어서 1993년 5월에는 300만번째 126p가 생산되었으며, 1994년 9월에는 2세대 피아트 친퀘첸토(1991년에 데뷔)의 부품들을 사용해 차체를 개선한 EL 버전을 제공했고 1997년 1월에는 촉매 변환장치를 도입했다. 2000년 9월 22일까지 총 3,318,674대에 이르는 126p가 생산되었으며, 빨간색이나 노란색으로 도장된 "해피 엔드(Happy End)" 한정판 사양 1천대가 이 차의 마지막을 장식했다.당시 단종될때 폴란드 사람들은 매우 슬퍼했다고 한다...

2.4 FSM NIKI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생산된 오스트레일리아식 126으로, 126을 폴란드에 도입했던 FSM에 의해 1989년에 판매가 시작되어 제일 늦게 생산되었다.[9]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저렴한 차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시장을 감안해 컨버터블 버전을 만들기도 했다. 원판인 폴란드형 피아트 126과 비교하면, 이쪽은 피아트 상표 대신 FSM 고유의 상표가 적용되었다.
  1. 기존의 금속 범퍼를 플라스틱제로 교체한 점이 눈에 띈다. 폴란드 사양인 126p의 후기 사양과 헛갈리기 쉬운데, 엠블럼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2. 한편, 기존의 594cc 엔진은 1983년 초반까지 적용되었다.
  3. 정확히는 마거렛 여사의 차이며, 피아트 126보다는 포드 피에스타와 폭스바겐 골프를 비롯한 1980년대 소형 및 준중형 해치백에 더 가깝게 생겼다. 여담이지만 레굴러쇼 위키에서는 1995~2001년식 지오 메트로로 보고 있다.
  4. 대표적으로 시트로엥 2CV가 있다.
  5. 대략 이렇게 생긴 차량이다.
  6. 여담으로 공산권 시절 폴란드를 배경으로 마르제나 소바(Marzena Sowa)와 실뱅 사부아(Sylvain Savoia)가 작업한 만화 "마르지"에서도. 작가 본인이자 만화의 주인공이였던 마르지의 가족도 이 차를 소유했다.
  7. 1972년에 설립된 공장이다.
  8. 약한 발전기가 장착됨에 따라 기존에 장착되던 35 Amp-hour 용량의 배터리가 제대로 충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일부 차주들이 피아트 125에서 사용하는 45 Amp-hour 배터리를 장착하기도 했다.
  9. 1989년엔 이미 오리지날 버전은 단종된 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