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과학자사회
Conference
1 설명
줄여서 그냥 학회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참가자는 교수와 대학원생이 주가 되며, 대학원생들의 논문 발표와 해당 분야의 저명한 인사나 연구자 또는 기업인들의 강연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연례행사로 연차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 춘계학술대회 같은 것이 있다.
국내 학회의 경우 대학원생들의 MT (...) 같은 느낌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많다. 리조트 등지에서 개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인의 논문 발표 세션 이외의 시간에는 이를테면 겨울이면 스키를 타러 가거나 한다. 물론 학계 인사들과 맛있는 저녁 만찬을 함께하는 것도 빠질 수 없다.
해외 학회의 경우도 논문을 써내서 발표하게 되면 논문 발표하러 가면서 해외여행도 겸사겸사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학회에서는 주로 최신 연구동향이나 그 해의 메인 이슈와 관계된 프로시딩을 발표한다. 발표자는 대부분 박사과정 중의 학생들로, 전국의 교수들을 한데 모아놓고 자기 논문을 주장하고 디펜스를 해야 하기에 부담감이 장난이 아니다. 회사로 따지면 고위 간부들을 모시고 시장동향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것과도 비슷하다.(...) 가끔은 석사생도 보이는데 사시나무 떨듯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청중들 중에는 의외로 학부생이나 심지어는 수행평가로 억지로 끌려온 고등학생도 종종 있는 편.
과학 분야에서 생각만큼 날선 토론이나 논쟁은 의외로 흔치 않다. 없다고는 안했다[1] 이유는 학술대회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다름아닌 학자들끼리의 친목이기 때문. 놀랄 수 있겠지만 진짜다. 유명 학자와 인연을 맺고, 유망한 분야에 편승(?)할 기회를 찾는 데에는 확실히 효과적이다. 만약 그 분야 최고 석학이 여러분의 프로시딩을 관심 있게 읽은 뒤 호평을 했다면 여러분은 만세를 불러도 된다. 축하 악수까지 했다면 손 안 씻어도 좋다! 여러분은 학술대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얻었다. 괜히 "학술대회 주제는 기억 못해도 누구 만나서 뭐 먹었는지는 기억난다" 소리가 있는 게 아니다.
정말 논쟁이 필요한 경우는 동료평가나 저널 코멘터리가 대신 후끈 달아오른다. 학술대회는 그보다는 교섭이나 친목, 협력, 정치질 기타 등등의 공동체적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인문학 분야에서는 협업을 하는 것보다는 각 학자들이 자기만의 학문적 해석의 색깔과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이 일상이다 보니 학회에서 서로간에 디스할 일이 많다. 그렇다고 정답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결국 해석상의 다수설 대 소수설의 문제다 보니 논리와 말빨로 경쟁 학설들을 압도해야 하기 때문에, 인문학자들의 아가리 파이팅(?) 능력은 장난이 아니라고도 한다.(...) 정확한 사실관계는 현역 인문학도들의 확인바람.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학회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 주요 행사
- 연차학술대회 : 매해 한 번씩 (주로 여름에) 여는 가장 큰 행사. 그 분야 학자들과 대학원생 모두가 참여하며, 가장 규모가 큰 만큼 가장 포괄적이다. 보통 그 해에 가장 화두가 되는 이슈 하나가 선정되어서 이와 관련된 논의를 하...기도 하지만 주제가 전혀 상관없어도 아무도 뭐라고 하진 않는 모양. 3~5일 정도 일정을 잡고 한다.
- 춘계학술대회 : 봄철에 여는 당일치기 행사. 아무래도 봄학기(1학기)가 한창 진행중일 때 여는 것인 만큼 참여율이 저조하다.(…) 정말 가고 싶어 미치겠는데 하필이면 그날따라 강의가 잡히거나 중요한 회의가 있거나, 내지는 세미나가 있거나 해서 참석을 못 하게 되는 안습한 경우도 있다. 물론 정말로 어머 저건 참석해야 해 소리가 나올 정도인 일부는 과감하게 모든 걸 버리고 학회장으로 떠난다.(…) 학회에서 발표를 맡은 학자들도 당연히 해당.
- 추계학술대회 : 가을철에 여는 당일치기 행사. 춘계와 마찬가지 이유로 참여율이 저조하다.
3 주요 프로그램
이하의 내용은 분야마다 그 디테일한 정경이나 분위기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최초 버전도 각 분야별 학회를 섭렵한(?) 위키러가 작성한 게 당연히 아니니 많은 수정바람.
- 개막식 (opening ceremony)
- 그 학문분야와 관계 있는 정, 재계 높으신 분들과 원로 석학들 등등이 모여서 진행하는, 전형적인 어른들만의 행사.(…) 보통 그런 쪽에는 관심이 없는 학자들은
뭐 사실 관심 있는 학자들도 마찬가지지만거의 집중하지 않는다. 내로라하는 학자들이 모였어도 웬만한 고등학교 4교시 수업보다 더 딴짓이 심한 풍경을 볼 수 있다. 높으신 분들이 많이 오실수록 박수는 하여간 죽어라 쳐야 한다.(…)
- 초청 강연 (invited speech)
- 현역 교수나 연구원, 학자들이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할애하여 간단한 강의를 한다. 어떤 특정 연구결과에 대한 발표라기보다는, 특정 연구영역의 현황과 주요 이슈, 향후 흐름 등을 살펴보는 경우가 많다. 강의 후에는 질의응답 시간이 배정된다. 주어진 강의시간을 넘기면 학회 스탭이 종을 쳐서 알리거나 혹은 스케치북에 "마무리해 주세요" 라고 적어서 들어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구두 발표에 비하면 강연 시간을 꽤 칼같이 지키는 사람들이 많다.
- 심포지엄(symposium)
- 발제자, 발표자, 토론자로 구성되며, 하나의 공통된 주제를 발제자가 제시하면 그와 관련된 각론 및 세부사항을 다수의 발표자들이 발표하고, 또한 다수의 토론 패널들이 발표내용을 바탕으로 논의하는 시간이다. 토론에 상당한 비중을 싣는 모양새이며, 이 때문에 학술대회뿐만 아니라 정치인들이 정책에 대해 논의할 때에도 심포지엄을 연다.
- 구두 발표 (oral talk)
- 대학원생들이나 간혹 포닥들이 특정한 주제별로 묶여서 개별 15~20분 정도 (질의응답 포함) 간단한 발표를 한다. 각 주제는 3~5명의 발표자들로 묶여 구성되며, 발표장 출입은 완전히 자유롭기 때문에 청중들이 학회장을 누비며 그때그때 원하는 발표자의 발표만을 골라 듣는 게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은 교수님만 졸졸 따라다닌다그러다 보니 앞 사람 발표가 끝나서 막 내가 발표하려는데 갑자기 청중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안쓰러운 상황이 연출되기도. 보통 석박사 학생들이 오들오들 떨면서 자기 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 형식으로 보여주게 되는데, 주어진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마지막 발표자는 항상 조금씩 손해를 보게 된다.(…)
- 워크샵 (workshop)
- 특정한 활동이나 테크닉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으로, 초청 강연과 비슷하지만 청중들이 수동적으로 듣는 게 아니라 직접 참여해서 뭔가를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뭔가를 한다거나, 아니면 새로운 질적 연구방법론을 익혀본다거나, 또는 특이한 심리상담 기법 같은 것을 경험해 본다거나... 정확한 차이는 확인바람.
- 포스터 전시 (posters)
- 전지 하나에 꽉 차는 분량으로 자신의 최신 연구성과를 조리 있게 적어서 소개하는 활동이다. 프로그램이라고 보기에는 좀 애매한 감은 있지만... 보통 강당 같은 곳을 활용하여 포스터들을 주렁주렁 걸어놓는데, 필요시 그 앞에 찌라시(…)처럼 생긴 보조자료를 두어서 사람들이 참고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설명이 필요하겠다 싶은 경우 해당 포스터의 저자가 옆에 서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처음에는 떨리지만 이내 귀찮아진다는 듯.(…) 논문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표나 그래프를 포함해서) 내용을 요약, 간결하게 적어야 하기에 깨알 같은 글씨가 되는 것이 보통이다. 간혹 전지를 준비하지 못한 연구실에서 A4용지 예닐곱 장에 나누어 인쇄해서 더덕더덕 붙여놓은 추레한 케이스도 있어서 안습함을 자아내기도 한다. 이런 자료들을 나중에 모아서 출판할 경우 이는 프로시딩이라고 부른다.
- 알림 게시판 (message board)
- 학회장 중앙의 잘 보이는 곳에 걸어두는 게시판으로, 그 옆에 포스트잇이나 메모지를 잔뜩 쌓아놓는다. 이는 관심분야가 서로 비슷한 연구자들끼리 연락처를 교환하고 공저자를 모집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해외 기준) "Any interested in research on ○○○? Contact ●●●@×××.ac.kr" 같은 쪽지들이 주렁주렁 붙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알게 된 연구자들끼리 교류가 오래 이어질지는 좀 의심스럽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 만찬 (banquet)
사실 이게 제일 중요하다
- 학회는 점심식사의 경우 알아서 해결하게 하거나 호텔 식당의 기본 메뉴 정도로 대접하는 경우는 있지만, 저녁식사의 경우 마지막 날 저녁에 거하게 대접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 날 저녁에는 각종 고급진
그러나 배가 찰 것 같지는 않은자잘하고 그럴싸한 요리들이 나오며,[2] 그 남은 허기를 채워 줄 막대한 양의 맥주와 와인(…)이 뒤따르는 모양. 대중매체에서 자주 나오는 상류층의 우아한 저녁 파티를 연상케 하기도 한다. 물론 학자들은대부분 너드이기 때문에그런 우아함이나 사교성까지 기대하기는 어렵고, 자기네들끼리 모여서공대개그를 하면서자기네들끼리 이해할 법한 얘기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듯. 별 것 아닌 것 같아 보여도 학회 참석자들에게는 중요한 활동이다. 특히 학회의 장이나 기타 비슷한 감투를 노리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가히 결전의 순간이라 해도 좋을 정도.
- 폐회식 (closing ceremony)
- 개회식과 마찬가지로 어른들만의 행사. 이쯤되면 이미 다들 마음은 떠나고 각자 저마다의 프로포절을 머릿속에서 미친듯이 구상하는 평온한(?) 일상으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