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발생한 한파로 인한 사건에 대해서는 2016년 폭설 및 한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寒波
몹시 추운 겨울 날씨를 이르는 말, 혹한이라고도 한다. ↔폭염.
1 개요
유라시아 대륙 동안인 동아시아와 대륙 서안인 북유럽의 스타일이 미묘하게 다르다. 한국이나 중국의 경우 눈은 많이 오지 않지만[1] 대신 엄청난 건조함과 미칠 듯한 찬바람으로 인해 체감온도가 떨어져 마치 칼로 살갗을 에는 듯한 느낌이 든다.[2] 당연히 산불이 날 위험도 이 시기에 집중되고 가뭄도 여름보다 이 시기와 초봄이 더 심각한 피해를 준다. 흔히 여름 폭염에 비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평년 강수량이 적은 지역의 경우는 추위에다 물 부족 문제까지 겹쳐서 여름과는 다른 차원의 지옥, 생지옥이 열렸었다고 보면 된다.[3]
반면 유럽이나 일본 서부 해안,[4] 터키의 내륙 고원지대와 같은 지중해 연안의 고산지대같은 경우 습도가 고르거나 겨울에 습도가 집중된채로 바람이 잦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럴 경우에는 소위 뼛 속까지 냉기가 파고든다고 표현되는 기분나쁜 느낌의 추위를 느낄 수 있다.[5] 한국에서도 동해안과 같은 해안 지역에서 체험판을 겪어볼 수 있는데, 기온은 높은데(영상이라도!) 기묘하게 추운 느낌이 든다. 이 탓인지 한겨울 건조한 칼바람에 면역인 사람이 기온은 높지만 습도가 아직 있는 늦가을이나 초봄에 오히려 추위를 타기도 한다.
다만 대한민국의 한파는 폭염에 비하면 비교적 견디기 쉬운 편이라 볼 수 있는데 폭염과는 달리 의외로 겨울철 내내 찾아오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삼한사온) 중부 이남지역의 경우 생각보다 일조량이 높기 때문에[6] 보통은 아침과 밤에 영하로 떨어지지만 한낮에는 영상으로 확 올라가는 무지막지한 일교차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대낮에 바람 안불면 생각보다 따뜻할수도 있다.
2 21세기 대한민국의 한파 사례
- 2010년 1월 한파 : 9년만의 한파. 1월 6일에는 철원이 영하 30.5도를 찍기도 하였다.(비공식)
이때 제3보병사단, 제5보병사단[7], 제6보병사단, 제7보병사단[8], 제8기계화보병사단[9], 제15보병사단[10] 소속에서 군생활을 한 군인들에게 애도
- 2010년 12월 말 ~ 2011년 1월 한파 : 2010년 크리스마스 즈음을 시작으로 1월까지 계속되었다. 이 달 평균 기온은 서울이 영하 7.7도로 신의주의 평년 기온과 비슷했다.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간 시간이 1월 전체를 통틀어 48분에 불과했으며[11],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인 날이 20일에 달했다. 1월 16일 최저기온은 서울 영하 17.8도, 대구 영하 13.1도를 기록했다(...)
- 2012년 12월 ~ 2013년 1월 한파 : 12월 초부터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를 기록하더니, 1월 3일에 서울 영하 16도까지 떨어졌다.
지구온난화가 정말 오긴 오는 건가요?[12]
- 2016년 폭설 및 한파 : 2016년 1월에는 제트기류가 약해져 북극의 한기가 남하하는 바람에 북반구 중위도 지방에서는 기록적인 폭설 및 한파가 찾아왔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 한파의 경계선에 걸릴 경우 폭설이 내리는 경우도 있다. 소나기와 비슷한 이유다.
- ↑ 다만 서울 기준으로 겨울의 평균 습도는 58% 정도로 그렇게 건조한건 아니다. 물론 잘 하면 최저 20%대까지 내려가는 경우도 볼 수 있긴 하다.
- ↑ 다행히도 대한민국은 겨울에도 그렇게 강수량이 극단적으로 적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좀 낫다. 문제가 되는 지역들은 주로 북한부터이다.
- ↑ 한국 입장에서는 동해안
- ↑ 영어로 Damp라는 표현을 쓴다.
- ↑ 서울 기준으로 겨울철 내내 400~450시간 정도의 일조량을 보인다. 여름철 일조량이 200시간 내외인것과는 매우 대조적.
- ↑ 부대는 연천군에 주둔하고 있으나 GOP지역은 철원군에도 걸쳐져 있다
- ↑ 부대는 화천군에 주둔하고 있으나 GOP지역은 철원군이다.
- ↑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도 철원군에 주둔중이다. 참고로 당시에는 기계화보병사단이 아닌 일반 보병사단이었다.
- ↑ 화천군과 철원군에 주둔중이다.
- ↑ 부산도 흔치 않게 1월 중 단 하루도 최저기온이 영하를 벗어난 날이 없었다
- ↑ 흔한 오해 중 하나인데,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모든 계절이 전체적으로 따뜻해지는 것이 아니고 겨울은 오히려 추워진다. 우리나라 겨울 날씨에 큰 영향을 끼치는 대륙성 고기압을 가두는 제트기류가 전체적으로 따듯한 온도탓에 힘이 약해지게 된다. 그래서 차가운 공기가 우리나라에까지 내려오게 되는것이다. 폭염 항목을 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