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æsvelgr[1] 이름의 뜻은 '시체를 삼키는 자'.
숙적이라 알려진 니드호그와 대치하는 흐레스벨그.
1 본문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흰 독수리/매로 그 날갯짓은 세상을 휩쓰는 모든 강풍의 근원이 된다고 전해진다. 세계수 이그드라실의 가장 높은 가지 위에 살고 있으며, 다람쥐 라타토스크가 이간질 하는 덕분에 이그드라실의 뿌리에 사는 용인 니드호그와는 견원지간. 항상 언제나 자기들끼리 배틀을 벌인다.[2]
북유럽 신화의 해석들 중 어떤 해석에 따르면 흐레스베르그는 선, 니드호그는 악을 상징하지만 선이건 악이건 어느 한 쪽이 지나치게 우세하면 세상의 균형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라타토스크가 그들을 이간질시킴으로써 세상의 균형을 맞춘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해석에서는 두 놈 다 그냥 악을 상징하는 존재라고 해석하기도 하고, 이들이 상징하는 바 자체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는 해석도 있다.
라그나로크에서 어찌되었는지는 불분명. 라그나로크가 왔을 때 숙적 니드호그랑 시체들을 먹어치우는 경쟁을 하다가[3] 둘 다 죽었다는 전승이 있기도 하지만, 반대로 니드호그와 라타토스크만 살아남고[4] 흐레스베르그는 살아남지 못하고 혼자 죽었다는 전승도 있다. 왕따냐
일단 라그나로크가 끝난 후 확실히 살아남았다고 전해지는 것은 라타토스크 뿐이다. 지못미.
1.1 대중매체에서
- 기동전사 건담 SEED의 포비든 건담에 장착된 유도 플라즈마 캐논
- 고스트 버스터즈에서 소년이 가뭄을 없애겠다고 흑마법을 쓰자 나타나서 비를 내렸으나 소년의 아버지가 멈추라고 했으나 때는 너무 늦어버렸다
이제는 날씨를 조작해서 세상을 어지럽힌다[5]
먹깨비는 마법의 지팡이[6]로 업그레이드가 되자 토네이도를 일르킨다
다행히 덫에 잡았지만 아쉽게도 토네이도가 사라지지 않았다
먹깨비는 자기가 저지른 실수로 토네이도를 멈추게 된다
- 디지몬 프론티어 - 10투사의 멤버 중 어둠의 투사인 더스크몬이 중반부 30화에서 베르그몬으로 나온다. 참고로 베르그몬의 베르그는 바로 여기에서 유래 되었다.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에서 야가미 하야테가 사용하는 광역 포격 마법
- 브레이블리 디폴트에서 소환수로 등장하는데 생김새는 왠 중폭격기...
-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XB-O
- 에르나 사가에서는 용사에 의해 쓰러진 뒤 상처에서 끝없이 마풍이 새어나와 대륙을 분리하고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을 만들어 내는 재앙의 근원.
- 진 여신전생 시리즈에서는 제법 고레벨의 마수로 등장하며 절대영도등의 빙결계 주문을 가지고 있다.
- Bloody Call의 공략 캐릭터 레이메이의 무기인 레이피어의 이름.[7]
- 판타지 소설 <리콜렉션>에 등장하는 '어퍼 드래곤' 5마리 중 하나. 주인공과 함께 세계의 진실을 알아내기 위하여 고군분투한다.
- PS2 초기의 플라이트 레이싱(...)게임 흐레스벨그의 타이틀이자 히든 기체명.
- 포켓몬스터 X·Y에 나오는 전설의 포켓몬 이벨타르의 모티브이다.
- 라이트 노벨 흐레스벨그 익시드
2 관련 항목
- ↑ 흐레스벨그라는 표기가 잘 알려져있지만 흐레스베르그란 표기를 쓰기도 한다.
- ↑ 라타토스크가 그들을 이간질시켜서 자기내들끼리 싸우게 만드는 이유는 흐레스베르그가 강풍을 일으켜서 이그드라실이 쓰러지는 상황이나 니드호그가 이그드라실의 뿌리를 죄다 갉아먹어 이그드라실이 쓰러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라는 말이 있다.
쓸데없는 짓 못하게 싸움붙이는건가 - ↑ 흐레스벨그의 이름이 지닌 의미는 '시체를 삼키는 자'이다.
이름 의미 반영하려고 라이벌인 놈이랑 시체먹기 경쟁 한건가 - ↑ 그 와중에 니드호그는 라그나로크 후에 찾아온 신세계의 저승에서 왕이 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후대의 창작일 확률이 매우 높다. 에다 뒤져봐도 그런 이야기 없다. 다만 니드호그는 라그나로크 끝판에 시체들을 날개에 매단 채로 나다푤에서 솟아올라서 어디로 갔다는 전승은 확실히 있다.
- ↑ 맨 처음에는 비,차가 우박때문에 홰손되었고,에두아르도는 눈이 내리는날에 거대한 눈덩이를 맞고 감기에 걸렸다
- ↑ 소년이 썻던 그 마법 지팡이가 맞다
- ↑ 참고로 이 캐릭터의 쌍둥이 형의 전 이름이 니드호그다. 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