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 개요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18년 11월 15일에 실시할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이 해의 수능은 20세기의 마지막 출생인 2000년생밀레니엄 베이비이 치르게 되는 가운데 99년생보다 2만명 많은 63만명이 태어나 입시에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다음 입시세대인 2001년 출생아가 55만밖에 되지 않아[1] 실제로 이 해에 많은 대학들이 정원을 감축할 경우 19학년도 수능을 치르는 2000년생들이 피를 볼수 있다.

영어 절대평가가 1년만에 사라지는걸 방지하려는지 18수능(2017년 시행) 시행 전에 영어 절대평가를 이 해도 시행한다고 못박았다. 그럼 2년만에 사라지겠지 뭐 물론 평가원이 이제껏 한 걸 고려해보면 번복할 수도 있지만 말이다.

2 모의평가

  • 6월 모의평가 필적 확인란 문구는 「-」로, -의 '-'에서 발췌했다.
  • 9월 모의평가 필적 확인란 문구는 「-」로, -의 '-'에서 발췌했다.
  • 6월 모의평가 응시자 수 : -명
    • 재학생 : -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 -명
  • 9월 모의평가 응시자 수 : -명
    • 재학생 : -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 -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2.1 국어 영역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2.2 수학 영역

2.2.1 수학 영역 ‘가’형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2.2.2 수학 영역 ‘나’형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2.3 영어 영역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2.4 한국사 영역

2.5 탐구 영역

2.5.1 사회탐구 영역

과목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

2.5.2 과학탐구 영역

과목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물리Ⅰ
화학Ⅰ
생명 과학Ⅰ
지구 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명 과학Ⅱ
지구 과학Ⅱ

2.5.3 직업탐구 영역

2.6 제2외국어/한문 영역

3 대학수학능력시험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로, -의 '-'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 -명
    • 재학생 : -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 -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3.1 국어 영역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3.2 수학 영역

3.2.1 수학 영역 ‘가’형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3.2.2 수학 영역 ‘나’형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3.3 영어 영역

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3.4 한국사 영역

3.5 탐구 영역

3.5.1 사회탐구 영역

과목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

3.5.2 과학탐구 영역

과목응시자 수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만점자 수(비율)
물리Ⅰ
화학Ⅰ
생명 과학Ⅰ
지구 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명 과학Ⅱ
지구 과학Ⅱ

3.5.3 직업탐구 영역

3.6 제2외국어/한문 영역

3.7 사건사고

추가바람 추가되지 않기를.

4 주요 3개 영역 원점수 평균/표준편차, 등급구분점수

괄호는 표준편차.

국어 영역수학 영역(가형)수학 영역 (나형)영어 영역
6월 모의평가
9월 모의평가
11월 본수능

4.1 등급 구분 점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컷 참조.
  1. 참고로 2001년의 다음해인 2002년은 49만으로 더 적다.여담으로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4년간은 출생아가 50만을 한번도 넘긴적이 없고(참고로 2013~2015년 출생자는 2002년보다 줄은 43만명대) 이러한 경향은 정부에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이상아마 안 취할 것이다.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