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S

포항공과대학교의 교내 방송국에 대해서는 포항공과대학교 방송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미국 6대 지상파 방송국
?width=100%?width=100%?width=100%
?width=100%width=100%?width=100%


1 개요

Public Broadcasting Service

미국의 지역 공공 방송사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기관. 홈페이지

역대 PBS ID 로고 영상 모음.

2 소개

포지션은 대략 한국의 EBS와 비슷하다. 미국의 역사, 사회(특히 흑인을 위시한 minority 관련), 위인, 자연, 과학, 예술, (어느 정도 격이 있는) 대중문화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주로 방영하는데 이 프로그램들의 퀄리티가 정말 좋은데다가 홈페이지와 유튜브 PBS 페이지에서 전세계 어디에서든 무료로 볼 수 있어 어떤 면에서는 CNN보다 훨씬 더 좋은 영어공부 교재를 제공한다. 게다가 인터넷으로 볼 경우 자막도 제공된다.

미국 각지 지역 비영리 공공 텔레비전 방송국에 대다수의 프로그램을 공급하지만, 지역 방송국이 모든 프로그램을 PBS에서만 공급받는 건 아니다. 미국 정부는 CPB를 통해 간접지원을 한다.

하지만 오락성, 선정성으로는 한가닥 하는 방송사들이 워낙 많은 미국이라 시청률은 암울하다. 어느 수준이냐 하면, 만약 어떤 프로그램을 제작해서 방송하는데 그게 PBS에서 나온다고 하면 대충 유아용 프로그램을 제외한다면 아무도 안 볼 것이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게다가 미국 정부나 의회에서 민주당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경우는 그나마 상황이 좀 낫지만[1], 공화당이 다수당일 경우 예산지원이 줄어들고 거기에다가 공영방송이라는 이유로 원칙적으로 상업광고를 편성할 수 없게 되어 있으니(다만 협찬광고는 편성가능하다.[2]), 결국 죽으나 사나 자사 제작 프로그램의 DVD 광고, 후원금 기부를 요청하는 광고 등을 그나마 광고랍시고 방송하는데 보고 있으면 정말 눈물겨울 정도다. BBCNHK 같은 다른 주요 공영방송사와 비교하면 그야말로 안습. 애초에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공영성"이나 "공공재화" 등과는 한참 거리가 먼 나라이니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이외에 정부가 공공으로 소유하는 방송사이다 보니 정치 이념으로 편향된 점들이 몇차례 지적당하기도 했다.

심슨 가족 시즌 11 15화에서 PBS를 아주 대놓고 비꼰다. PBS 프로그램을 보다가 1만 달러를 기부해야 프로그램을 계속 볼 수 있다는 모금 방송에 짜증이 난 호머 심슨이 덜컥 1만 달러를 기부하겠다고 하는데, PBS에서 진짜로 찾아와서 돈을 뜯어가려고 하자 도망가는 내용. 텔레토비와 세서미 스트리트의 빅 버드와 엘모가 나와서 호머 심슨을 쫓아다닌다.(…) 결국 러브조이 목사의 도움으로 기독교 구호품으로 위장한 후 비행기를 타고 남태평양의 오지로 도망간다. 비행기에서 호머가 하는 말이 압권인데 'Save me, Jebus!'(…)[3] 그러나 심슨은 원래 웃기려고 모든 것을 비틀고 과장하는 프로그램이니만큼 그냥 웃고 넘어가자.

다만 세서미 스트리트는 세계적인 히트를 쳐서 PBS라는 방송국은 몰라도 프로그램 이름을 아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비슷한 운명의 방송사로 라디오 전문 NPR이 있다. C-SPAN은 재정이 다르다.

한동안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지만, 최근에 셜록다운튼 애비, 특히 다운튼 애비가 PBS에서 손에 꼽는 히트를 치면서 숨통이 좀 트이게 되었다. 그런데 둘 다 결국 영국 방송사에서 제작한 것을 수입한 작품이라는 것이 안습(…).

그러나 미국의 역사에 관한 지식을 얻는 데 좋은 프로그램이 많다. 켄 번즈의 다큐멘터리 (남북전쟁, 제2차 세계대전[4], 루즈벨트가 사람들 등) 또는 American Experience 라는 역사 다큐의 수준은 매우 높다.

전신은 1952년 포드 재단의 기금에 의해 설립된 national educational television(NET)가 그 시작으로, 1954년 방송을 시작해 1963년에 전자의 이름으로 바꿨으며, 1967년 CPB가 net의 소유권을 이임받는다. 이 때부터 로고에서 national educational television이란 말 대신 public television network로 바뀌었고, 결국 1970년 10월 5일에 지금의 PBS로 개명하였다. 이후 1994년에 pbs 키즈를 설립하였고, 2000년대엔 위성방송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3 방영 프로그램

지역 공공 방송사에서 내보내는 프로 중 PBS가 공급하는 프로가 다수를 차지한다. 프로그램 중 실제로 PBS가 공급한 게 아닌 건 취소선 치고 실제 공급사를 기재바람. 밑에 두 개는 장난이니 무시하자 (같이 보기)

여기서 방영한 프로그램 중 한국에도 알려진 것들은 다음과 같다. 한국으로 들여온 프로그램 중에는 KBS나 대교어린이TV에서 방영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이 EBS에서 방영되었다.

  • 페르소나 4 더 골든
  • 심야 TV : 현실 시간(PS VITA에서 설정한 시각)으로 0시에 TV 편성표에 들어가면 이 심야 TV에 나와서 자기를 보러 왔냐는 둥 이런저런 말을 늘어놓는다. 자신을 터치스크린으로 만져보라 한다. 화면의 곰을 때리듯이 터치하면 으왓 하면서 버둥대기도 하고 쓰다듬으면 좋아한다.
  1. PBS의 재정문제가 본격적인 사회문제로 떠오른건 90년대 중후반부터인데, 그 전에는 민주당이 하원은 죽 장악했기에 상황이 나았지만 공화당이 94년 중간선거에서 상하원을 전부 장악하는 압승을 거두게 되면서 PBS의 예산이 대대적으로 삭감되어 결국 PBS는 재정상으로 안습화...
  2. 물론 KBS 1TV에서도 이미 1994년에 상업광고가 폐지되었지만 협찬광고는 방송할 수 있긴 하니 딱히 이상한 건 아니다.
  3. EBS에서 해당 에피를 방송한 적 있는데, Jebus가 어찌 번역됐는 지는 누가 추가바람. 투니버스에서는 'Jebus'가 '얘수님'으로 번역되었다.(…)
  4. 2001~2002년에 EBS에서 방영했다.
  5. 캐나다 CINAR > Cookie Jar Entertainment 에서 제작했다 이후 9 Story Entertainment 로 넘어갔다.
  6. 현재는 하차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