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1000

1984년의 SPC-1000 TV 광고. [1]
SCP-1000

1 개요

삼성반도체통신(현 삼성전자)이 1982년에 개발하여 1983년 발매한 8비트 개인용 컴퓨터이자 삼성전자가 1980년대에 판매했던 삼성 SPC 시리즈의 첫머리에 위치하는 기종이다. SPC는 (뻔하지만) Secure, Protect, Contain Samsung Personal Computer의 약자.

당시 전두환 정권은 '1983년은 정보산업의 해'라는 기치를 내걸고 당시 돈으로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5개의 민간기업을 선정, 5천 대의 컴퓨터를 각급 학교에 납품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에 맞추어 개발된 기종들 중 하나였다. 참고로 당시의 5개 기종은 삼보전자엔지니어링(현 TG삼보)의 '트라이젬 30'(애플 II 호환기종), 금성사(현 LG전자)의 '금성 패미콤', 한국상역(현 한국컴퓨터)의 '스포트라이트 1', 동양나이론(후의 효성컴퓨터)의 '하이콤 8', 그리고 SPC-1000. 이 중 스포트라이트1과 하이콤8은 초반에 리타이어하고 80년대 중반 쯤엔 금성 패미콤도 리타이어해버려서 결국 끝까지 살아남은 것은 SPC-1000과 애플 호환기인 트라이젬이었다. [2]

삼성은 당시 '국내 최초 자체 개발 개인용 컴퓨터'라며 홍보했으나 금성 패미콤에게 간발의 차이로 뒤져서 엄밀히 말해 '최초'는 아니며[3] 일본 샤프의 컴퓨터 MZ-80K[4]를 베이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5] 순수 자체 개발 컴퓨터도 아니었다. 실은 금성 패미콤조차도 삼보가 1980년에 내놓은 '진짜' 국내 최초의 상용 개인용 컴퓨터였던 SE-8001보다 2년이나 늦으며 이 시기엔 애플 II 클론이 이미 세운상가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할 때라서 여러모로 과대광고(...)였다. 외부 디자인 면에서는 원본인 MZ-80K보다는 SPC-1000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 상위모델인 MZ-700의 디자인과 좀더 닮았다.

후속기는 SPC-1500이다.

2 하드웨어

대략적인 스펙은 이하와 같다.

  • CPU : 자일로그 Z80A(4MHz)
  • 메인메모리 : ROM 32kb/RAM 64kb
  • 비디오 컨트롤러 : 모토롤라 68047/6847. 256*192/모노크롬, 128*192/4컬러 등
  • 사운드 : GI AY-3-8910. 8옥타브 3채널
  • 보조기억장치 : 데이터 레코더 내장.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착 가능.

흔히 일본의 샤프 MZ-80 시리즈의 클론으로 알려져있으나 실제로는 완전한 클론은 아니지만 MZ-80K와 그 후계기인 MZ-80B를 참조한 것은 맞다고 한다. 약간의 컨버전으로 MZ-80 시리즈의 소프트웨어를 돌릴 수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서는 상당히 구조가 비슷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상세한 스펙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편.

데이터 레코더를 내장한 것은 샤프 MZ 시리즈의 설계를 답습한 것이다. 샤프 MZ 시리즈는 '클린 컴퓨터'라는 컨셉트를 가지고 있어서 당시 8비트 컴퓨터로서는 드물게 내장 BASIC 인터프리터를 가지고 있지 않고 별도로 인터프리터를 로드해주어야했으나 SPC-1000은 허드슨[6]이 제작한 Hu-BASIC을 ROM에 내장하여 바로 BASIC으로 부팅하는 것이 가능했다. 부팅 과정에서 ROM의 인터프리터를 RAM으로 복사하여 이 RAM에 있는 인터프리터를 참조하는 구조가 독특했는데 여기서 영감을 얻어 MSX로 비슷한 기능을 구현하는 테크닉이 유저들 사이에서 개발되기도 했다.

3 소프트웨어

삼성이라는 이름빨로 꽤 팔렸지만 역시나 소프트웨어의 부족을 겪었다. 그래도 1983년에 교육용 컴퓨터로 지정되어 도입된 5개 기종 중에서는 애플 호환기인 삼보 트라이젬을 제외하면 그나마 가장 양호한 편이기는 했지만 소프트웨어 부족 자체는 피할 수 없었다. 이에 정기적으로 소프트웨어 공모전[7][8]도 열려서 국내 고유 모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애플 II, MSX 계열 만큼은 못해도 있긴 있었다.

당시 광고에서 국내에서 인기이던 애플 II, MSX 호환 PC를 겨냥하여 SPC-1000은 순수 국내 개발 컴퓨터라는 점과 교육용 소프트가 풍부하다는 점을 강조했었다.[9] 특히 Hu-BASIC은 빠르고 강력한 기능을 갖고 있어 같은 프로그램을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애플 II+의 애플소프트 베이직이나 MSX의 MSX 베이직에서 구현했을 때보다 더 빠르게 동작했다. 심지어 베이직으로 만든 프로그램에 한해 GW BASIC을 제공하는 16비트 시대의 IBM PC 호환 기종보다도 빠르다. 도대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베이직은 왜 느린 거냐

당시 유통된 게임의 상당수는 일본제 8비트 컴퓨터인 NEC PC-6001로 나온 게임들을 포팅한 것이었다. SPC-1000의 베이스로 알려진 MZ-80과 PC-6001은 그래픽 특성이 꽤 다른데, SPC-1000 게임들, 특히 컬러 모드로 나오는 게임들은 PC-6001에서 포팅한 것이 대부분이며 화면도 6001 버전 그대로여서 SPC-1000도 FC-100 처럼 PC-6001의 그래픽스 설계를 일부 차용해온 부분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추측하게 한다. 일부 게임은 MSX용 게임을 컨버전한 것도 있었는데 비교적 컨버전 상태는 양호한 편이지만 SPC-1000에서 MSX와 같은 256x192 해상도를 사용하려면 단색모드만 사용이 가능했으므로 어쩔 수 없이 게임이 단색이 되었다. 덕분에 아이템이 색상으로 구분되어있는 캐슬 같은 게임은 매우 안습해졌다. 강제 색맹 체험

소프트웨어 부족을 타개하는 수단으로 소프트박스와 VDP 유니트라는 하드웨어가 개발되기도 했다. MSX와 CPU, PSG 등의 핵심부품이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MSX의 VDP인 TMS9918A를 내장하여 MSX 소프트웨어를 약간의 수정만으로 컨버전해서 쓸 수 있게 만든 기기로 게임 성능이 뛰어난 MSX 소프트웨어를 MSX와 똑같은 그래픽으로 가져다 쓸수 있다는 점에서 당시에 꽤 인기가 있던 주변기기였다. 소프트박스에서는 VDP 유니트용으로 나온 게임이 불가능했지만 VDP 유니트에서는 소프트박스용으로 나온 게임이 가능해서 VDP 유니트 쪽이 더 인기가 좋았다. 후속기인 SPC-1500에는 MSX 카트리지도 바로 사용가능한 외장형 VDP 유니트(일명 롬팩 유니트)가 나오기도 했다.

4 모델

  • SPC-1000 : 메인 모델
  • SPC-1100 : 교육용(학교) 시장 납품용 모델. 초기형은 프린터 포트가 삭제되어있고 후기형은 SPC-1000과 이름만 다르고 완전히 동일한 모델이었다고 한다.
  • SPC-1000A : 데이터 레코더에서 오디오 출력을 하는 기능 및 볼륨 조절 기능 추가. SPC-1500에서 내세운 '말하는 컴퓨터' 컨셉트의 원조격이다. 1500A는 너프버전인데 1000A는 버프버전이었다

좀더 상세한 리비전은 이 포스팅을 참조하기 바란다.

5 토막상식

  • 삼성 SPC 시리즈는 최초 개발모델이자 플래그십 역할을 했던 1000외에도 몇 종류가 더 있었는데 전부 해외 기종의 클론이었다. SPC-300은 영국 싱클레어 ZX81의 클론이고 SPC-500은 일본 Sord M5의 클론, SPC-650은 싱클레어 ZX Spectrum의 클론, SPC-800은 MSX1 규격 기종이다.
    • 그런데 재미난 것은 같은 시기 경쟁사였던 금성 패미콤 시리즈도 라인업이 비슷한데, FC-30이 ZX81 클론, FC-150이 SordM5 클론, FC-80이 MSX 규격이다. FC-100은 최초 개발모델로 산요 PHC-25를 참고한 기종. 뭐가 이상한지 잘 모르겠으면 모델명과 원본 기종을 비교해가면서 다시 보자. 짰냐 패미콤 시리즈엔 ZX Spectrum 클론은 없다.
  • SASCOM-80이라는 이름의 프로토타입으로 보이는 기종이 있었다고 한다. 신문 기사외에 상세한 정보가 밝혀진 적이 없어서 이 제품의 기술정보에 대해서는 불명.
  • 위키백과 SPC-1000 항목에 개발관련 인물들과 에피소드가 소개되어 있다.
  • MySPC, SPCEMUL, eSPC1000 등 몇몇 에뮬레이터가 존재한다. 그밖에는 MESS와 통합된 이후의 MAME에서도 SPC-1000 에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 본 문서는 SPC라는 이름 때문에 나무위키 내에서 SCP 재단 드립의 희생타가 되고 있다. 리그베다 위키 시절부터 그랬는데 다른 위키페어리가 드립을 지우고 정리해도 드립이 곧 부활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포기하면 편해 후속기인 SPC-1500도 마찬가지. 고만해 미친놈들아 당연히 SPC는 확보 (Secure), 격리 (Contain), 보호 (Protect)와는 상관없고 그냥 Samsung Personal Computer의 두문자.
  1. 광고에서 나오는 '퍼스컴'이라는 표현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를 일본식으로 줄인 말인 パソコン(파소콘)을 그대로 가져온 표현이다. 오늘날은 잘 쓰지 않는 표현이지만 초창기 한국 대기업제 컴퓨터들은 다들 '퍼스컴'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당시 국내 컴퓨터 산업의 기술적 뿌리가 어디였는지를 짐작하게 해주는 표현이기도.
  2. 애플 II, SPC-1000과 함께 국내 초기 개인용 컴퓨터 시장의 3강 중 한축이었던 대우전자의 IQ-1000은 당시에 이 리스트에 들어있지 않은 후발주자였다.
  3. 개발이 완료된 것은 1982년 말, 시판된 것은 1983년 2월이다. FC-100은 1982년에 시판
  4. 1978년 샤프가 시판한 초창기의 8비트 컴퓨터. 일본의 초기 컴퓨터 개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기종이라 2015년에는 일본 국립과학박물관에서 당대의 라이벌기였던 NEC PC-8001과 함께 중요과학기술사자료로 지정하기도 했다고.
  5. 심지어 MZ-80 입문서 성격의 일본 만화책 역시 표절해서 SPC-1000용으로 출판했을 정도다. 해당 만화의 도작자는 박동파, 출판사는 중앙일보사였다.
  6. 타카하시 명인의 모험도, 천외마경 등등을 만들었던 그 게임회사 허드슨이다!
  7. 일찍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그래도 국내 업체 중에서는 인식한 삼성전자는 개인 제조 소프트웨어라도 육성해서 소프트웨어의 보급을 늘리려고 했으며 그 일환이 소프트웨어 공모전. 하지만 공모전 입상작들은 순수 창작 소프트웨어보다도 샤프 MZ계열의 컨버젼이 대부분이었다. 소위 누어서 떡 먹기(상금 따먹기) 수준이었던 것. 물론 공모전 개최 의도를 생각해 보면 이해가 갈 만 하다. 이 시절 삼성 공모전에 MZ계열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출품해서 상금 따먹기를 한 사람들이 지금 국내 IT업계 파워블로거들 중 꽤 있다.
  8. 한편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경시했던 금성사(현 LG전자)는 그 결과 FC-100의 조기 단종을 가져와야 했다. 그 시절에도 그랬는데 LG의 소프트웨어 경시는 지금도 고질병인가 보다. 옵티머스가 갤럭시에 밀리는 이유 중 하나가 업그레이드 부족이라는 것은 웬만한 폰 동호회에서는 다 아는 사실인데......
  9. 출시 시기는 MSX보다 많이 빠르지만 이후 MSX가 등장하자 저 위에 소개한 점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