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중학교(대구)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구광역시 동구의 중학교
강동중학교공산중학교동촌중학교불로중학교아양중학교1
율원중학교신암중학교2신기중학교3안심중학교영신중학교
입석중학교청구중학교새론중학교
윗첨자1 : 구.신암여자중학교 / 2017년 3월에 통합 신아중학교 건물로 사용됨.
윗첨자2 : 아양중학교와 같이 신아중학교로 통합 , 기존 신암중 건물은 도서관 으로 사용될 예정
윗첨자3 : 구.안심여자중학교
03_pic01.gif
교명강동중학교
개교2004년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공립
학교법인공립
소재지대구광역시 동구
홈페이지[1]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대구의 중심부에서 상당히 벗어난 외곽(걸어서 경산에 진입 가능할 정도)에 위치하고 있지만,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인근에 산업단지가 존재하는 등의 입지조건 때문에 상주인구가 많아서 교외 지역으로서는 드물게 36학급 규모로 재학생 수가 많은 편이다[2][3]. 주변에 율원중학교안심중학교, 새론중학교를 두고 있으며 강동초등학교강동고등학교와도 이웃했다. [4]

2 역사

2001년 설립 인가를 받아 2003년에 학교 건물을 준공하였으며 2004년에 개교하였다.

2.1 연혁

  • 2016-02-03 제10회 졸업식 거행(418명, 누계 4226명)
  • 2015-11-08 2015년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프리테니스 여자중등부 1위
  • 2015-09-01 제6대 이인하교장 취임
  • 2015-03-02 제12회 입학식 거행(333명)
  • 2015-02-10 제9회 졸업식 거행(415명)
  • 2014-03-03 제11회 입학식 거행(400명)[5]
  • 2014-02-10 제8회 졸업식 거행(435명)
  • 2013-03-04 제10회 입학식 거행 (434명)
  • 2013-02-07 제7회 졸업식 거행(452명, 누계 : 2,958명)
  • 2012-03-02 제9회 입학식 거행(412명)
  • 2012-03-01 제5대 남분희 교장 취임
  • 2012-02-08 제6회 졸업식 거행(412명, 누계 : 2,476명)
  • 2011-03-02 제8회 입학식 거행(424명)
  • 2011-02-09 제5회 졸업식 거행(443명, 총 : 2,064명)
  • 2010-03-02 제7회 입학식 거행(428명)
  • 2010-03-01 제4대 이종수 교장 취임
  • 2010-02-11 제4회 졸업식 거행(386명)
  • 2009-03-02 제6회 입학식 거행(400명)
  • 2009-02-12 제3회 졸업식 거행(414명)
  • 2008-03-03 제5회 입학식 거행(453명)
  • 2008-02-14 제2회 졸업식 거행(445명)
  • 2007-09-01 제3대 이희웅 교장 취임
  • 2007-03-02 제4회 입학식 거행(397명)
  • 2007-02-08 제1회 졸업식 거행(376명)
  • 2006-03-02 제3회 입학식 거행(431명)
  • 2006-03-01 제2대 최성환 교장 취임
  • 2004-09-01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e-Learning 연구학교 운영(2년간)
  • 2004-03-03 제1회 입학식 거행(328명)
  • 2004-03-01 초대 이종만 교장 취임
  • 2003-09-01 학교 건물 준공
  • 2001-11-08 강동중학교 설립 인가(36학급)

3 상징

3.1 교표

03_pic01.gif

원 : 태양을 의미
펜촉 : 학문을 의미
ㄱ : 강을 나타냄
ㄷ : 동을 나타냄
中 : 중학교를 의미
물결 : 금호강을 의미

3.2 교훈

근면, 창의, 봉사

3.3 교가

제목은 따로 없다(?)
moderato

이종만 작사

석진환 작곡

1절
팔공산 아름다운 달구벌 옛터
금호강 광활함은 우리의 마음
시원한 느티나무 그늘에 앉아
진리를 탐구하는 강동의 학우
근면과 창의성이 바탕이 되어
우리는 전진하는 강동중학교

2절
창공의 원대함은 강동의 기상
바다의 광대함은 우리의 기개
화사한 산수유의 향기로 인해
우리는 전진하는 강동의 일꾼
봉사의 정신으로 매사에 임해
지구촌 이룩하는 강동중학교

3.4 교목

느티나무
믿음, 포용력을 뜻한다고 한다.

3.5 교화

산수유
발전, 단합을 뜻한다고 한다.

4 특징

02년생(현 1학년)이 335명, 2학년은 382명, 3학년은 418명 가량이다.(2015년 기준)

5 학교 시설

학생 수에 비해 학교가 좀 작은 편이며 시설도 좀 낡았다. [6]

[7]운동장 옆에 농구장이 있고 정문과 농구장 사이에 자전거 주차장이 있다. [8] 자전거 주차장 근처에는 정자나 벤치같은 것이 많아 급식을 먹고 여기서 수다를 떠는 학생들이 많다.

학교 건물 2층과 3층에 걸쳐 강당이 있지만 학교인원을 다 수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체육대회나 축제 등의 강당을 사용하는 행사때 항상 학생들을 반으로 나누어 진행한다.[9] 그 외에 체육수업이나 스포츠 시간에 주로 사용한다. 급식실은 1층에 위치해있다. 이 역시 학생을 수용하기에는 매우 작아 칼로리가 높고 양이 많은 (먹는데 오래 걸리고 푸짐한) 급식이 나오면 학교 전체가 급식실로 변모한다. 벤치나 운동장에서 여럿이 밥먹는 남학생들을 보면 흡사 미국 과 같아보인다 매점이 없는 탓에 급식이 먹기 싫어도 맛없는 급식을 먹어야만 한다. 요새는 그나마 맛이 나아졌다. 9회 졸업생(2015년 2월 졸업)이 회고하기를 3년 동안 급식에서 가장 맛있었던 메뉴는 치킨또띠아였다고...[10]

당연하지만 도서관도 있다. 크기가 크거나 장서가 많은 편은 아니고 연간 예산이 800만원 전후라고 한다. 2016년 1학기 신청도서 목록을 잠깐 뒤져본 결과 달빛 조각사, 도시락 전쟁, 늑대와 향신료에다가 심지어 내청코까지 있었다(...). 받아들여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이미 도서관에 채운국 이야기, 황제의 외동딸이 있다! 몇개는 가능할지도... 사족이지만, 도서관에 호빗, 반지의 제왕, 실마릴리온, 후린의 아이들씨앗을 뿌리는 사람 판본으로 있다. 톨덕들은 참고하시길. 확인 결과 당연하게도 안들어왔다. 사서 선생님 말로는 '교육적인 책'만 가능하다고.

6 학교 생활

매주 월, 수, 금요일[11]에 사연을 방송실에 보내면 사연과 함께 적은 음악을 틀어준다. 물론 본래 뜻과는 다르게 전혀 있지도 않은 사연을 노래와 관련짓기 위해 쓰거나 "제가 ㅇㅇ팬인데 ㅇㅇ틀어주세요" 따위와 같은(...) 아이돌 팬들의 물량공세, 화력전쟁터로 변모했다. 수십개의 신청서를 분산시켜 넣으면 방송해줄 확률이 높아진다.

참고로 신청곡 '캔젤럽'을 3월 중순에 넣었더니 4월 4일에 방송되기도 했다. 방송부원이 위키러라면 정확한 방법을 추가바람.

화, 목요일에는 그냥 클래식 틀어준다.

학교 뒷편 주차장에 있는 쓰레기장 밑에는 고양이가 산다. 오전에는 볼 수 있다. 지금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작년 겨울까진 있었다.

학년마다 명찰 색이 다르다. 2016년 기준 1학년은 파란색, 2학년은 초록색, 3학년은 노란색이다. 내년에 들어올 04년생은 노란색 명찰을 사용하게 된다. 3년 주기로 같은 색을 쓰게 되는 셈. 예를 들어 파란색 명찰은 97년생 - 00년생 - 03년생 순으로 사용하게 된다. 아크릴 명찰과 천 소재의 명찰을 유상으로 학기초에 학교에서 단체로 구입하며 대체적으로 천 소재의 명찰은 체육복에 아예 박아버린다. 아크릴 명찰은 주로 교복에 단다.
참고적으로 2016년 기준 현재 2학년 (02년생) 이 쓰는 초록색 명찰은 99년생들이 쓰던 명찰 색과는 다르다! 초록색 보다는 연두색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99년생이 쓰던 초록색 명찰은 진한 잔디색 위에 알 수 없는 은색 글씨로 이름이 새겨져 있었지만 현재 초록색 명찰은 배경이 연두색에 가까우며 이름도 어두운 색으로 새겨져 있다.

6.1 학생회

대부분의 대한민국 학교가 그렇듯이 학생회의 권력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각급 실장과 부실장을 앞세운 '대의원회'의 권력은 상당히 강한데, 큰 안건도 가끔 올라오는 편이다. 의원내각제? 물론 학생회와 대의원회의 권력을 합쳐 봐야 갓 부임한 행정실 서기님보다 못한 수준.

7 출신 인물

그런거 없다
학교 역사가 짧은 만큼 출신자 가운데 아직 사회적인 명성을 얻은 인물이 없다.
1회 졸업생이 1991년생, 빠른 1992년생이니 2015년 기준으로 한국식 나이로 스물넷, 스물다섯인데 벌써부터 대단한 인물이 있기를 바라는 것부터가 지나친 기대일지도 모른다. 요즘 이 나이에 번듯한 직장이라도 있으면 굉장한 업적이다 대학생이거나 군대갔을거야

8 트리비아

나무위키에서 대구광역시의 중학교 목록번째로 등재되었다.
  1. 강제로 보안 프로그램을 내려받게 하는 등 웹 표준을 지키고 있지 않으므로 접속하지 않는 것이 좋다. 팝업도 쩔어쩔어 원래 학교 홈페이지가 다 그렇다
  2. 공무원 아파트가 주변에 있어서 재학생 중 공무원 가정 의 비율이 높다.
  3. 2016년 기준 1학년은 1반에 24명, 2학년은 31명, 3학년은 37명 정도이다.2012년 전후엔 1학년도 한 학급에에 40명 정도였는데?!?!?이러한 재학생의 급격한 감소의 이유에는 출산율의 감소도 있지만 새론중학교의 등장도 한몫한다
  4. 특히 강동고등학교와는 울타리 하나를 두고 바로 이웃해있어 체육시간에 울타리 너머로 공 따위가 넘어갈 경우 울타리를 넘어서 가져오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5. 이 시점부터 입학생이 빠르게 줄어들기 시작하고 있다.
  6. 사실 이건 시설이 사기급인 강동초등학교를 나온 졸업생 시점에 가깝다! 재학생 수 비해 좁긴 하지만 낡은 편은 아니다. 졸업한 뒤 강동고등학교가 아닌 그 동네 남자들이 주로 가는 학교라던가 그 동네 여자들이 주로 가는 학교에 진학해봐야 강동중학교의 시설이 좋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7. 마사토가 아니라 모래로 보인다
  8. 한때 자전거 열풍이 불 때는 거의 픽시로드 전시장 급이었지만 현재는 자전거 통학 시 부모의 동의가 필요한 신청서를 내야 해 자전거 등교 인구가 확 줄었다.
  9. 이 때문에 축제 때 공연팀이 1부와 2부에 똑같은 공연을 한다.
  10. 급식이 맛좋다는 안심중학교에서 뭘 배워온 듯 하다.
  11. 시험 기간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