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라고속철도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京羅高速鐵道

1 개요

서울특별시에서 철원군, 원산시, 함흥시, 청진시를 거쳐 나진시까지 이어질 고속철도.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본격 국제선 KTX 남북통일 이후 추진할 예정이다.

2 노선

3 전망

3.1 서울시내 통과 문제

서울로 어떻게 꽂을지가 난감하다.

서울시내 경원선 구간은 선형도 좋지 못하고, 경부고속철도와 직결을 하려면 용산삼각선을 거쳐야 하는 안습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 발착안, 서울교외선 활용안, 수도권고속선 직결안 등이 있다.
그중 서울역 경유로 남부지방으로 가는 방법으로는 의정부에서 교외선으로 진입하여[1] 경의선을 경유해 서울역으로 진입하면 된다.

수도권 고속선 직결안의 경우 현재 수서-삼성, 삼성-의정부 구간에 GTX가 추진중이라는 점에서 나름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현재 건설 계획상 수서-삼성-의정부가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되지 않아 지하에 복잡한 연결선을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GTX 노선을 의정부-삼성-수서-동탄으로 분리하고, 경제성이 낮은 삼성-과천-금정은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3.2 항공기와의 경쟁 및 수요 문제

4시간의 벽을 보면 알겠지만, 철도는 장거리에서 항공에 밀리는 경향이 있다. 경라고속철도가 생기고 나면, 서울-원산/함흥 노선은 철도가 박살낼 가능성이 높다. 원산공항은 원산시내에 매우 가까이에 있지만, 워낙 거리가 짧기 때문에 김포-대구 노선처럼 철도에 썰려나갈 가능성이 높다. (인구 300만 이상인 서울 서남권과 인천권 수요에서 김포공항이 유리하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함흥은 함흥의 공항인 선덕비행장이 도심에서 멀기 때문에 고속철도가 생기면 박살날 가능성이 높다. 물론, 함흥시 인구 정도라면 지선철도인 '함흥공항철도'가 생길 가능성도 있지만 말이다.

함흥시와 청진시 사이에는 청진시에서 40km 떨어진 어랑군청진공항을 제외하면 공항이 없으므로 철도가 우세를 차지할 수 있으나, 이 지역은 연선인구는 부족한 반면 철도를 신설해야 할 거리는 너무 길다는 의견이 있다.

어랑군이나 청진시 부터는 서울과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항공이 우세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4 관련항목

  1. 현재 교외선에서 원산방면으로 삼각선이 없으므로(부지는 있다) 필히 삼각선을 설치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