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경순왕릉/漣川 敬順王陵
사적 제244호
1 개요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에 있는 신라 제56대 국왕 경순왕 김부의 능이다.
2 역사
경순왕은 신라 마지막 왕으로, 고려의 왕건에게 항복한 후 경주를 떠나서 개경 근처에서 살아야 했고 죽어서도 신라왕릉 중 유일하게 경주시 바깥에 묻혔다.
경순왕릉이 식읍지인 경주에 위치하지 않고 연천 지역에 있는 것에는 고려 정부의 속셈이 있다는 설이 있다. 정황상으론 경순왕의 고향인 경주에서 장례를 치뤄서 그 곳에 릉을 세우는 것이 맞기는 하지만, 신라의 옛 수도인 경주에서 신라의 마지막 국왕의 장례를 치룰 경우 경주 일대의 민심이 어떻게 변할지 도저히 장담할 수 없었다. 망국의 군주의 장례가 얼마나 민심을 격앙시키는지는, 예를 들면 조선이 망한 뒤 일제강점기 때도 고종(대한제국)과 순종(대한제국)의 장례식에 맞춰서 각각 3.1 운동과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난 것만 봐도 알 수 있듯 복벽운동이 일어나기 딱 좋은 기회다.
따라서 '왕릉은 수도 개경에서 100리 안에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빌미로 경주까지 가지 못하게 하고 당시 수운 교통이 편리한 임진강 고랑포 근처인 현 위치에 릉을 세우게 했다는 것.[1]
신라왕릉 하면 후대보다 크고 아름다운 봉분을 떠올리기 쉽지만 경순왕은 망국의 군주라 능역은 그 정도는 아니다. 그래도 봉분의 높이가 3m로, 일반인의 무덤에 비할 바는 아니다.
고려 조정은 옛 신라 왕실을 나름대로 우대해, 능 주위로 곡장(曲墻)을 둘러 왕릉의 격식을 갖췄다. 현재 세워진 묘비는 1747년에 세웠다.
형태가 신라왕릉보다는 고려왕릉에 가깝다. 참고로 경순왕은 신라가 멸망한 뒤에도 오래오래 장수해서 고려 제5대 경종 때 붕어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경주 김씨 절대다수는 경순왕의 후손이므로, 그냥 문화재 정도 대우만 받는 다른 경주 왕릉들에 비해 경순왕릉도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일년에 두 번 3월 1일과 10월 1일에 제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