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릉

1 개요

신라왕릉에 대한 문서이다

신라삼국시대 최후의 승자인 덕분에 다른 고대 국가의 왕릉들에 비해 잘 보존되어 있지만, 많은 왕릉의 주인은 아직 100% 확실하지 않다.

2 상세

많은 왕릉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되었다. 신라의 왕릉들은 경순왕릉을 제외하면 모두 신라의 수도 서라벌이 있었던 경주시에 있다.

신라의 왕릉들은 고구려, 백제와 달리 입구를 따로 만들지 않았고 구조가 견고하여 도굴이 어려운 특징이 있으며,[1] 삼국통일에 성공해 왕조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점, 미리 고려에 항복을 했기에 후대 고려왕조 시대에도 박해를 덜 받으면서 신라왕릉들도 좀 더 관리를 받아올 수 있었다. 덕분에 같은 삼국시대고구려 · 백제가야의 왕릉이 무령왕릉 같은 극소수 예외 말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거나 현존하지 않는 것에 비해 56명의 왕 중 37명의 능묘가 확인되었거나 추정되며 19왕의 능묘만 밝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 경주에 남아있는 왕릉들도 적어도 시가지 주변에 분포한 대형 돌무지덧널무덤 양식 무덤의 경우 대부분 도굴된 적이 없었고 부장품도 그대로 남아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규모가 작은 고분이나 경주 외곽 산지에 위치한 고분은 일부 도굴 사례가 있으나, 대체로 다른 왕조의 고분에 비하면 매우 상태가 양호한 편이며,[2] 고고학계에서는 희망과 동시에 큰 과제로 남아있다.

원래 신라 왕릉은 봉분 외에 따로 시설을 설치하지 않았지만 무열왕릉부터 비석을 세우고 봉토 밑에 자연석으로 호석을 설치, 신문왕릉부터는 문인상, 무인상, 십이지신상 등 수호석으로 장식했다. 이런 능묘 제도는 이후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졌다.

3 신라왕릉 목록

3.1 추존된 왕의 능

사후 추존된 왕의 능으로 흥무대왕릉(김유신장군묘)이 있다.[6]

이 외에 천마총, 황남대총, 금관총, 서봉총, 대릉원, 서악동 고분군 등의 대형 고분들도 왕릉으로 추정되고 있다.
  1. 엄청난 양의 돌이 쌓여있기 때문에 현대 이전에는 주민과 관청에 들키지 않고 도굴을 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이었으며, 현대에는 폭탄이나 중장비를 동원한다고 가정하면 무덤을 억지로 열 수 있겠지만 도굴은 다른 사람에게 들키지 않도록 밤중에 은밀하게 하는 것이므로, 결국 불가능하다.
  2. 예를 들면 백제는 멀쩡히 현대까지 남았던 왕릉은 무령왕릉 딱 하나뿐이었다. 말 그대로 기적적.
  3. 대왕암 자체가 문무왕의 무덤(수중릉)이란 해석과, 화장한 유골을 뿌린 장소인 산골처라는 해석이 대립하고 있다.
  4. 경상남도 양산시에 진성여왕릉으로 추정되는 능이 있는데 문화재청이 인정한 곳은 아니다. 그게 맞다면 경순왕릉과 함께 경주시 밖에 있는 왕릉이다.
  5. 고려에 항복했기 때문에 사망 시 임금이 아니었으나 신라의 마지막 임금이었고, 고려신라계승한다는 의미에서 능의 형태로 조성되었다.
  6. 다만 이 고분은 사실 신무왕의 능이고, 진짜 김유신장군묘는 태종무열왕릉 옆의 전(傳) 김인문묘(속칭 각간묘角干墓)라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