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릉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왕릉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개요

고려의 왕릉을 소개하는 문서.

1대부터 34대까지 모든 왕릉의 위치가 알려져 있는 것은 아니다. 신라왕릉이나 조선왕릉이 그렇듯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 근처에 모여있는 편인데 잠시 강화도로 도읍을 이전했던 이라 쓰고 도망이라 읽는 대몽항쟁 시기와 공양왕의 경우만 특이한 케이스로 다른 지역(현 남한)에 위치하고 있다. 2기의 능은 대한민국,[1] 나머지는 북한에 있는데 남한의 고려왕릉들은 고려가 힘들 때(여몽전쟁)이나 망한 뒤(공양왕)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우 초라하며 북한의 고려왕릉들은 태조의 현릉이나 공민왕의 현릉 등 일부를 제외하면 관리상태가 매우 안습한 상황이다.[2] 고려왕릉 자체가 구한말, 일제강점기, 광복 후 모두 도굴당해서 대한민국 발굴 조사 기록이나 북한 발굴 조사 기록에서는 그야말로 발굴된 유물이 별로 없다. 사실 국보로 지정된 고려청자가 보통 고려왕릉이나 귀족 무덤에서 나온 경우가 많다.

2 목록

34명의 왕 중에 9기의 위치가 알려져 있지 않은데 그 중 우왕과 창왕은 폐위되고 서인으로 강등된 후 사사되었기 때문에 능호는 물론 시호, 묘호도 없다. 심지어 기록이 없어 능도 조성되었는지 알 수도 없다.

아래는 사후 추존된 왕들의 능호이다.

국조로 추존된 왕건의 증조할아버지 손보육과 그의 부인 정화왕후의 무덤은 기록이 전혀 없어서 알려져 있지 않다.

개풍군 지역의 이명(里名) 중에는 왕릉의 이름을 딴 곳이 꽤 있는데(광복 당시 행정구역 기준이다), 토성면 여릉리[17] 영남면 소릉리, 청교면 유릉리, 양릉리 등을 들 수 있다.

개성시 내의 역사유적들과 함께 고려왕릉들도 201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하지만 북한에 존재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운명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1. 왕릉으로는 희종의 무덤 석릉(碩陵), 고종의 무덤 홍릉(洪陵)이 있으며 원종의 왕비 순경태후의 무덤 가릉(嘉陵), 강종의 부인 원덕태후의 무덤 곤릉(坤陵)이 있다. 그 밖에 발견되지만 않았지만 강화도에 매장된 강종의 후릉(厚陵)도 강화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북한의 산들이 많이들 그렇듯 산에 나무가 하나도 없어서 봉분이 황무지 가운데 덩그러니 떨어져 있거나 한 경우가 태반이다.
  3. 참고로 당대에는 공릉(恭陵)에 매장되었고 의릉은 이장된 곳이다. 하지만 현재 공릉과 의릉 두 곳 다 위치 유실 상태로 대략 개성 동쪽이라고는 하나, 현재는 알 수 없다.
  4. 숙릉과 주릉은 그동안 위치가 유실되었으나, 2016년 6월 28일 북한이 개성시 해선리 중심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서 총 2개의 왕릉을 발견했고 각각 숙릉과 주릉으로 확정되었다고 발표했다.
  5. 개성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6. 개성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7. 강화도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8.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다만 이 분은 자기 부인 제국대장공주의 무덤인 고릉(高陵)은 확인되었으나, 본인의 무덤은 알 수 없다.
  9.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10.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11. 공민왕의 능 이름은 현릉(玄陵), 노국공주의 능 이름은 정릉(正陵)이다.
  12. 우왕과 창왕은 폐위되어 왕으로 인정받지도 못하고 조선왕조는 이들을 신씨 반역자로 간주했기 때문에 다른 왕릉들이 대부분 오랜 세월 동안 자연스럽게 유실된 것과 달리 의도적으로 파헤쳐졌다.
  13. 강원도 삼척시에 가묘가 있는데 정확히는 공양왕이 사사당한 후 유배지인 삼척시에 가묘를 만들었다가 이 후 고양시의 현 위치로 이장한 것이다. 그래도 기존의 가묘를 없애지 않고 그대로 남겨두었기 때문이다.
  14. 왕건의 할아버지로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운부군옥 등에 의하면 개성 광명사(廣明寺) 북쪽에 있었다고 한다. 정확히는 자기 부인 원창왕후의 무덤은 발견되었으나, 본인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다.
  15. 고려사에 의하면 왕륭이 금성군(金城郡, 현재 나주시)에서 죽자 예성강(禮成江)변에 있는 영안성 인근 석굴에 매장되었다. 훗날 아들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자 그를 세조로 추존하고 그의 묘를 창릉(昌陵)이라 했다.
  16. 조카이자 경종 비 헌정왕후와 불륜을 저질러 현종을 낳은 바로 그 사람이다.
  17. 태조 현릉과 공민왕 현릉 소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