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음

兩脣音 / Bilabial consonant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비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마찰접근음접근음
탄음전동음설측음내파음흡착음방출음
조음 위치양순음순치음설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
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후두개음성문음
성대 울림유성음무성음
기식 유무유기음무기음
;

1 개요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두입술소리라고도 부르며, 말 그대로 입술에 기식을 넣어 만드는 발음.

양순 비음 (\[m\])이나 양순 파열음(\[p\],\[b\])는 내기 간단한 소리라서 많은 언어에 분포하고 있는 소리지만, 극히 예외적으로 없는 언어도 있다. (예: 모호크어[1])

한글에는 ㅁ, ㅂ, ㅃ, ㅍ, 그리고 \[u\] 또는 반모음 \[w\] 앞의 ㅎ이 이 분류에 속하며, 반모음인 \[w\]도 양순음 계열이다.

2 조음 방법

2.1 양순 비음

IPA 기호는 \[m\].
두 입술을 붙이고, 코로 기식을 내보내면서 입술을 떼서 내는 소리다.

한국어단어 처음에 오지 않은 ㅁ과 음가가 같으며,[2] 영어의 m, 일본어의 ま행 등, 여러 언어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음이다.

발음 방법: 그냥 ㅁ을 발음하면 된다.

2.2 양순 파열음

IPA 기호는 \[p\](무성음), \[b\](유성음).
두 입술을 붙였다가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는 소리다.

여기에 속하는 한국어의 음에는 ㅂ, ㅃ, ㅍ 등이 있다. ㅂ은 보통 b, ㅍ과 ㅃ은 p로 표기하나,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ㅂ은 원래 무성음으로 실현되며,[3] 어두가 아닌 곳에서는 유성음화하지만 그마저도 완벽한 유성음은 아니다. ㅍ은 \[p\]에 비해서 기식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IPA에서는 \[pʰ\]로 표현한다. ㅃ은 \[p\]하고 가까운데, 경음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오른쪽 아래에 "처럼 생긴 기호를 덧붙여서 \[p͈\]라고 표기한다. 또한 받침 ㅂ은 IPA로 \[p\]의 오른쪽에 'ㄱ'처럼 생긴 기호를 붙여서 \[p̚\]이라고 표현하는데, 빵 터트리지 않고 그냥 입술을 다문 상태에서 끝나는 음이다.

발음 방법: \[p\]는 ㅃ처럼, 혹은 'spin'나 'space'의 p를 발음하면 된다.[4] \[b\]는 영어의 b를 발음하거나, ㅂ을 발음하듯이 하되 성대가 확실히 울리도록 하면 된다.[5]

양순 비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음 특성상 입술을 안 붙이면 이 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다. 일부러 입술을 안 붙이고 발음하려고 하면 아래에 설명할 양순 마찰음이나 접근음으로 변하게 된다. 참고로 이를 역이용한 친구 놀리기 방법 중에 '코카콜라를 입술 안 붙이고 발음하기'가 있는데 앞의 세 ㅋ은 연구개 파열음이고 맨 뒤의 ㄹ은 치경 탄음이라 입술을 안 붙여도 잘만 발음된다. 만약 펩시콜라였다면 '펩'에서 입술이 두 번이나 붙기 때문에 억지로 입술을 안 붙이고 발음하려면 '휗씨콜라'처럼 발음될 것이다.

2.3 양순 마찰음, 양순 마찰접근음

IPA 기호는 \[ɸ\](무성음), \[β\](유성음).
두 입술을 살짝 붙이고, 입술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면서 입술을 떼는 소리다.

일본어의 ふ(가타카나로는 フ),한국어의 "후"등이 이 발음이 나며 일본인은 영어의 f를 발음할 때 무성 양순 마찰음(\[ɸ\])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대개 한글로는 ㅎ,ㅍ으로 표기되고, 라틴 문자로 표기할 때에 fu 로 표기한다. [6] 한국어에는 유성음(\[β\])이 동남 방언에 남아 있으며, 현대 한글 표기법에서 더 이상 쓰이지 않는 순경음 피읖()과 순경음 비읍()이 각각 이 음가들을 표현했던 것으로 여겨진다.[7] 또, 촛불이나 뜨거운 국물을 '후, 후' 하고 불 때 무심코 \[ɸ\]이 실현되기도 하고, 한국어에서 성문 마찰음 ㅎ(\[h\]) 다음에 후설 원순 고모음 ㅜ(\[u\])이나 양순 연구개 접근음(\[w\])이 포함된 이중 모음이 올 때도 변이음으로 실현된다. (예: 훼방 - \[hweː.bɐŋ\] → \[ɸeː.bɐŋ\]).

그런데, \[h\]의 특성상 모음 뒤에는 묵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 단 실행이 발음을 끊느냐? 안끊느냐? 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주의할것 [8] [9] (예: 임요환 - \[i.mjo.ɸan\] → \[i.mjo.wan\]

\[β\]는 원래 마찰음이었으나, 접근음의 특성이 발견됨에 따라 마찰접근음으로 변경되었다.

양순 마찰음이 앞의 양순 파열음과 결합하면(정확히는 양순 파열음이 나오려다가 기류가 마찰되면) 양순 파찰음(\[p͡ɸ\], \[b͡β\])이 된다. 순치 파찰음도 희귀하지만 양순 파찰음은 더 희귀하다. 한국어의 경우 ㅂ, ㅃ, ㅍ 다음에 ㅜ 또는 양순 연구개 접근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이 왔을 때 무의식적으로 양순 파찰음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예: 봤다 - \[pwɐt̚.t͈ɐ\] → \[p͡ɸɐt̚.t͈ɐ\], 염불 - \[jʌmː.bul\] → \[jʌmː.b͡βul\]).
일본어(잘 쓰이진 않지만 히라가나는 ゔ)에서도 이 발음이 난다.영어등의 v발음을 표기할때 가끔 사용한다.
f를 フ행으로,p를 パ행으로 나타내는 것에 비해 v와 b는 모두 일괄적으로 バ행으로 나타내는건 위에서 나왔듯이 양순 마찰접근음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붸에에의 ㅂ이 발음

발음 방법: 후 화 휘 훼 훠 를 발음하거나 \[f\], \[v\]를 두 입술로 발음하면 된다. [10]

2.4 양순 접근음

IPA 기호는 \[β̞\]
두 입술이 닿을락 말락하는 상태에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는 유성음화가 된 ㅎ의 양순마찰음의 변이음으로 일어난다. 일본어의 わ행은 이 소리가 나기도 하고, 거의 양순 연구개 접근음(w)과 거의 구분이 안 갈 정도.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유성 양순 마찰음 기호 아래쪽에 ㅜ[11]를 붙인 형태로 사용중이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발음 방법: 유성 양순 마찰음(\[β\])을 좀 더 w에 가깝게 발음하거나 으화 할때 '화'를 성대를떨면서, 입술을 마찰시키면 된다. 사실 \[β\]와 \[β̞\]을 구분 안 하고 하나로 취급하는 곳도 있을 정도로 둘은 비슷하다.

2.5 양순 전동음

IPA 기호는 \[ʙ\].
두 입술을 부르르 떨어주면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아기들이 이거 하면 비온다고 한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나, 다만 아이들이 자동차 시동 거는 소리를 흉내낼 때 간혹 내곤 한다. 감이 안 온다면 직접 들어보자. 바로 감이 올 거다. 남아공 월드컵으로 유명해진 부부젤라를 불 때 이 발음이 실현되기도 한다.

발음 방법: 말 그대로 두 입술을 떨면 된다.

2.6 양순 탄음

IPA 기호는 \[ⱱ̟\].(비공식)
두 입술을 안쪽으로 했다가 재빨리 튕기는 동시에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립스틱 바르고 말릴때 나는 소리)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순치 탄음 기호 아래쪽에 +[12]를 붙인다. 그나마도 순치 탄음은 공식 기호로 지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 기호를 볼 수 있는 컴퓨터는 많지 않다. 어떤 모양인지 궁금하다면 클릭

2.7 양순 연구개 비음

IPA 기호는 \[ŋ͡m\].
두 입술을 붙이고 혓바닥을 연구개에 댄 상태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베트남어에 볼 수 있는 발음으로, \[u\]나 \[w\] 뒤에서 나오는 연구개 비음(\[ŋ\])의 변이음이며[13], 이외에는 거의 안 쓰인다고 봐도 좋을 정도다.

발음 방법: 혀쪽은 \[ŋ\]처럼, 입술 모양은 \[m\]처럼 만들면 된다. 즉 \[ŋ\]과 \[m\]을 동시에 내는 거라고 볼 수 있다.

2.8 양순 연구개 파열음

IPA 기호는 \[k͡p\](무성음), \[ɡ͡b\](유성음).
두 입술을 붙이고 혓바닥을 연구개에 댄 상태로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양순 연구개 비음과 마찬가지로, 무성음 \[k͡p\]은 베트남어에서 \[u\]나 \[w\] 뒤에서 나오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k\])의 변이음이다. 서아프리카나 중앙아프리카 언어에서도 많이 보이는 음가이다. 대표적인 예가 축구선수 드록바(Drogba)의 gb.

발음 방법: 마찬가지로 혀쪽은 \[k\]나 \[ɡ\]처럼, 입술 모양은 \[p\]나 \[b\]처럼 만들어서 동시에 내면 된다. [14]

2.9 양순 연구개 접근음

IPA 기호는 \[ʍ\](무성음), \[w\](유성음).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로 혓바닥을 연구개에 대고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유성음의 경우, 한국어에선 ㅘ,ㅝ,ㅟ,ㅙ,ㅞ 등등을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발음법[15]에서도 볼 수 있고 영어의 w도 이 음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많이 익숙할 것이다. 무성음의 경우 스코틀랜드 영어, 남미 영어에서 보인다. 영단어 'white'가 분명 '와이트' 비슷하게 들리는 것 같은데도 '화이트'라는 표기가 널리 쓰이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의외로 없는 언어도 많다. \[w\] 소리가 없는 언어에서는 \[v\] 음가로 옮긴다.

발음 방법: 위에서 말한 대로 유성음은 영어의 w나 ㅗ, ㅜ 계열의 이중모음을 발음하듯이 하고, 무성음은 \[w\]에서 성대가 덜 울리게 알아서 발음하거나, 일부 사람들(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방언 화자가 대표적. 표준 영어에서는 w로 발음하며 이를 wine-whine merger이라고 한다.)이 'wh'를 발음하듯이 하면 된다.[16]

2.10 양순 경구개 접근음

IPA 기호는 \[ɥ\].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에서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기식을 내는 소리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만약 \[j\]와 \[w\]를 \[i\]와 \[u\]의 반자음 형태라고 본다면, 이 음은 \[y\]의 반자음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는 \[y\]라는 음가를 가진 ü(단어 처음에서는 yu, 설면음 뒤에서는 움라우트기호 생략) 뒤에 다른 모음이 같이 올 때 ü가 이 발음에 해당하며, 마찬가지로 \[y\]를 음소로 가지고 있는 프랑스어에서도 huit(ɥit), huile(ɥil) 같은 단어에서 이 음을 볼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나뉘어(naɳɥʌ), 바뀌어(pak'ɥʌ), 쉬어(ɕɥʌ), 휘어지다(çɥʌd͡ʑidɐ) 등 ㅟ어(ɥʌ)[17]의 형태로만 한정적으로 등장한다. 가끔씩 ㅟ 혼자만 와도 \[y\] 혹은 \[ɥi\]의 형태로 나오기도 한다.
발음 방법: 위에서 말했든 'ㅟ어'의 'ㅟ'를 발음하듯이 하면 된다.

2.11 양순 흡착음

IPA 기호는 \[ʘ\].
입술을 꽉 오므리고, 구강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떼는 소리다.

한국어로는 의성어인 '쪽'으로 표현되는 발음이다.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지만 의외로 실생활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데, 립스틱을 바르고 나서 입으로 입술을 당겼다가 놓을 때 나는 소리이다.

뽀뽀는 '사순(四脣) 흡착음'이라는 우스개도 있다. 하지만 딥키스라면? 당연히 사순 흡착 양설 마찰음이지

2.12 양순 내파음

IPA 기호는 \[ɓ\].
두 입술을 붙였다가 인두 쪽을 아래로 눌러서 안쪽으로 기류가 들어오게 하고 입술을 떼는 소리다.

유성음이며, 대립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 \[ƥ\]는 현재 폐지되었다. 베트남어의 b가 이 음가이다.

발음 방법: 입술을 다물고 목에 힘을 줘서 후두부를 아래쪽으로 움직인다.(보통 그렇게 하면 성대가 울린다.) 그 상태에서 입술을 떼면 된다. 이 때 살짝 '뻑' 소리가 나는 건 덤.

3 관련 항목

  1. 모호크어는 양순음 뿐만 아니라 순치음도 없다. 즉, 아예 순음 자체가 없다.
  2. 한국어 ㅁ은 단어 처음에 올 때 미묘하게 비음의 정도가 약해져서 \[m͊\]로 발음된다
  3. 이 때문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어두에 나오는 ㅂ을 B가 아닌 P로 표기한다. IPA로 표기하려면 되게 애매해지는데, 기식의 정도가 p와 p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p⁽ʰ⁾로 표기하고 있고, b 아래쪽에 고리점(무성음화되었다는 표시)을 붙여서 표기하기도 한다.
  4. 영어의 p는 어두에서는 한국어의 ㅍ과 같이 유기음이 된다.
  5. 사실 비음을 내지 않고 ㅁ을 발음하다보면 자동적으로 이 발음이 튀어나온다.
  6. 다만 마오리어의 경우 wh라고 쓴다.
  7. 다만 순경음이 양순음인지 순치음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8. 왜 그렇냐 하면한국어는 된소리,거센소리를 제외하면 이어말하면 예사소리들 이 유성음이 되기 때문이다. 단 끊어말하기를 하면 무성음으로 된다
  9. 왜 그렇냐 하면 '화'가 유성음이 되면 양순마찰접근음이 되나, 발음이 불안정해서 순음퇴화로 인해 아래의양순접근음이 되거나 W발음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10. 환타, 후시딘, 후라이드 치킨등과 같이 ㅎ에 U W계열 모음의 합성으로 이 발음이 난다
  11. 음역을 내리라는 의미의 기호이다. 이와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ㅗ.
  12.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
  13. 베트남의 통화 단위(₫, \[ɗuŋ͡m\])를 말할 때 받침으로 이 음이 들어간다.
  14. \[ŋ\], \[k\], \[ɡ\]은 모두 연구개음이며, \[m\], \[p\], \[b\]는 모두 양순음이다.
  15. 사실 일반 언중들한테는 이 발음법이 표준이다. 아직까지 "공식적인 표준발음"은 ㅟ 모음은 입모양은 ㅜ 혀모양은 ㅣ로, ㅚ 모음은 입모양은 ㅗ 혀모양은 ㅣ로 발음하는 단모음이다.
  16. 영어 내부에서는 편의 상 hw로 표기하기도 한다. 참고로 고대 영어에서 wh를 hw로 표기했다.
  17. "몰랐어? 쟤 요즘 나랑 사귀어."의 발음을 생각해 보면 된다. 분명히 "사"라고 말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똑바로 "사귀어"라고 말하는 것도 아닌, 분명히 한국말인데도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다. 아예 ㅜㅣㅓ의 3중모음인 것으로 보는 의견도 있을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