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음

철도의 열차 진입음에 대해서는 열차 진입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接近音 / Approximant consonant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비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마찰접근음접근음
탄음전동음설측음내파음흡착음방출음
조음 위치양순음순치음설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
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후두개음성문음
성대 울림유성음무성음
기식 유무유기음무기음

조음할 때 좁힘을 만들되, 파열이나 마찰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넓게 터 내는 소리. 조음 구조상 모음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반모음(半母音), 반자음(半子音)이라고도 한다. [1]

몇몇 접근음은 대응하는 모음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것은 엄연한 자음이므로 모음이 있어야지만 발현되며, 대응되는 모음과 같이 붙어 있더라도 같은 음가는 아닌 것[3][4]에 유의하자.

현재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1. 이동 한글에서도 접근음 계열이 자음(초성)쪽에 있지 않고 ㅢ, ㅘ 와 같은 이중모음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2. 이동 영어, 중국어의 er 발음
  3. 이동 ex> yeast([ji]), wool([wu]) 등
  4. 이동 발음만 해봐도 알 수 있겠지만, 그냥 길이를 늘려주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