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운림51

20px 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급행간선지선마을
일곡10수완12선운14지원15매월16진월17
문흥18송정19첨단22첨단23지원25매월26
봉선27일곡28송정29첨단30송암31금호36
봉선37일곡38문흥39지원45금호46송암47
운림50운림51운림54금남58금남59첨단95
송정98


위 차량은 1852호와 맞교환되면서 송정33번으로 넘어갔다.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운림51번
기점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증심사)종점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첨단공영차고지)
종점행첫차05:40기점행첫차05:40
막차22:35막차22:40
평일배차평일 8~11분주말배차10~13분
운수사명대진운수인가대수평일 22대, 공휴일 18대(저상버스 7대)
노선증심사 - 운림중 - 홍림교 - (→ 학동무등파크 →/← 학동평화맨션 ←) - 학동증심사입구역 - 전남대병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일고 - 임동주민센터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 금호중앙여고 →/← 운암시장 ←) - 운암3단지 - 산동교 - 전남공고 - 보건대후문 - 신창부영1차아파트 - 신창초교 - 광주보훈병원 - 첨단호반3차아파트 - 첨단2동주민센터 - 광주과학기술원 - 국립광주과학관 - 은혜학교 - 첨단공영차고지

2 개요

대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번이 전신이다. 지원동 차고지가 기점이라는 점만 빼면 현재 노선과 거의 똑같았다. 번호에서 알 수 있듯 광주에서 꽤 오래된 노선 중 하나였고, 그만큼 수요도 많았다.[1]
  • 2006년 개편 때 1번이 폐선되었다. 이 때 지원51번이 신설되었는데, 당시엔 구 1번과 무관한 노선이었으며 증심사에서 도청역(현 문화전당역)까지 운행하는 단거리 노선이었다.
  • 그러나 금남로에서 증심사로 가는 다른 노선도 많았기 때문에 사실상 공기수송만 하고 있었고, 사라진 1번을 살려달라는 시민들의 민원이 빗발치면서 옛 1번 노선대로 변경하게 되었다.[2]
  • 2011년에 증심사로 가는 버스들의 권역번호가 '지원'에서 '운림'으로 바뀌면서 지원51번도 운림51번으로 바뀌었다.

4 특징

  • 첨단09와 함께 비아/첨단권에서 구시가지를 갈 수 있는 노선이다. 첨단09가 신가동, 버들마을 등에서 신호등으로 시간을 까먹을 동안에 이 노선은 동림동, 운암동, 임동을 순식간에 지나가 버린다. 보훈병원과 신창동(보건대, 전남공고)을 경유해서 가긴 하지만 충분히 단점을 보완할 만 하다. 운암동 소재의 학교들로 배정을 많이 받는 첨단지역 학생들의 주요 통학수단이기도 하다.

5 연계 철도역

  1. 광주역(신역)을 경유한 적도 있지만 폐선 전까지 기존 노선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었다. 큰 변화라고 해봐야 첨단지구 연장 하나 뿐. 옛 종점은 신창동 보건대. IMF 이전까지의 광주 시내버스들이 하나같이 근성을 모토로 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대단히 효율적인 노선이었다. 덤으로 지선노선을 2개나 가지고 있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지원52 참조.
  2. 동시에 20번, 222번이 같이 부활했는데 지금의 금호36송정9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