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목록
20px 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 |||||||||||||||||||||||
급행 | 간선 | 지선 | 마을 |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지원25 | 매월26 |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
봉선37 | 일곡38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
운림50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금남59 | 첨단95 | ||||||||||||||||||
송정98 |
위 차량은 1852호와 맞교환되면서 송정33번으로 넘어갔다.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운림51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증심사)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첨단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35 | 막차 | 22:40 | ||
평일배차 | 평일 8~11분 | 주말배차 | 10~13분 | ||
운수사명 | 대진운수 | 인가대수 | 평일 22대, 공휴일 18대(저상버스 7대) | ||
노선 | 증심사 - 운림중 - 홍림교 - (→ 학동무등파크 →/← 학동평화맨션 ←) - 학동증심사입구역 - 전남대병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일고 - 임동주민센터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 금호중앙여고 →/← 운암시장 ←) - 운암3단지 - 산동교 - 전남공고 - 보건대후문 - 신창부영1차아파트 - 신창초교 - 광주보훈병원 - 첨단호반3차아파트 - 첨단2동주민센터 - 광주과학기술원 - 국립광주과학관 - 은혜학교 - 첨단공영차고지 |
2 개요
대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번이 전신이다. 지원동 차고지가 기점이라는 점만 빼면 현재 노선과 거의 똑같았다. 번호에서 알 수 있듯 광주에서 꽤 오래된 노선 중 하나였고, 그만큼 수요도 많았다.[1]
- 2006년 개편 때 1번이 폐선되었다. 이 때 지원51번이 신설되었는데, 당시엔 구 1번과 무관한 노선이었으며 증심사에서 도청역(현 문화전당역)까지 운행하는 단거리 노선이었다.
- 그러나 금남로에서 증심사로 가는 다른 노선도 많았기 때문에 사실상 공기수송만 하고 있었고, 사라진 1번을 살려달라는 시민들의 민원이 빗발치면서 옛 1번 노선대로 변경하게 되었다.[2]
- 2011년에 증심사로 가는 버스들의 권역번호가 '지원'에서 '운림'으로 바뀌면서 지원51번도 운림51번으로 바뀌었다.
4 특징
- 첨단09와 함께 비아/첨단권에서 구시가지를 갈 수 있는 노선이다. 첨단09가 신가동, 버들마을 등에서 신호등으로 시간을 까먹을 동안에 이 노선은 동림동, 운암동, 임동을 순식간에 지나가 버린다. 보훈병원과 신창동(보건대, 전남공고)을 경유해서 가긴 하지만 충분히 단점을 보완할 만 하다. 운암동 소재의 학교들로 배정을 많이 받는 첨단지역 학생들의 주요 통학수단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