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진여객

1 개요

화진여객에서 분리하여 1980년에 설립하였으며,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 본사와 차고지를 두고 있는 부산광역시 면허의 시내버스 업체. 면허지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68번길 2 (연산동)[1]로 되어 있다.

김해3사[2]의 일원 중 하나이며, 이들 중에선 사명변경 없이 계속 유지 중이다. 2007년 노선 개편 이후로는 김해시 이외의 노선에도 공동 배차 형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차량 대수는 43대로 현재 성원여객과 비슷한 규모로 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다. 차량은 전 차량 현대버스만 운용한다.

김해시로 오가는 부산 노선 중에서 128-1번은 수익이 무지막지한 노선이라 금진여객의 미래를 밝혀 주고 있다. 심지어 김해시 면허의 시내방면 노선들과 노선 대부분이 겹치는데도 가축수송에 몸살을 앓는다.

오죽하면 부산김해경전철 개통으로 김해시청에서 버스노선을 조정하려고 128-1번을 폐선을 부산시에 요청했고, 이것이 기사로 가시화되자 금진여객이 직접 김해시청에 처들어가서 이를 백지화시켰을 정도다. 그도 그럴 것이 128-1번을 당장 폐선시켜 버렸다면, 김해, 북구 지역 온갖 노선들을 공동배차하게 됐을것이다. 일개노선 급 공차 거리는 덤.

128-1번과 말 많은 124번이 메인 노선이고 나머지 들은 적은 대수로 공동배차하며 별책부록으로 운영하고 있다.

부산 최후의 무냉방 차량을 운행했던 회사로도 유명하다. 차량번호는 1311호로 1994년식 BS106이었다. 2004년 중순까지 운행했다.대구보다 1년 빨리 무냉방을 없앴다

2015년 말 버스노선 개편으로 주력노선인 128-1번과 적자노선인 130번의 노선이 바뀌게 된다. 130번은 폐선되어 124번이라는 1004번의 짝퉁 노선으로, 128-1번은 신라대학교까지 연장한다. 124번의 경우에는 구.130번보다는 구간 수요가 많지만, 시민공원남문~서면구간 및 기형적인 회차루트 때문에 시민들에게 외면받고 있으므로 여전히 적자가 심한 편이다. 128-1번은 승객 물갈이되는 덕천교차로 구간과 인제대학교에 이은 신라대학교의 학생 수요가 더 생기면서 더더욱 수요가 늘어난다.이 업체는 128-1번만 믿고 가야 하나보다.

그리고 124번의 장거리 및 기형적인 구간 운행과 126번, 1009번의 장거리 운행 및 장거리 공차회송[3], 128-1번의 아날로그식 행선지 안내(...)때문에 금진여객 기사분들이 본의 아니게 고생하고 있다.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덕분에 극한직업이 되어버린 금진여객 소속 승무원.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가스 충전은 김해시 한림면 신천리에 있는 김해CNG충전소로 이동하여 한다.

2 차고지

3 면허 체계

  • 입석버스 : 13XX[4]
  • 좌석버스 : 12XX

4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124번 : 10대
    • 128-1번 : 26대
    • 126번 : 2대
    • 555번 : (1)대
    • 1009번 : 2대
    • 예비차 : 3대
    • 도합 : 43대

5 운행노선

6 망했어요가 된 노선

  • 부산 버스 128 : 구산동 ↔ 엄궁아파트단지
  • 부산 버스 130(구) : 구산동 ↔ 덕천교차로
  • 부산 버스 130 (구.130-1) : 구산동 ↔ 부산대학교
  1. 알 사람은 알겠지만 일반 주택가다.당연히 면허지를 지나는 노선은 없다. 면허지 주변에 살던 사람으로서 주변에 금진여객과 관련무언가가 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김해시, 북구, 사상구 위주로 운행하는 업체로만 생각했지...
  2. 김해시에 본사와 차고지를 둔 부산 면허의 3개 시내버스 업체(금진여객, 한진여객, 화진여객)를 가리키는 말. 1990년 초에 김해시로 운행하는 부산시내버스 노선을 3개 업체가 공동 배차하면서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하지만 2004년에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하면서 이름을 바꿨고, 2007년 5월 31일에는 한진여객도 성원여객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결정적으로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시행과 동시에 김해3사 공동 배차가 폐지되면서 김해3사 체제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11년부터 잠시 128번을 공동배차했으나 그것도 1년 뒤에 폐선되면서 공동배차 노선 자체가 없다. 그래서 지금은 그저 김해시에 있는 3개의 부산 시내버스 업체로만 존재하는 중.
  3. 그런데 1009번은 노선이 긴걸 빼면 승객이 적고 배차간격이 길다보니 휴식시간이 많아서 승무원들 사이에서는 의외로 평이 좋다.
  4. 1996년 면허 개정 당시 12xx를 받았어야 했으나 어째서인지 남부여객과 바뀌었다.
  5. 전체 인가대수 중에서 성원여객이 3대, 금진여객이 2대를 배차한다. 123번과는 반대로 삼진여객 비중이 큰 노선.
  6. 회사별로 각각 예비차 1대씩 월~토요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한다.
  7. 회사별로 각각 2대씩 배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