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30

주의. 폐지된 버스노선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버스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신설1241681851871005
1011
폐지1301351005(구)
연장66128-1189190
단축2404658-163
148-1200
변경36100107123184
333520
단순변경88115-1155189-1
형간 전환1007 107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5-1 → 5128-1 → 128129-1 → 129통합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700px
2015년 9월 17일 오후 6시 27분경, 지내동공단사거리에서.[1]

700px
출처 2015년 11월 27일 마지막 운행 당시.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폐선) 130번
기점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금진여객)종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1동(장전역)
종점행첫차04:45기점행첫차06:03
막차22:00막차23:13
평일배차11분주말배차12~13분
운수사명금진여객인가대수16대
운행거리63.0km
노선김해(구산동) ─ 김해시청활천역↔선암다리↔대저안동네↔구포역덕천역↔신만덕↔미남교차로동래역온천장역부산대학교장전역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형제격 노선으로 김해 8번이 있다.

3 역사

3.1 준공영제 이전

당시운행모습

현재의 130번은 과거 130-1번 좌석버스로 운행되었던 노선을 기반으로 하며,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된 후 2008년 9월 1알애 지선 번호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130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이래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거 130번 또한 일반노선이었는데, 130-1번과는 달리 신만덕을 경유하지 않고 김해 버스 8번처럼 신만덕 미경유/만덕성당으로 직진하여 만덕2터널로 가는 것이 130-1번과의 두 차이점 중 하나였다. 하지만 과거 130-1번이 좌석버스인데도 수요가 나쁘지 않았던 터라 업체 입장에서는 130번에 차량을 다수 투입할 메리트가 없었다. 따라서 과거 130번은 거의 운행되지 않다시피 했으며, 폐선되기 직전에는 변경 전의 김해 버스 8-1번처럼 덕천역까지 단축되어 결국은 폐선되기에 이르렀다. 폐선 당시 부산 버스 128-1과의 차이점은 128-1은 김해 버스 8-1처럼 김해향교를 경유했고, 130은 김해대로를 경유했다.

3.2 준공영제 이후

준공영제 실시로 인해 김해시에서 출발하는 부산광역시 노선의 공동배차가 폐지되자, 초기에는 기존 128번, 130-1번, 309번금진여객 소속 좌석 차량 중 다수가 130-1번으로 투입되었다. 따라서 일반버스 도색을 입은 좌석버스들이 다수 존재했는데,[2] 좌석개조를 하지 않은 덕에 앉아서 갈 수 있는 확률은 높았지만 간격이 상당히 좁은 데다 출퇴근 시간에는 좁디좁은 복도에 사람들이 끼여서 타는 바람에 승.하차시 불편이 상당했다. 지금은 입석 신차 및 저상으로 대차된 지 오래.

준공영제 및 차량총량제가 실시되면서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 타 노선에 차량을 야금야금 뺏기면서 배차간격이 벌어지기 시작해 차가 조금만 막힌다 싶으면 15분~35분은 기다려야 탈 수 있는 경우도 생기곤 했다.[3] 따라서 경쟁 노선이라 할 수 있는 김해 버스 8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장점 또한 상당히 묻혀버렸다.

3.3 폐선된 모태노선 130번

김해 구산동에서 출발하여 구만덕으로 직진하여 부산대학교까지 갔던 노선으로 현재 운행중인 김해 버스 8과 선형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좌석버스이자 신만덕을 경유하는130-1번(부산 버스 130)에 수요가 밀리면서 막장상태에 이르더니 유령화되었다가 갑자기 덕천역까지 가는 잉여노선으로 부활하는 시츄에이션이 벌어졌다. 그러나 결국 1년만에 폐선되었고 후에 130-1번은 2008년 9월 1일에 지선번호 정리정책에 의해 부산 버스 130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3.4 폐선

이 노선은 2015년 11월 28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삼가 노선의 명복을 빕니다. 부산시 : 김해 8번 타세요.

130번의 폐선분으로 부산 버스 124라는 노선이 신설되었다. 도대체 왜?

그리고 개통된 124번이 어떤 노선이냐면... 첫날부터 여기저기서 문제가 불거지는 막장노선이다. 부산 버스 124/논란 참조.

이로 인해 북구 주민들과 부산대 학생들이 집단으로 멘붕을 겪었고 항의글 또한 빗발쳤다. 이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북구에서 부산대로 가는 또 다른 노선 148-1번 역시 온천장까지 단축되기 때문이었다. 김해 8번이나 121번은 배차간격이 너무 안습이다.

이 외에 다른 항의글의 답변에 의하면 노선조정 담당자인 윤 모씨가 이 노선은 노선들에 치여 수요가 저조하다고 일관하였다.#. 장거리 수요가 많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분석자료로만 가지고 노선에 함부로 칼을 대는건 어리석은 행동에 불과하다. 문제는 130번보다 수요가 적은 노선들이 널리고 널렸다.[4] 자꾸 엉뚱한 곳에서만 해답을 얻으려고 하니 그게 문제.

담당자 윤 모씨는 덕천-부산대 구간을 지하철 환승으로 대체하라고 답변을 달고 있는데 어느 미친 사람이 그 구간을 환승 2번을 해가면서 타는지 묻고 싶을 지경이다. 그놈의 지하철

2015년 12월 27일 개편을 앞두고 나서야 뒤늦게 문제점을 제대로 인지했는지, 노선담당관 윤 모씨는 2016년 상반기중으로 148-1번부산대 재경유를 하는 방안을 검토했고 나중에 노선담당관이 안 모씨로 교체되고 나서도 이 방안이 계승되어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148-1번부산대학교까지 재연장이 시행되면서 이 노선을 대체하고 있다.148-1번도 배차시간이 조금 긴 편이다 그나마 다행

4 특징

같은 업체에서 운영하는126번, 128-1번과 마찬가지로 모든 차량이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이며,저상버스의 비중 또한 야금야금 늘어나 정규 배차 기준 50% 가량을 차지했다.

5 연계 철도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장전역, 부산대역, 온천장역, 명륜역, 동래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강서구청역, 구포역, 덕천역, 숙등역, 남산정역, 만덕역, 미남역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미남역, 동래역
부산김해경전철 : 부원역, 인제대역, 김해대학역, 불암역, 대사역, 평강역
경부선/기차 : 구포역

6 대체 노선

대체 노선들이 하나같이 배차간격이 길다(...).

  • 김해 버스 8 - 김해시 내에서는 삼계동에서부터 출발하여 내외신도시랑 동김해(인제대학교) 지역을 경유하여 빙 둘러서 간다.[5] 주의하자. 북부동 사는 사람은 환승을 두번 하더라도 경전철을 타자. 잘못하면 부산대까지 두시간! 걸린다 생각보다 논스톱으로 타고 가는 사람이 많은 건 함정 김해에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를 타고 부산에서 김해시 시내버스로 갈아타는 촌극 주무관씨 보고 있수?
  • 부산 버스 121 - 덕천역 <> 장전역 (다만 덕천역의 환승거리가 매우 멀다. 다른 김해발 버스는 2번 출입구쪽에서 타고 내리는데, 121번은 7번 출입구쪽에서 타고 10번 출입구 쪽에서 내린다.)
  • 부산 버스 124 - 구산동차고지 <> 구포시장까지 노선이 100% 동일하다. 후술된 148-1번을 구포시장(124번과 같은 정류소이다.)에서 환승하면 130번 노선과 80% 정도가 비슷하다.
  • 부산 버스 148-1 - 그나마 대체가 되고 있는 노선. 구포삼거리 <> 부산대정문 (상술된 124번을 타고 구포시장, 구포역 둘 중 아무대나 내려서 해당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다만 이 노선은 남산정역쪽으로 직행하지 않고 덕천3동으로 올라가니 구.130번보다 소요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덕천역 7번 출입구쪽까지 걸어가서 121번을 타는 것보다는 이 편이 훨씬 낫다.)
  1. 이 차량은 124번으로 넘어가 운행중이다. 해당 항목 이미지 참고.
  2. 보통은 좌석버스 노선이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면 좌석개조를 하기 마련인데, 좌석개조 없이 그대로 운행했다.
  3. 덕천교차로제2만덕터널, 미남교차로 구간과 내성교차로 인근 구간은 손꼽히는 상습정체구간이다.
  4. 이들 노선은 해당 지역에서 꼭 필요한 정책노선으로 묶여있어 폐선이 어렵다.
  5. 단, 내외동이나 동김해 지역에 거주하는 부산대 통학생이라면 이 버스를 계속 이용하면 된다. 폐선되기 전 130번은 김해 구간은 노선경로가 직선화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