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원여객(부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성원여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본사와 차고지를 두고 있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면허지는 사상구 모라동에 두고 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상대적으로 사명 변경이 잦았던 회사로 1982년 태화교통 김해영업소가 독립하어 우진여객이라는 이름을 시작으로 1983년도에 영진여객으로 변경, 이후 2년 만에 다시 한진여객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오랫동안 이 이름을 사용하다가 2007년 5월 31일에 성원여객으로 변경하게 된다.

한진여객 시절에는 부산 시내버스 업계에서 보기 드문 합명회사이기도 했다.

김해3사[1]의 일원 중 하나이며, 2007년 노선개편 이후로는 김해시 이외의 노선에도 공동배차 형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차량 대수는 40대로 2016년 기준 부산 시내버스 업체중 학성여객과 같이 가장 적은 대수의 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다.

차고지는 금진여객과 같이 구산동차고지를 쓰고 있었다가, 2015년 6월 16일에 신명기지 북쪽의 삼계동차고지로 이전했다. 단, 김해시청과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삼계동차고지~구산동 구간은 정차하지 못해 공차로 운행한다. 이에 대해 김해 시민들의 반발이 꽤 있는 편.

부산 최초로 사이드마커 램프가 장착된 2015년식 NEW BS110을 출고한 회사다. 동시에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골수 대우버스를 출고하는 유일한 회사가 되었다.[2][3][4] 이 버스를 출고하면서 성원여객에 디젤버스는 전멸되었다.

재정상태는 오성여객보다 조금 나은 편이지만, 알짜노선만 가지고 있는 오성여객과 달리 안타깝게도 주력노선으로 볼 수 있는 123번, 127번이 적자가 굉장히 심각한 편이다.

1.1 차고지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대로90번길 9 (삼계동 733)[5]

2 면허 체계

  • 일반버스 : 51##
  • 좌석버스 : 33##[6]

3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123번  : 22대
    • 127번 : 11대
    • 126번 : 3대
    • 1009번 : 2대
    • 예비차 : 2대
    • 도합  : 40대

4 노선

4.1 운행노선

4.2 망했어요가 된 노선

  • 부산 버스 128 : 김해 구산동 ↔ 엄궁아파트단지
  • 부산 버스 130(구) : 김해 구산동 ↔ 덕천교차로
  1. 김해시에 본사와 차고지를 둔 부산 면허의 3개 시내버스 업체(금진여객, 한진여객, 화진여객)를 가리키는 말. 1990년 초에 김해시로 운행하는 부산시내버스 노선을 3개 업체가 공동 배차하면서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하지만 2004년에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하면서 이름을 바꿨고, 2007년 5월 31일에는 한진여객도 성원여객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결정적으로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시행과 동시에 김해3사 공동 배차가 폐지되면서 김해3사 체제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11년부터 잠시 128번을 공동배차했으나 그것도 1년 뒤에 폐선되면서 공동배차 노선 자체가 없다. 그래서 지금은 그저 김해시에 있는 3개의 부산 시내버스 업체로만 존재하는 중.
  2. 한진여객 시절에는 현대차도 일부 있었다.
  3. 동원여객 다대포영업소도 대우버스만 출고했으나 그쪽은 영업소일 뿐이고 더군더나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차량 통일 문제로 유니버스를 출고한 적이 있다.
  4. 2015년은 자일대우버스의 파업 여파로 대우 저상버스만 보유하던 시민여객, 국제여객현대 저상버스를 최초로 출고한 년도이기도 하며, 특히 국제여객창사 47년만에 첫 현대 시내버스 신차를 출고하였다. 2008년 공항리무진 유니버스 출고지연 사태로 인한 영업손실로 현대버스 자판 딜러와 큰 마찰이 있어 이후 자일대우버스만 뽑다시피한 태영버스현대 유니버스 신차를 차량 통일 문제로 억지로 유니버스를 뽑은 2000번의 여파로 1005번까지 유니버스가 들어왔다.
  5. BGL 신명차량사업소 근처에 위치해 있다. 차고지 북쪽에는 김해시 상수도사업소가 있다.
  6. 3300호 단위 후반부이면 해동여객 주면허이다.
  7. 회사별로 각각 2대씩 배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