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배차

1 개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시행 2015.1.29. 법률 제12377호, 2014.1.28 일부개정)
제11조(공동운수협정) 운송사업자가 여객의 원활한 운송과 서비스 개선을 위하여 다른 운송사업자와 공동 경영에 관한 계약이나 그 밖의 운수(運輸)에 관한 협정(이하 “공동운수협정”이라 한다)을 체결하려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공동운수협정을 변경하려는 때에도 또한 같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시행 2015.1.29. 대통령령 제26064호, 2015.1.28 일부개정)
제9조(공동운수협정) 운송사업자는 법 제11조에 따라 공동운수협정을 체결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개정 2011.12.30, 2013.3.23>
1. 공동운수협정이 차고지(車庫地) 등 운송시설의 공동사용에 관한 사항인 경우에는 해당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원활한 운영 및 여객의 이용 편의를 도모할 것
2. 공동운수협정이 수송력 공급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를 것.
가. 주말이나 연휴 등 일시적인 수송수요에 따라 운송하는 경우에는 그 수송수요의 증가분에 적합할 것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출퇴근 또는 심야 시간대에 정기적인 수송수요에 따라 운송하는 경우에는 그 수송수요에 적합할 것

같은 노선에, 두 개 이상의 운송 회사 버스가 굴러다니는 것으로 줄여서 공배라고도 한다.

서울 지하철 1호선, 3호선, 4호선서울메트로코레일 차량이 동시에 굴러다니는 것(철도의 직결운행)과 유사한 형태라 보면 될 듯.

노선을 한 회사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거나, A지역 회사와 B지역 회사끼리 서로 견제중인데 A지역에서 B지역으로 노선을 만들고자 할 때 두 회사간의 타협으로 공동배차를 하곤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계열사끼리 공동배차를 하기도 한다. 한때는 부산을 제외한 모든 광역시의 거의 모든 노선이 그 도시의 모든버스 회사에 의해 공배된 적도 있으나, 준공영제가 대세가 되면서 거의 사라졌다.[1]

둘 이상의 회사가 운영하다보니 서로 간의 의견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고(배차문제, 수익금 배분문제, 노선변경시 의견충돌),[2] 한 쪽이 망하거나 공동배차에서 손을떼는 경우 다른 한 쪽도 피해를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운영 주체의 혼란으로 승객들의 민원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표적 사례 : 1990년대 중반에서 2001년초 까지는 고양시 명성운수 921번과 서울 신촌교통 921번과 공동운행하다가 명성운수의 지나친 운행질서 방해와 업체간의 잦은 마찰로 인해 결국 신촌교통이 그만두는 병크를 발생.)

또한 창원시내버스나 과거 대구시내버스처럼 전노선 전회사 공동배차의 경우 특히 농어촌버스급 노선에서 기사들의 노선숙지 미숙으로 인한 노선이탈, 빈번한 안내방송 미흡, 행선판 탈부착이 쉽도록 되어 있어서 숫자가 필연적으로 작게 보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다. 물론 2010년대 이후는 LED 안내판 채용[3], 안내방송 기기 용량 증대로 인해 안내방송과 노선번호 안내에 충실해지긴 했다.

하지만 경기광주 버스 9700의 경우처럼 특정 한 회사만 파업(명성운수)한다면 나머지 회사(대원고속)의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승객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물론 전 운수업 파업이라면 논외겠지만.

위에 썼듯 비슷한 개념으로 가장 유명한 것으로 철도직통운전이 있고, 항공업계에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코드셰어라는 제도가 있다. 대한항공 표를 샀는데 일본항공 비행기를 타게 된다면 백퍼센트다.

모든 회사가 모든 노선을 공동배차로 돌리는 경우 행선판을 갈아끼우기 쉽게 해놓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입석버스 차량의 경우 전면부에 커다란 행선판 수납 공간이 있지만 그자리를 비워두고[4] 밑에다가 소형 행선판을 붙여놓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현재는 LED 행선판이 많이 보급되어 서서히 줄어드는 추세.
대표적인 예로 부산의 김해3사, 대구,대전,인천,울산이 있었다. 인천의 경우 2000년대 초반 고정배차제를 실시할때 없어졌으며 대구는 98년 노선 개편때,[5] 울산도 2003년 노선번호 개편때 없어졌고 대전은 2005년 준공영제 실시로 고정배차제를 시행하면서 없어졌다. 현재에는 많이 사라졌지만 지금도 이 형식은 창원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부산의 경우 2007년 준공영제 전에는 김해에 소재한 부산시내버스가 한 노선당 3개의 회사가 운행했는데 개편후에는 단독업체가 운행하고 일부 소수차량만 공동배차 형식으로 운행이 되었지만 부산에서 128번만 다시 개편전 김해 3사가 다시 공동배차로 다녔었다.[6]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인천광역시 시내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3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김해시 시내버스, 거제시 시내버스, 양산시 시내버스

4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고정 배차제 및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약 80%의 노선이 2개, 3개 회사가 공동 배차한다. 이처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 많아서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들을 참조. 따라서 여기서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경산시 시내버스가 공동 배차하는 노선과 경산시 시내버스 중에서 공동 배차하는 노선만 언급한다. 이 중 경산버스대화교통은 경산시 시내버스 업체이며 경산시 시내버스는 준공영제가 아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경산시 시내버스의 공동배차제는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5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광역시에서 유일하게 지금까지도 준공영제 대신 공동배차제를 시행하고 있다.

양산의 업체 주식회사 세원[25]을 제외한 관내 업체가 모두 공동 배차에 참가하고 있으며, 각 업체의 일부 독점 노선들[26][27]과 지선버스 및 마을버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공동 배차 노선이다.
대부분의 노선을 울산시내버스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들(남성여객, 신도여객, 울산여객, 학성버스, 한성교통)이 담당하며, 이에 대한 나열은 생략한다.

공동운수 외 회사의 공동 배차 노선은 다음과 같다.

6 창원시 시내버스

63번, 65번을 고정배차하는 신흥여객을 제외하고 관내 업체가 모두 공동 배차에 참가하고 있으며 63번, 65번(신흥여객), 155번(진해여객), 159번(동아여객), 220번(동양교통), 1000번(마창여객), 진해구 지선(진해여객)을 제외하곤 모두 공동 배차 노선이다.

7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 타 시/도 공배 노선.

8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9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9.1 급행

9.2 간선

9.3 지선

10 기타

  1. 울산 제외. 울산은 지금도 ㈜세원, 대우여객, 유진버스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가 '공동운수협의회' 라는 이름 아래 공동배차를 하고 있다.
  2. 이것때문에 각종 민원이 들끓거나 혹은 고의충돌, 길막기 등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는 경우가 많다.
  3. 대구광역시, 창원시의 경우 특히 중요하며 창원시는 재정상태가 빵빵해서 2005년에 전차량 LED 장착이 완료되었다.
  4. 대개 90년대 초반까지는 시민자율버스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5. 다만 98년 개편 전에도 현대 에어로 시티차량에는 행선판 수납공간에다가 소형 행선판을 붙였었다.
  6. 여기서 김해 3사는 태영버스,금진여객,성원여객(개편전과 초기엔 한진여객)
  7. 사실 계열관계라 그닥 중요하지는 않다.1987년부터 계열이었는데 뭘
  8. 신촌교통이 A노선, 유성운수가 B노선을 맡고 있다.
  9. 서울 버스 146과 동일여기도 90년대부터 계열
  10. 제일여객 차량은 전량 예비차량으로, 평일에만 총 4회 운행한다.
  11. 원래 경기광주 버스 9600번도 공동 배차를 했으나 대원고속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12. 2016년 2월 19일부터 대원고속 단독 운행
  13. 현재 대명운수가 단독 운행 중
  14. 시내버스가 아니라 마을버스이다. 광명 마을버스 2번은 현재 운휴중
  15. 시내버스가 아니라 마을버스이다.
  16. 시내버스가 아니라 마을버스이다.
  17. 원진운수 단독배차중
  18. 삼환교통 단독배차중
  19. 삼환교통 단독배차중
  20. 1991년 계양동 분리 노선을 만들 때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이지만 정작 계양동 분리 노선은 경산버스만 독점하다 1998년 대구 버스 업체도 참여하게 되었다.
  21. 1996년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으로 대화교통이 운행하던 25번 일반버스, 좌석버스와 통합하면서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이다.
  22. 2001년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이다.
  23. 1982년 공동배차제 시행 때부터 공동배차를 시작한 상당히 유서깊은 노선으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경산시 시내버스의 비율이 가장 높은 노선이다.
  24. 2011년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으로 가장 최근에 공동배차를 시작한 노선이다.
  25. 1703, 1713, 1723 단독운행
  26. 308·313·315·318·323·337·5002·5004 (울산여객), 304·327·328·338·802·807·817 (남성여객), 102·122·133·205·235·236·405·422·462·715·732·744 (유진버스), 317·507·527·708·718·728 (대우여객), 5001 (학성버스), 5005 (신도여객)
  27. 그나마도 울산·남성여객의 경우 대우여객 언양영업소의 노선이 경영난에 빠지자 인수한 분량이 대다수.
  28. 광주광역시 좌석02번 이전까지 서울 및 6대 광역시 중 참여업체 최다 노선이었다.
  29. 전국 유일의 동일 지역 내 시내버스+마을버스 공동 배차 노선이다.
  30. 대원시내버스, 대진운수, 대창운수, 동화운수, 라정시내버스, 삼아교통, 세영운수, 을로운수, 천일버스, 현대교통
  31. 대원시내버스, 대진운수, 대창운수, 동화운수, 라정시내버스, 세영운수, 을로운수, 천일버스, 현대교통
  32. 초기에는 관내 시내버스 회사 전체가 1대씩 차량을 투입하기도 했었다.
  33. 단, 같은 노선이라도 회사에 따라 기점이 공단(동진버스)과 안목(동해상사)으로 나눠져 노선이 조금 다른 경우가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요한다.
  34. 2주마다 교대로 노선을 운행한다.
  35. 하지만 시민여객872번300번을 단독운행한다.
  36. 신안여객을 제외한 나머지 태원여객/유진운수/무안교통은 계열사 관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