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버스

같은 사명을 쓰는 태영교통태영공항리무진과 계열사인 녹산버스, 과거 사명인 태화교통화진여객으로도 들어 올 수 있습니다.

1 개요

[1][1]
태영버스는 부산광역시시내버스 운수회사이다. 본사는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 있으며,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두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명지,녹산동 일대 시내버스노선들은 거의 다 태영버스가 운영하고있다. [2] 허나, 2015년 11월 28일 부로 168번1011번이 생기게 되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상호 중 ~여객을 사용하지않는 4개의 업체중 한 곳이다.[3]

부산 시내버스 업체중 삼신교통과 함께 운행노선이 제일 많은 업체이다.

특이점으로 1004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공차회송하여 운행하는 노선이다.

2 역사

본 회사가 부산시내버스 업체로 설립된 과정은 굉장히 복잡하다. 또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자면 2개의 뿌리로 갈라진다. 1960년대에 설립된 태화교통과 1978년 설립된 화진여객이 그 둘.

현재의 태영버스는 공식적으로는 2004년에 인수한 화진여객을 계승했다고 표기하고 있으나... 태영버스는 그 이전부터 존재해왔고 화진여객 인수 후에도 경영진이 바뀌지는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은 태화교통을 태영버스의 뿌리로 보고 있다.

2.1 하단 지역의 터줏대감, 그 끝은 전설이 되다. 태화교통

1960년대 초반에 설립된 태화교통(설립 당시 사명은 태화여객. 이후 1986년에 태화교통으로 사명 변경.)은 사하구 하단동에 터를 잡고[4]58번, 59번, 59-1번, 105번, 159번, 300번, 520번등 하단에서 출발하는 노선이나 58-1번은 용원에서, 126번은 구포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을 운행했다.[5] 그리고 부산에서 몇 안되는 합명회사였기도 했다.

태화교통은 1970년대, 김해 부원동에 영업소를 두어서, 김해~부산간 버스노선을 운용도 했었으며,[6]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강서구에서 마을버스를 운행하기도 했었다. 강서16번과 강서17번[7]이 있으며 지금은 폐선된 강서10번이 주력 노선이었다.

1990년대 중반 까지만 해도 별다른 문제없이 잘 나가던 회사였지만, 1994년 지하철 1호선 완전개통, 1999년 지하철 2호선 1단계 개통으로 주력노선인 59, 59-1번의 수요와 수익이 대폭 감소하였고 58, 58-1, 105, 300, 520번등 노선들 또한 적자가 많았고, IMF 외환위기 까지 닥치면서, 2000년으로 넘어가서부터는 잘 나갔던 영광은 뒤로 한체, 회사가 극심한 경영난에 이른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의 차량 상태는 가히 환상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우선 10년 가까이 된 BS106이나 무냉방 에어로시티 초기형을 바닥에 구멍이 생기거나 말거나 내구연한 꽉꽉 채울때까지 다녔다. 이는 수익이 형편없던 59번에 특히 심했는데 심지어 부산에서 유일하게 무냉방차량에 신도색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8][9]

이렇게 근근히 회사를 이어 나가다가 2002년 초반, 가야IBS 계열이 회사 전체를 인수하고,[10] 태영버스로 사명을 변경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태화교통 하단차고지를 매각하였지만, 막상 본사로 사용할 곳이 부재하게 되면서, 화명차고지의 지주인 삼진여객과 계열관계로 되어, 화명차고지를 본사로 두고, 태영버스를 삼진여객과 공동 경영 한다.

그러던 2004년 초, 가야IBS 계열이 웅동차고지를 완공 하여, 본사를 웅동으로 이전하고, 얼마 후에 사업 확장을 위한 자본금 조달건으로 59-1, 126, 159번 노선과 구포차고지를 삼진여객에 매각했으며, 2004년 6월 가야IBS 계열이 화진여객을 인수하여 태영버스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본사를 김해구산동으로 이전하고, 화진여객은 58번, 58-1번, 300번, 520번 등 노선들과 한솥밥 사이가 된다. 이를 본 삼진여객 측은 구포.화명 노선업체를 성보버스로 변경한다.

이후 가야IBS 계열은 태영운송그룹으로 개편 되었고, 성보버스는 삼진여객에 흡수합병 됨으로 태화교통의 명맥이 끊기게 된다.

2.2 오성여객의 동생이자 김해 3사의 맏형, 화진여객

1978년 당시 김해와 부산을 오가는 노선으로 태화교통 김해영업소가 담당했으나 그 수요가 포화상태가 되어, 한 업체만으로 부족하여, 부산시는 김해로 가는 시계외노선 사업자를 모집했는데 이 때 오성여객에서 김해 노선 운행을 목적으로 계열사로 설립한 업체가 화진여객으로[11]김해 3사[12]중 가장 먼저 설립되었다.[13]

김해 3사의 일원으로서 김해시의 공동배차제에 따라서 김해 가는 노선 대부분을 나머지 두 회사와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구 화진여객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는 123번, 125번, 127번, 128번(좌석), 128-1번, 130번, 130-1번(좌석), 309번(좌석)이 있다.

본래 상기했듯 오성여객 계열사로 108번을 공동배차하는 등 교류가 있었다.[14] 이후 오성여객이 2호선 개통으로 회사가 어려워지자 2001년에 창성여객[15]에 매각했고 창성여객은 2004년 초에 화진여객을 다시 태영운송그룹에 매각하고, 같은 해 6월에 화진여객이 태영버스에 통합되면서 123번, 125번, 127번, 128번, 130-1번, 309번 등 노선들을 태영버스가 운행하게 된다.

2.3 태영운송그룹의 기원, 태영교통

1994년 설립된 업체로 당시 개금도개공아파트, 개금우드빌등 아파트가 완공되며, 해당지역의 교통수단으로 부산진3번(현. 사상6번)을 운행하게된다. 이 노선이 대중교통이 변변치않았던 동평로를 지나 서면까지 운행하였기에,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하게되었고, 높은 수익 덕택에 회사가 부유해지기에 이르렀다. 이 덕분에 2001년에 부도난 김해시내버스 업체인 대야여객과 삼부여객을 인수하며, 태영운송그룹 을 형성하게되는 계기가 된다.

1999년 지하철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진3번이 냉정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협성피닉스타운까지 운행하는 부산진5번(현.사상8번)을 개통한다. 2005년 경에 부산시의 행정지시에 따라 노선번호가 사상구로 개칭되었다.

2010년 사상8번이 수요저조로 가야홈플러스로 노선 단축되었고, 이듬해 개금반도보라아파트와 지하철역를 연계하는 사상8-1번이 개통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4 녹산버스의 전신, 신호교통

부산 버스 강서9 참고. 녹산공단의 부침과 함께 한 파란만장한 역사를 자랑하는 회사였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송정, 화전마을과 본녹산을 하단까지 연계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1999년부터 녹산공단이 형성되면서, 폭발적인 이용객수로 한때는 대형버스도 중고로 들여와 굴리던 업체였지만, 당시 형편 없었던 시내버스가 정상운행하게 되고, 새 노선이 생기면서 시내버스에 승객을 빼앗기고, 이후, 2004년에 이르러선 신호교통 회사 상태가 안습해지고, 폐업신청하게된다. 그리고 동년에 태영버스가 신호교통 차량들을 인수한 후 녹산교통라는 회사로 설립이 되었다가, 2010년에 녹산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5 태영공항리무진

2008년 4월에 가야강남고속이 공항리무진노선에서 철수하며, 신규 공항리무진 운행 업체로 태영운송그룹이 선정되어, 태영공항리무진으로 출범하고, 운행차량도 신차로 준비하는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었으나, 현대자동차의 파업사태로 예정된 운행날짜 내에 차량이 출고되지 못하자, 태영 측은 울며겨자먹기로 태영버스의 좌석버스 예비차로 무료로 공항리무진 운행을 개시하게 되는 수모를 당했다. 그리고 열흘이 지난 후에야 정상적인 운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에 대차된 차들은 거의 자일대우버스만 나온다. 이후, 이전업체였던 가야강남에서 수익이 저조해 폐지했던 공항ㅡ서면ㅡ남포동 간 노선을 부활시킨다.

  • 2009년 8월, 공항리무진노선을 해운대신시가지, 서면 양방향 경유로 변경한다.
  • 2012년 4월, 공항ㅡ남천동ㅡ해운대 노선을 광안대교노선과 수영로노선으로 분리하였다.
  • 2014년 7월에 공항리무진노선을 개편하며, 해운대 노선을 수영로 경유로 통합되었다. 또한 남포동 노선도 동서고가로 로 운행하던 것을 가야대로 경유로 변경한다.

3 특징

그리고 진해구에 있는 용원영업소 노선들은 58-2번을 제외하고는 배차간격이 죄다 극악무도한 배차간격을 둘 정도로 심각해 회사에 전화질 아니면 타기 힘들정도로 전화해서 버스 나가는 콜버스 영업소나 다름없다. 두동차고지와 동떨어진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 기점 둔 58-1번과 용원사거리(창원시 진해구부산광역시 경계)에서 55.520번을 장시간 기다리는 고역이 있다보니 두동차고지에서 버스 출발 유무 문의할려면 전화질 해야 알 수 있다. 가덕도 선창으로 나가서 운행하는 58번도 마찬가지다. 두동차고지에서 용원사거리까지는 공차거리가 8분 가량 걸린다. 그리고 창원시 경계를 보면 청안동이나 두동 기점 두고싶어도 못 두게 되는 안타까운 현실을 느낄 수 있다. 동아여객 : 여긴 내구역이야 오지마!

대부분 노선에서는 정속을 추구하며, 80km/h에 리밋이 걸려있다. 그러나 거제도로 가는 2000번은 스피드를 엄청 내는데, 일단 리밋이 105~115km/h에 걸려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거가대로의 패왕이라 할 만큼 약빨면 100km/h은 기본으로 내며, 가끔 110km/h를 밟을 때도 있다. 르노삼성대로와 을숙도하구언에서도 약빨면 100km/h까지 찍는다. 그러나 시내버스라는 한계로 인해 그게 몇 초 안간다. 요즘엔 55번도 상당히 빠르다. 하단~미음산단 입구까지 이어지는 연결도로의 상태가 심히 문제가 있음에도 80찍고 다닌다.

그리고 이 업체는 자일대우버스차량만 뽑고 있다. 현대차량을 뽑지 못하는 이유가 이 업체의 관계자가 2008년 공항리무진 유니버스 출고지연 사태로 인한 영업 손실을 입어 현대버스 자판 딜러와 큰 마찰이 있었다고 한다.[16] 근데 2015년엔 대우버스가 출고지연 사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부산-거제 직행좌석버스 차량 통일 문제로 2000번에 유니버스를 출고하였고, [17] 추가로 1005번에 유니버스를 투입했으며, 시티투어 노선에도 유니버스를 3대 투입하였다.

태영버스 소속 노선들 대부분이 공차회송하여 운행하는 노선들이다.[18] 특히 1005번의 등장으로 무려 김해에서 사상까지 공차회송하였으며, 용호동연장이후로는 첫차운행을 위해 김해에서 용호동까지 공차회송하는 극악의 운행을 한다.

현재는 급행버스 일부노선과 시티투어 노선을 제외하고는 자일대우버스만 뽑고 있다.[19] 하지만, 같은 계열사인 김해시의 가야IBS, 동부교통, 김해BUS는 현대버스를 주로 뽑고 있는 것이 아이러니 하다.

태영버스 용원사업소는 차량관리를 어찌하는지 먼지투성이상태 그대로 다닌다. 하지만 반대로 본사노선(특히 1004번)은 관리를 잘하는곳으로 알려졌다

4 차량운용

일부 급행노선을 제외하고는 자일대우버스 차량만 출고하지만 한때는 현대자동차 의 차량을 선호했던 업체였다. 2004년까지는 일반버스 노선에도 현대자동차 차량을 넣었고 또한 현대자동차를 위주로 뽑았다. 하지만 2005년부터는 일반버스 노선에 현대자동차 도입 소식이 없다. 급행 노선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일대우버스로 전향하였다.

5 차고지

  •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 256 (구산동 295-1) - 본사(125,221,1004,1005)
구 화진여객 본사 자리를 그대로 쓰고 있다. 입석버스 3대 , 좌석버스 29대로 좌석버스 비중이 월등히 높으며, 유일한 본사소속 입석버스인 125는 읍면노선이니 사실상 좌석전용 차고지라 봐도 될듯.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의로 155 (두동 1088-27) - 두동영업소(55,58,58-1,58-2,520,1005,2000)
계열사인 녹산버스의 차량도 이곳에 주차한다. 여담으로 동아여객의 병크로 두동에서는 승객을 받지 않으며, 부산시 경계까지 공차회송 한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산단2로 136 (화전동 589-1)
두동영업소의 차고지 포화로 인해 화전공단 내에서 녹산버스의 일부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별도로 마련했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온정로26번길 23 (개금동 290-1) - 태영교통 차고지(사상6,사상8,사상8-1)
면허지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두고 있다. 정확하게는 백양대로 480 (주례동 928-2)에 주유소가 있는데 마을버스 업체인 태영교통의 사무소 소재지로 등록되어 있다. 다른 회사 면허지가 그렇듯(...) 이곳을 직접 지나가는 태영버스 시내버스는 없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 - 청강리공영차고지(공항리무진 해운대노선 주박)[20]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08 (대저2동 2350) - 태영공항리무진 본사 사무소 및 공항리무진1,2번 출발지.

6 한때 차고지로 쓰였던 곳

  • 부산 사하구 낙동대로549번길 29 (하단동 487-1) - 구 태화교통 본사. 58번, 59번, 59-1번, 105번, 159번, 300번, 520번의 기점이었고 58-1번과 126번은 정비 목적으로 오기도 했었다. 현재는 청목미르피아아파트가 들어섰다.
  • 부산광역시 북구 산성로 29 (화명동 1569-1) - 구 태화교통 화명영업소. 하단동 본사를 매각한 이후 한동안 본사로 쓰였다. 현재는 구 태화교통에서 운행했던 59번과 126번이 이곳에서 출발한다. 현재의 삼진여객 화명영업소.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678 - 구 태화교통 구포영업소. 126번이 이곳에서 출발하였고, 2007년 5월 15일 화명동으로 연장된 이후로는 차고지로 쓰지 않으며, 현재는 화물차관광버스, 장의차들이 주차하고 있다.

7 면허 체계

  • 일반버스 : 48##[21], 55##[22]
  • 좌석버스 : 2103, 2107호, 2112호[23], 34##호 후반부[24], 36##호 후반부 ~ 37##[25]
  • 구 번호판 : 부산 514##호(태화교통), 51##호(화진여객)

8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55번  : 5대
    • 58번 : 4대
    • 58-1번 : 5대
    • 58-2번 : 17대
    • 125번 : 3대
    • 221번 : 2대
    • 520번 : 4대
    • 1004번 : 19대
    • 1005번 : 7대
    • 예비차 : 4대
    • 2000번  : 1대(+예비 1대)
    • 도합  : 72대
  • 태영공항리무진
    • 공항리무진1번 : 4대
    • 공항리무진2번 : 8대
    • 예비차 : 2대
    • 도합 : 14대
  • 태영교통
    • 사상6번 : 11대
    • 사상8번 : 3대
    • 사상8-1번 : 1대
    • 예비차 : 2대
    • 도합 : 17대
  • 녹산버스
    • 강서9번 : 2대
    • 강서9-1번 : 5대
    • 강서9-2번 : 2대
    • 강서16번 : 1대
    • 강서17번 : 1대
    • 강서20번 : 6대
    • 강서21번 : 3대
    • 예비차 : 1대
    • 도합 : 21대

9 노선

9.1 운행노선

급행버스가 아닌 일반 좌석버스 노선 3개중 2개가 모두 이 회사 소속 노선이다. 나머지 하나는 일광여객한정면허 (면허상 운행사는 '일광서비스') 노선인 부산 버스 203.

본사 노선

  • 부산 버스 125 (김해(불암동) ◀▶ 김해(대동) ◀▶ 구포시장)
  • 부산 버스 221 (김해(장유) ◀▶ 경마공원 ◀▶ 하단역)
  • 부산 버스 1004 (김해(구산동) ◀▶ 서면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 (심야) (김해구산동 ↔ 서구청)
  • 부산 버스 1005 (지사동◀▶ 사상역 ◀▶ 엘지메트로시티)

두동 영업소 노선

태영공항리무진 노선

태영교통 운행 노선

녹산버스 마을버스 노선

9.2 타 업체로 인계하거나 철수한 노선

구 태화교통 노선

구 화진여객 노선

  • 부산 버스 123 (김해 구산동 ↔ 서구청) - 공동배차 폐지 후 성원여객으로 인계
  • 부산 버스 127 (김해 구산동 ↔ 구포시장) - 공동배차 폐지 후 성원여객으로 인계
  • 부산 버스 128-1 (김해 구산동 ↔ 구포시장) - 공동배차 폐지 후 금진여객으로 인계
  • 부산 버스 130 (김해 구산동 ↔ 장전역) - 공동배차 폐지 후 금진여객으로 인계

순수 태영 버스 노선

  • 부산 버스 338 (다대포 ↔ 모라주공) - 2007년 5월15일부터 공동배차로 운행. 2015년 8월22일 부로 운행 철수.

9.3 망했어요가 된 노선

구 태화교통 노선

구 화진여객 노선

  1. 홈페이지가 최근 업데이트가 되었다. 헌데 성진버스, 중구버스 페이지가 없다.
  2. 555번, 1009번, 2000번 제외
  3. 다른 3곳은 대도운수, 삼신교통, 삼화PTS 이다.
  4. 현재 기준으로 청목미르피아아파트 이다.
  5. 다만 용원, 구포 출발노선(58-1번, 126번)은 모두 하단을 지나다니는 노선들이었다.
  6. 1982년에 우진여객으로 분사되었다. 영진여객 ㅡ 한진여객 ㅡ 성원여객으로 이어지고있다.
  7. 원래 태화교통 노선도 아닐 뿐더러 보유하고 있던 기간도 무지 짧아서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아래 문단 참조.
  8. 무냉방 신도색 차량은 에어로 시티 2대(4818, 4841)과 BS106 1대(4817)였다. 참고로 이중 4818호와 4817호는 92년식, 4841호는 93년식으로 당시에 내구연한이 얼마 되지도 않는 차량에다가 새로 도색을 한 격이다. 이중 4841호는 126번에, 나머지 2대는 59번에 다녔다. 셋 다 모두 태영버스로 바뀌고 대차 과정에서 면허 소멸.
  9. 참고로 좌석버스의 경우는 타 회사에도 무냉방 차량과 같은 연식(95년 이전)의 차량을 신도색으로 재도색하는 차량이 있었다(물론 그 수가 많지는 않았다). 하지만 좌석버스는 1986년부터 에어컨이 달려 있었고 또 부산은 93년 중순, 중간문이 있는 좌석버스가 출시되자 중간문이 있는 버스를 주력으로 투입해왔기 때문에 95년 이후 연식 차량과 스펙상 차이가 거의 없어 크게 이슈가 되지는 못했다.
  10. 59-1, 126, 159번 노선 포함. 59번 노선은 폐선.
  11. 실제로 화진여객의 대표이사는 오성여객 대표이사의 동생이었다고 한다.
  12. 금진여객, 한진여객(現 성원여객), 화진여객
  13. 금진여객은 화진여객에서 분리되어 나온 회사이며, 성원여객은 태화교통 김해영업소가 독립한 케이스다. 독립 당시 사명은 우진여객.
  14. 지금도 그렇지만 108번의 운행 노선은 화진여객의 본거지와는 멀리멀리 떨어져 있었다.
  15. 당시에는 구.동성여객 계열사 였다.
  16. 당시 좌석노선 에서 슈퍼에어로시티와 로얄시티를 차출해 임시로 운행하였다.
  17. 말 그대로 잠시 예비차 투입(...)도 원칙은 현대 유니버스다. (예외적으로 운행하는것)을 제외하면 다른 차량 운행 금지 노선이다. 게다가 태영버스가 예비차 지원 대상이라서 1대 퍼졌을때 긴급지원 안가면 진짜 큰일난다. 참고로 이렇게 된 이유는 2000번 개통 당시 차량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차종을 유니버스로 통일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18. 이 노선 제외.
  19. 2008년 태영공항리무진 차량출고 지연으로 한시동안 일반좌석버스로 무료운행하는 손해가 나는 바람에 대우차량만 뽑게 되었다.
  20. 부산역노선은 국제공항 주차장에서 주박
  21. 구 태화교통 출신, 태화교통의 노선을 분할해서 가져간 삼진여객에도 48##호의 차량이 존재한다.
  22. 구 화진여객 출신
  23. 삼화PTS 출신. 2103호는 말소되었다.
  24. 구 화진여객 출신. 3400호 단위 전반부는 화신여객이 사용. 51-1번이 좌석이였을때 쓰였다.
  25. 둘 다 구 태화교통 출신. 참고로 3600호 단위 전반부는 한창여객이 사용.
  26. 원래 이 노선은 남성교통(성남에 있는 그 업체가 아님)에서 운행하였으나, 남성교통이 폐업하면서 강서6번은 폐선되고 강서17번은 태화교통에 인수하였으나, 얼마 못 가 태화교통마저 폐업되면서 대일교통에 인수되었다. 현재는 녹산버스에서 노선을 대폭 바꿔서 운행.
  27.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사례 참조
  28. 좌석버스이지만 거의 조금 긴 마을버스 수준의 짧은 거리에 투입 차량도 BM090이라 원성을 많이 들었다.
  29. 원래 진시장까지 오갔던 노선으로 김해 3사가 공동배차를 했으나, 2007년 준공영제 실시로 엄궁동까지 단축되었다가 부산김해경전철과의 노선중복을 이유로 2012년 4월 27일에 폐선. 이 노선을 대체하여 부산 버스 148-1이 신설되었다.
  30. 원래 이 노선도 부산대학교까지 갔었으나 수요감소로 인해 유령화되었다가 덕천역까지 가는 노선으로 부활. 그러나 준공영제때 폐선. 참고로 신만덕은 미경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