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450px | 450px |
성원여객 차량 | 금진여객 차량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6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2동(화명영업소) | 종점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2가(서구청)[1]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5:32 |
막차 | 22:35 | 막차 | 23:38 | ||
평일배차 | 6분 | 주말배차 | 7분 | ||
운수사명 | 삼진여객, 성원여객, 금진여객 | 인가대수 | 30대[2] | ||
노선 | 화명동 ─ 와석↔낙동고교↔덕천역↔구포역↔삼락생태공원↔르네시떼↔감전동이마트↔엄궁삼거리↔동아대학교↔하단교차로↔사하구청↔괴정시장↔부경고교↔동대신역(→국제시장→남포동→/←부평시장←보수초등학교←) ─ 서구청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8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원래 덕천2동 구룡사 앞이 기점[3]이었으나 2007년 5월 15일 대격변때 드디어 화명동주민들이 바라고 있던 화명동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화명동 수요를 그대로 흡수했기 때문에 수요가 준공영제 이전보다 대폭 상승하였다.
- 본래 구.태화교통 시절에는 첫차 출발을 기점인 구포나 종점인 충무동이 아닌 당시 태화교통 본사가 있던 하단동[4]에서 출발하는 차량도 있었다.
- 좌석버스도 있었는데 과거 태화시절부터 운행한 노선이었지만 한 번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로 쭉 운행을 하지 않다가 2003년에 다시 신설되었다. 하지만 빗길 교통사고로 3명이 숨지는 불미스러운 일[5]과 승객 저조로 얼마 못가 폐선된다.
- 예전에는 삼진여객에서만 29대로 운행했지만, 2008년 7월 2일 개편으로 금진여객 130번 2대가 감차되어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하지만 삼진여객 차 2대가 빠져서 총 인가대수는 29대 그대로 갔다. 2009년 1월에 금진여객이 성원여객에 차량을 넘겨주게 되면서 금진여객은 철수하고, 성원여객이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0년 12월 14일에 126-1번이 신설되면서, 삼진여객에서 2대가 감차되어, 27대로 운행을 하게 되지만, 2012년 4월 27일에 128번이 폐선되면서, 성원여객 차 1대가 추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금진여객도 2대가 재참여하게 되면서, 총 인가대수가 30대가 되었다.
4 특징
15번 버스와 종점(남포동/서구청)이 같지만 이 노선의 진가는 따로 있다.[8] 지리상으로는 어느 정도 가깝지만 도시철도로는 이동하기 애매한 북구~사하구를 바로 이어주는 몇 없는 노선이기 때문이다.[9] 따라서 종점수요보다는 구간수요가 우세인 노선. 이는 123번도 마찬가지지만 이 쪽은 배차간격이 비교적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다.
68번과 비슷하게 하단~엄궁 지역간의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중간 경유지인 동아대학교로의 통학수요도 상당하다. 따라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구포역에서부터 엄궁삼거리까지 이미 만차가 된 상태로 오기 때문에 승차거부를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대부분의 이용객들이 사하 갑 지역 주민들이다.[10]
대중교통이 부족한 삼락동을 지나가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11] 2012년 7월에는 삼락동 구간에 국제식품 정류소가 양방향에 추가되었다.
서구~중구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직진만 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의외로 줄어들기도 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사하구 낙동남로(특히 하단오거리 일대!!)부터 동대신교차로 구간까지는 대표적인 상습정체구간이라 RH 시간대에는 시간이 좀 걸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부산 내에서도 손꼽히는 장거리노선으로 15번보다 운행거리가 0.8km 더 길다. 그럼에도 인가대수는 15번에 비하여 6대나 부족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는 단점이 있다. 배차간격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의성로와 낙동고등학교, 수정롯데캐슬카이저 남문을 경유하는 유이한 노선이다.(다른 하나는 1009번)[12] 개통 당시부터 남포동행 한정으로 경유하다가 2010년 11월부터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다.[13] 구포시장에서 바로 덕천뉴코아아울렛과 구룡사로 빠져 따라서 이 구간 내에서도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더불어 수정롯데캐슬카이저 남문을 직접 경유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아파트 주민 고정승객이 상당하다. 의성로 연선 주민들의 폭력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 노선을 한번 폐선시켜 보겠습니다
구.태화교통 부도 직전[14]에는 126번 역시 차량상태가 말이 아니었으며 무냉방 에어로시티에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이 1대 운행하기도 했다. 지금도 자사노선들 중에서 차급이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이 노선도 흑자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금곡동 노선이 아닌 이유로 소외받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123번이 명지쪽으로 노선이 변경되면 이 노선은 가축수송이 상당히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었지만[15] 2016년 부산시 담당관 답변에 따르면 명지신도시 58-2, 168번의 수요가 평균치에 못 미쳐 교통편 추가투입 계획이 없다고 한다. 아무래도 123번의 명지쪽 변경 계획이 무기한 보류된 것 같다.
2015년에 초저상버스가 이 노선에 처음 투입되었다.
참고로 동아대 부민캠퍼스는 남포동, 서구청행만 경유한다. 화명동행은 서구청~부평시장~보수동~서부교회 이하 역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남포동, 서구청 일대에서 부민캠퍼스 가려고 이 노선을 타면 100% 낚인다. 부민캠퍼스를 가려면 남포동에서는 15번, 70번, 그리고 103번과 113번[16]을, 국제시장에서는 40번, 81번을 이용하자.[17] 단 동아대 승학캠퍼스는 양방향 경유하며 승학캠퍼스로 가려면 무조건 이 노선을 타야 한다.[18][19] 자신이 가려는 캠퍼스를 잘 살핀 후 탑승할 것.
여담으로 이노선도 자사노선 15번, 111번처럼 기차놀이가 엄청 흔하다. 괴정~서대신동 구간이 심각하다. 특히 성원여객, 금진여객 차량은 길면 5분 짧으면 1분도 안걸린다...간혹 삼락동에서 2~3대씩 붙는다 카더라.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하단역, 당리역, 사하역, 괴정역, 대티역, 서대신역, 동대신역, 자갈치역, 남포역, 중앙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화명역, 수정역, 덕천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구포역, 덕천역
- 부산김해경전철 : 괘법르네시떼역
- 일반 철도역 : 구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 ↑ 회차 지점은 서구청 환승센터이지만 이 곳은 보수대로를 사이로 중구랑 경계에 맞닿아있기 때문에 실 주소는 중구이다.
- ↑ 삼진여객이 25대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성원여객 3대, 금진여객 2대를 배차한다.
- ↑ 남포동행은 화명동(수정역)을 겉핥기식으로 경유해서 덕천으로 빠져나오는 형식이었다.(이 때문에 화명동까지 연장해달라고 아우성을 지르는 시민들이 굉장히 많았다.)다만 차고지행은 덕천과 화명주공일대를 경유하지 않고 구포시장에서 바로 차고지로 갔다. 현재 해당장소에는 주유소가 있다.
- ↑ 노선이 중간에 하단동을 거쳐 지나간다.
- ↑ 맞은편의 68-1번 버스와 정면충돌을 했다. 그로 인해 해당 차량인 3655호는 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에서 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는 일이 일어나고 만다.
- ↑ 59-1번과 58-1번도 그런대로 수요를 보였으나 당시 59-1번은 너무 장거리였고 58-1번은 좌석버스라는 점 때문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어 이 두 노선은 본인 앞가림 하기 바빴다. 실질적으로 126번이 태화교통을 이끌어가는 가장이었다.
- ↑ 실제로 당시 돈 좀 되는 노선의 전유물이던 일반, 좌석 겸용으로 운행하기까지 했다는 것이 이 노선의 수요를 말해준다. 다만 좌석버스 노선은 2003년 대형사고의 여파로 폐선되게 된다.
- ↑ 덤으로 15번하고 운행거리가 거의 똑같은데 인가대수는 이 노선이 15번에 비해서 6대가 적다.
- ↑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착공 계획이 나왔다.
- ↑ 사하구는 선거구가 사하 갑과 사하 을로 양분되어있다.
- ↑ 즉 이 구간에는 123번과 마찬가지로 타고 내리는 사람이 거의 없다. 덕천역, 구포시장 등지에서 앉아서 가지 못했다면 엄궁이나 동아대 승학캠퍼스에 도착할 때까지 그대로 서서 가야 한다..
- ↑ 그런데 1009번은 워낙 배차간격이랑 노선이 안습이고, 시내로 가지 않는 노선
공기수송이라 탈 일이 거의 없다. - ↑ 준공영제 이전 에는 애매한 구룡포 차고지의 위치와 신호문제 때문에 의성로를 왕복으로 경유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화명동까지 노선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을 바꿔주지 않아, 민원이 대량 발생하였고 결국 왕복운행을 하게 된 것이다.
- ↑ 이 노선이 같은 식구 노선들을 먹여살리기에는 노선들의 적자폭이 상당히 심했다. 이 노선이 거의 58번시리즈, 59번, 159번, 520번 등을 멱살잡고 태영버스를 이끌어낼 정도였다.
- ↑ 가축수송이 가장 심각한 구간은 덕천역↔동아대학교 구간인데 이 구간까지는 123번이 공동으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반면에 동아대학교↔남포동 구간은 버스편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편이다.
- ↑ 103번과 113번의 경우, 상당히 먼쪽(흑교사거리에서 서부교회로 가는 길목)에 정류소가 있다.(...) 이 곳에 하차하게 되면 좀 걸어야하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는다.
- ↑ 국제시장에서는 15번도 있으나 남포동을 거쳐가서 시간이 다소 걸리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 ↑ 도시철도 이용 시 하단역에서 끊기는데다 남포동 일대에서 승학캠퍼스 가는 노선이 이거 하나 뿐이다. 서구청에서는 123번을 이용해서 가면 된다. 단 123번은 서구청이 회차지점이라 충무동교차로→토성동→부산대학병원을 거쳐서 빙 돌아간다.
- ↑ 다른 노선으로 16번도 있으나 구덕운동장에서 노선이 끊기고 엄궁 방면도 송도윗길, 고신의료원, 감천을 경유하여 빙빙 돌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이 노선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