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려시대의 승려이자 무신
표준 영정.[1] |
고려시대의 승려이자 여몽전쟁의 전쟁영웅. 이름 높은 전투종족 지나가던 스님.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가족관계나 어떻게 승려가 되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1.1 여몽전쟁
1.1.1 2차 침입 - 처인성 전투
그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바로 여몽전쟁. 몽골의 2차 침입(1232) 당시에 살리타이의 대대적인 남하를 막은 1등 공신이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처인성 전투 참조. 처인 부곡은 단순한 토성으로 군량이 있다는 것 외에는 전술적 의미가 거의 없었지만, 그의 화살이 살리타이의 머리를 꿰뚫으며 결국 몽골군이 퇴각을 하게 만들었다.
이에 대해서는, 김윤후가 아니라 이름없는 병사나 부곡민이 사살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고려사 김윤후 열전에 보면 '전투할 때 나는 활이나 화살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어찌 함부로 무거운 상을 받겠는가?' 라며 '활과 화살이 없었다' 라고 말했다는 것이 그 근거인데, 이게 문자 그대로의 의미인지. 예의를 차리는 표현인지는 각자 판단하기 나름. 학계의 논문에는 대체로 말 그대로의 의미, 즉 궁수가 아닌 지휘관으로 전투에 임했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래 열전의 기사와 같은 맥락의 말이라고 보면 자진하여 병사로 지원하여 참전한 것이 아니라 난을 피하다 불가피하게 싸운 와중에 세운 공이었다는 의미일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이후 고려 조정에선 그에게 포상과 함께 상장군(上將軍)을 제수했지만
저는 전시를 당해서도 무기를 잡고 일어서지 못했던 몸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잘 것 없는 공으로 후한 상을 받겠습니까? - 고려사 권103, 김윤후열전
라고 튕기고 거절을 했다. 결국 조정에선 섭랑장(攝郞將)에 임명하게 되었다.
1.1.2 5차 침입 - 충주성 전투
21년 뒤 1253년 충주성 방호별감으로 재직 중 몽골의 5차침입이 시작되었다. 대대적인 남진을 하던 몽골군이 충주성에 도달하였고 70일간의 혈투가 진행되었지만 몽골군은 함락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군량이 떨어지고 사기가 저하되자 "힘을 다해 싸운다면 훗날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벼슬을 내릴 것이다!" 라고 격려하며 관청에 보관된 노비문서를 불사르고 몽골군에게서 빼앗은 소와 말등을 사람들에게 나눠줘 사기를 이끌어 냈다.
결국 몽골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고 충주성 사람들은 관노나 백정부터 일반 백성까지 모두 벼슬을 제수받았다. 물론 김윤후의 공도 인정받아 감문위 상장군(監門衛 上將軍)에 임명되었다.[2]
이 처인성 전투와 충주 전투의 항쟁이 정말 대단한 이유는, 노비, 승려, 백성들의 항쟁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1232년 몽골군이 처음 충주에 쳐들어왔을 때 고을 수령과 군 지휘부들은 다 도망을 가고 성을 지킨 것은 노비와 백성들이었다. 그런데 몽골군이 물러가자 돌아온 충주 군 지휘관들은 고을의 기물과 물자를 노비들이 훔쳐갔다고 뒤집어 씌운다.[3] 분노한 노비군은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진압되고 만다. 이러니 1258년 충주에 있던 노비와 백성들이 고려 조정과 최씨정권에 반감을 가졌으면 가졌지 목숨을 바칠 이유는 없었던 셈. 김윤후는 이런 사람들을 이끌고 끝내 성을 지켜낸 것이다. 몽고와의 항쟁 중에 양민은 물론이고 노비들이나 천민까지 몽고군에 맞서 싸웠던 건 처인성만이 아니다. 어느 부분에선 정규군보다 더 잘 싸웠다.(...)
다만 여기서 좀 씁쓸한 이야기를 하자면 승전 후 김윤후가 임명된 감문위는 2군 6위 중 전투와는 가장 거리가 먼 부대였다. 개성의 성문을 지키는 부대로 부대 편제도 1령(약 1,000명)에 불과하고 전투에 나서기 힘든 늙은 병사들이 주로 배속받았다. 즉 실권과는 거리가 먼 한직. 전장에서는 가장 치열한 곳으로 보냈지만 전쟁이 끝나자 한직으로 내몰아버린 것이다. 해석하기에 따라 내쫓겼거나 본인이 몸을 피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
1.2 이후
1259년에 동북면(함경도) 병마사가 되기도 했으나 이때 동북면은 몽골 땅(쌍성총관부)이라 의미가 없었다. 몇 년 빨리 부임했으면 후대왕조의 조상과도 인연이 있었을지도 원종 때인 1262년엔 추밀원 부사를, 이듬해인 1263년엔 수사공우복야까지 올랐고 이후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최후에 대한 기록은 처음과 마찬가지로 거의 남아있지 않다.
1.3 창작물에서의 김윤후
- MBC 주말 드라마 무신(드라마)에서는 박해수가 역을 맡았다. 주인공 김준(고려)이 어린 시절 절에 있을 때의 스승. 법명은 금강[4], 원래 군관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출가. 절에서 승려들에게 무술을 가르치고 있다가 역모에 연루되었다. 염불보다는 무술에 더 관심이 많고 술 정도는 그냥 마시는 데다 사람이 맞아죽어나가는 과격한 격구 경기를 즐기며 보는 땡중(...) 역사에서도 승려보다는 장군으로 훨씬 두각을 보인 인물이니 크게 무리한 설정은 아니다. 그리고 대망의 28화에선 결국 살리타이를 처치하는데 기록과는 다르게 활이 아닌 창으로 직접 처단하는 장면으로 나온다.
- 코에이의 게임 원조비사에서 시나리오2에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전투/지휘/매력이 D/C/B/B로 고려의 장수들 중에서는 높은 편.
1.4 관련항목
2 이너월드의 등장인물
- 상위항목: 이너월드/등장인물
파일:Attachment/김윤후/kim yoonhoo.jpg | |
나이 | 19 |
생일 | 5월 6일 |
취미 | 야채 재배, 동물 키우기 |
소속 | 대나이트메어 전투팀 |
직업 | 소환사 |
최고 등급 | S |
기본 스킬 | 휴식 |
설명 | 고아로 시골에서 노부부의 손에 자라난 순박한 소년. 세상 물정에 어둡고 도시 생활에 익숙지 못 하다. 차분한 성격으로 동물과 평온한 시골생활을 좋아한다. 단 검소한 편이라 10원도 허투루 쓰지 않고 수전노 기질이 있다. |
기계치 속성이 있으며, 나이트메어와의 공존을 추구한다는 설정이 있다. 한여주와 함께 애늙은이 콤비를 이룬다.
운이 높지만 공격력이 낮은 소환사 속성이고, 스킬도 요행에 기대야 하는 휴식인지라 던전을 주로 도는 플레이를 하지 않는 이상 S랭크의 메리트가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2013년 9월 9일자로 처음 선보인 던전 이벤트의 핵심 카드에 위치하여 가치가 급부상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AP를 확보해야 하는 이벤트 내에서 김윤후의 휴식은 발동확률을 떠나 매우 귀중하다. 만약 휴식 S를 가진 친구카드 한 장과 강지훈 B, 은호진 B와 함께 사용할 경우 전투 승리 후 확률에 따라 0~16 사이의 AP를 올려주는 셈이니 이는 던전을 많이 돌면 돌수록 상당한 양의 AP를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가능하면 S 랭크 1장을 확보해두고, 던전 이벤트 기간 동안 메인으로 등록하여 사용하면 유저 본인에게도 좋고 친구들 또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레이드며 대련 등 BP를 활용하는 분야에선 전혀 쓸모가 없기 때문에 말하자면 특수목적형 캐릭터로 분류된다. 적당히 육성하여 보관덱에 두었다가, 던전 이벤트 기간에만 메인 자리에 올라오는 방법으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2013년 10월 24일 정기점검 이후, 운영진의 실수로 일부 유저에게 뜬금없이 김윤후 A+ 랭크 카드가 오지급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운영진 측에서는 이에 카드를 회수하는 것이 아닌 당일 접속 유저 전원에게 카드를 지급한다는 해결책으로 문제를 수습하였다.
- ↑ 이 영정의 그림은 사모가 우왕 이후 도입되어 여말선초에 쓰인 사모의 모습이므로 고증오류이다. 김윤후가 살던 시대에 맞게 그리자면 각진 복두를 써야 한다.
- ↑ 고려시대에 상장군은 무관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위계인 동시에 2군 6위라는 고려의 6개 중앙군 가운데 하나를 총괄하는 직위이다. 그리고 2군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들이 모여서 하는 회의가 혹은 '장군방'이라고 불린 도방이다.
- ↑ 임진왜란때 형조 관아와 임해군의 집이 백성들에 의해 불에 탔는데 나중에 뭐라 한 적이 없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차라리 이쪽이 더 개념있다.
- ↑ 금강이라는 법명은 극중의 창작인 듯 하다. 고려사에도 법명은 나오지 않고, '일찍이 승려가 되었다가 몽골군이 쳐들어오자...' 정도로만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