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의 지역 언론사 | |||||||||||||
신문 | 매일신문 | 영남일보 | 대구일보 | ||||||||||
공중파 방송 | KBS대구 | 대구MBC | TBC | ||||||||||
종교방송 | 대구CBS | 대구BBS | 대구CPBC | 대구wbs | |||||||||
기타 방송사 | TBN대구 | 대구국악방송 | SCN 성서공동체FM |
파일:Attachment/매일신문/C0A8CA3C000001221976EC980001AC01 P2.jpg
每日新聞
매일신문
주간매일 (매주 목요일 발행되는 매거진)
1 개요
TK 지역에서 주로 발행하는 지역 언론사 중 하나로, 대구경북의 가톨릭계 지역 조간 일간지. 본사는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20(계산동2가 71번지)에 있다. 그리고 경북본사는 안동시 경동로 568(당북동 333번지), 서울지사는 세종대로네거리 못 가서 있는 중구 태평로1가 서울특별시청 근처 프레스센터에 있다. 제호는 대구매일신문이 아니라 그냥 매일신문이다. 마이니치 신문, 경남매일, 매일신보, 매일경제신문과는 아무 관계 없다.
참고로 같은 지역 일간지로 경북매일신문이 있는데, 매일신문과는 아무런 관련은 없다. 대신 지역색은 더욱 강하다.
대구경북에서 발행하는 지역 신문 중 가장 많이 구독하는 일간지로, 본래는 석간이었다가 2015년부터 조간으로 전환하였다. 1일 발행 부수는 15만 2천여부로서 대구 지역 1위이며 2위는 조선일보다. 영남일보와 함께 대구·경북 지역 여론을 주도(?)한다.
서울 공화국이나 다름없는 대한민국에서 그래도 지역 일간지로서 구독률이 2위인 게 이채로운 신문이다. 인구 250만의 영남권 대도시에 위치한 덕분에 가능한 듯. 부산일보도 부산광역시뿐만 아니라 지역 일간지 구독률 1위다. 지역 일간지가 구독률 1위인 경우는 전국에서 대구, 부산 단 둘 뿐이다. 그 뒤를 이어 대구는 영남일보, 부산은 국제신문이 각각 지역 일간지로서 콩라인을 타고 있다.
2 연혁
1946년 3월 1일 '남선경제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여기서 남선(南鮮)이란 남조선의 준말.[1] 이후 대구매일신문 → 경제신문 → 대구매일신문 → 대구매일 → 매일신문 → 대구매일신문으로 비슷비슷하게 바뀌었다가 1988년에 '매일신문'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영남일보처럼 언론통폐합으로 사라진 역사도 없이 계속 이어 온 언론사라서 해방 후 대구의 역사를 알려면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신문이다.[2]
특이하게도 발행처가 천주교 대구대교구이다. 1950년에 대구교구에서 신문사를 인수했다. 그래서 발행인도 대구대교구장 주교이다. 하지만 국민일보, 세계일보와 달리 종교적 색채가 전혀 없다. 개신교가 아닌 가톨릭이라 그런 건지도... 가톨릭계라는 특징 때문에 계산동2가 사옥 안에는 대구평화방송도 입주해 있다.
대구매일신문으로 발행하던 1955년 9월 13일 자 신문에 당시 주필 겸 편집부장이던 최석채가 학생들을 강제로 동원한 관제 데모에 항의하는 사설을 썼다가 자유당 경북도당 등에서 고용한 정치 깡패들에게 본사가 테러당한 역사가 있다. 대구 매일신문 테러 사건 문서 참조.
권위주의 정부 시절 정계에서 한 자리[3] 해먹으면서 경상도정권, 신라 드립을 날리던 이효상[4]이 이사로도 재직할 정도에다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사무총장을 역임한 이종흥 크리산도 신부가 매일신문사 사장을 한 적도 있다.[5]
2015년 1월 1일부터 조간으로 전환하여 발행한다.#,기사
3 논조
간단히 말해 정치적으로 새누리당 계열 성향인 대구·경북 지역성으로 정의할수 있다. 하지만, 정부에 대해서는 비판할 건 비판하는 중도 보수의 성향에 가깝다.[6]
대경 지역의 '일간지'라는 지역성이 상당히 두드러진다. 지면을 보면 시사, 정치보다 지역 기사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 점은 영남, 부산, 국제신문도 마찬가지다. 인터넷 미디어가 대중화되기 전 종이신문 전성기 때에는 서울 쪽 일간지 1부, 대구지역 일간지 1부...해서 모두 2부를 구독하는 구독자도 많았다. 전국 소식을 알려면 서울 쪽 일간지 하나가 필요하고, 자기 지역[7]의 소식을 알려면 지역신문이 필요한 사정 때문. 정치적 성향이 보수라해도 서울 쪽 일간지처럼 보혁, 좌우이념 자체에 기울기보다 특정한 지역 사안이나 지역의 이권과 관련된 문제에서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편이다. 스포츠 기사는?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당연히 연고지 편파로 기사를 쓴다.
4 이모저모
- 2000년대 대한민국 언론의 필수덕목이 된 제목낚시, 오버질, 팩트 없는 여론몰이 기사 등등의 습성을 다름 없이 구사하지만 인터넷 언론에 비하면 매일은 정론지급.
- 대구 시내의 고풍스러운 계산성당 바로 옆에 본사가 있다. 천주교 대구대교구가 운영하는 거니까 당연한거지만 본사 주변에 계산성당은 물론, 역사가 오래된 제일교회, 시인 이상화 고택, 천주교관덕정순교기념관, 대구 약령시 등이 있어서 근대역사 탐방을 위해 대구를 찾는다면 반드시 매일신문 본사 옆을 스쳐 지나게 된다.
- 본사 1층엔 대구 지역에서 유명한 커피명가의 계산성당점이 있다. 비오는 날 여기 앉아서 맞은편 성당 풍경을 감상하며 커피를 마시면 은근히 운치가 있다.
- 1955년 9월 자유당 정권이 정치행사 때마다 학생들을 동원하여 학업에 지장을 주고 있으므로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사설을 쓴 것이 필화가 되어 신문사가 대낮에 테러를 당하기도 했다.
- 2016년 6월 21일 영남권 신공항 문제가 김해국제공항 확장으로 결론나자 대구·경북 민심의 빡침에 동참한다는 뜻으로 6월 22일자 신문 1면을 백지로(...) 발행했다. 신공항도 백지화, 신문도 백지화 다음날, 거기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골라 자평 기사를 냈다.#
5 관련 문서
- ↑ 지금이야 "남조선"은 북한에서 남한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지만 창간 당시에는 "한국"보다 "조선"이 자주 쓰였기 때문에 "남조선"도 많이 쓰였다.
- ↑ 영남일보는 언론통폐합 때 매일신문에 강제 합병되었다가 1989년에 분리하여 복간, 현재까지 발행 중이다.
- ↑ 경북대 문리대학장에서 국회의장까지 올라갔다. 요즘으로 말하면 폴리페서의 끝판왕급..
- ↑ 3~4공화국 시절 여당인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5선의원 지닌 거물급 정치인이다. 이 사람이 오늘날 만연하고 있는 남부 동서지역감정의 불씨를 지핀 장본인이라는 설도 있다. (영호남 지역감정은 어느 것이 딱히 명확한 원인이다라고 정의하기 힘들다)
- ↑ 이종흥 신부는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중심의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할 정도였다.
- ↑ 일례로 대구공항 및 공군기지 이전관련 기사에선 "기쁘긴 한데 이거 사드배치 입막음아니냐"라는 논조로 썼다.
- ↑ 대구도 나름 큰 대도시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