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자·소문자

(대문자에서 넘어옴)

1 개요

Letter case

샤를마뉴 시대에 처음 체계화된 문자체계.

중세 초기 서로 다른 지역의 문자 형식이 통일되지 않아서 통신이 불편했다. 샤를마뉴는 제국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행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카롤링거 소문자를 만들고 보급했다. 현대 알파벳 소문자는 모두 카롤링거 소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유럽 계열 언어의 문자에서 사용하는 개념. 같은 글자를 큰 것과 작은 것으로 쪼개 놓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이 개념이 없는 문자 사용자(특히 동아시아 쪽)는 무슨 지거리야 싶을 수도 있지만, 선형결합하는 알파벳의 특성상 대소문자 구별이 없으면 유럽 쪽 언어의 가독성이 급감한다는 단점에 비춰 볼 때, 필수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영어를 배우면서 처음 접하게 된다. 단 일본은 예외로 つ를 작게 쓴 촉음 っ은 뒷문자에 따라서(にっき:nikki, 니킥닉키라 발음), 반모음인 や、ゆ、よ는 い단 뒤에 작게 붙어서 ya, yu, yo 발음을 의미한다. (ex: きゃ:kya, きや:kiya)

대문자와 소문자라는 이름은 이름 그대로 상대적으로 큰 글자, 상대적으로 작은 글자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영어로는 Upper case, Lower case[1]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문단의 맨 첫 글자는 대문자를 쓰며, 나머지는 소문자를 쓴다.
  • 고유명사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쓴다.[2][3]
  • 두문자어는 일반적으로 대문자를 쓴다.
  • SS의 축약형인 ß는 무조건 소문자 자리에서만 써야 한다.
  • 특별히 강조해야 되는 단어는 소문자로 써야 할 단어를 대문자로 쓰기도 한다.
  • 띄어쓰기가 곤란한 경우[4], 단어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꿔 쓸 수도 있다.[5]
  • 작품명, 특히 노래 제목의 경우 모든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것이 보통이다. 단 at, of, and, the, a/an, to와 같은 전치사나 접속사는 소문자로만 쓰기도 한다.[6]

하지만 이것이 무조건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즉 쓰는 사람 마음이라는 것(...). 그래도 위 규칙을 알아 두면 좋다.

Microsoft Windows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같은 것으로 보지만, 유닉스 계열 OS(OS X, 리눅스 등)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다른 것으로 취급한다. 프로그래밍 시 주의할 것. 유니코드상으로도 구별된다.[7]

Caps Lock은 대소문자 입력을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 상태 소문자/시프트 누른 상태 대문자 → 일반 상태 대문자/시프트 누른 상태 소문자가 되는 식.

2 대문자·소문자를 사용하는 문자체계

그리스 문자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라틴 문자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아르메니아 문자Ա Բ Գ Դ Ե Զ Է Ը Թ Ժ Ի Լ Խ Ծ Կ Հ Ձ Ղ Ճ Մ Յ Ն Շ Ո Չ Պ Ջ Ռ Ս Վ Տ Ր Ց Ւ Փ Ք Օ Ֆ
ա բ գ դ ե զ է ը թ ժ ի լ խ ծ կ հ ձ ղ ճ մ յ ն շ ո չ պ ջ ռ ս վ տ ր ց ւ փ ք օ ֆ
키릴 문자А Б В Г Д Е Ë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3 대문자·소문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예

  1. 글자 윗 부분의 높이가 위쪽에 있는가, 아래쪽에 있는가를 보는 것. 그런데 이렇게 보기에는 예외(b, d, f, h, i, j, k, l, t)가 많다는 게 함정.
  2. iPhone 등의 예외가 있기는 하다.
  3. 독일어의 경우 일반명사의 첫 글자에도 대문자를 쓴다. 즉, 모든 독일어 명사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것이다.
  4. 주로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나 함수 등의 이름을 지어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어떤 수치를 얻어오는 함수 이름을 getValue()라고 정하는 등.
  5. 이를 낙타의 등혹 같다고 해서 카멜 표기법이라고 한다.
  6. 예: I Want to Hold Your Hand
  7. 대문자 A는 U+0041인데, 소문자 a는 U+0061이다.
  8. 링크는 아메리슘으로 걸려 있지만, 열대몬순기후로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