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院君
1 개요
조선시대의 군호(君號)로서, 선대 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승하하게 되면 그 방계 종친이 유교의 종법(宗法)에 따라 예전 왕(추존왕 포함)의 아들로 입적한 뒤 왕위를 계승하는데, 이 경우 이미 저세상 사람임이 통상인 그 왕의 친아버지(생부)를 대원군으로 봉한다. 대원군으로 봉한 인물이 4명 있었는데, 이 가운데 흥선 대원군 이하응의 포스가 막강했으므로 그냥 '대원군'이라고만 지칭하면 일반적으로 흥선대원군을 가리키며 사람들도 대원군 하면 대부분 흥선대원군을 떠올린다. 이렇게 된 이유는 대원군 이란 군호는 생부 사후에 추증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이고, 그 아들은 양자로서 세자가 된 후 곧바로 임금으로 즉위하여 실권을 행사해 왔는데, 흥선대원군 경우는 본인 생전에 자신의 아들을 선왕의 양자로 들인 뒤 임금으로 즉위시켰으며, 어리다는 이유로 본인이 직접 10년간 섭정을 한 매우 이례적인 경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대원군이라는 호칭 자체를 '왕을 대신하여 섭정하는 벼슬'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은데, 본래 대원군이라는 호칭은 어디까지나 왕의 생부에 대한 명목상의 예우만이 원칙이다. 혈연으로는 왕의 아버지인데 조선시대에는 누구의 종통을 이어받았냐가 혈연보다 중요하므로 공식적으로 왕의 아버지는 아니다. 선조는 명종의 양자고 철종의 경우 순조 고종은 효명세자(익종)의 아들이다.[1] 그렇지만 인정상 생부를 다른 듣보잡 왕족과 같은 대우를 할수 없으므로 대원군이라는 호칭이 나온것. 같은식으로 대원군의 부인이자 왕의 생모는 부대부인(府大夫人)이라고 예우했다.[2] 조선시대에는 예우가 곧 호칭이니 심각하게 구분될것은 아니다. 종친이나 외가에 부마들에게 진짜 벼슬은 아니지만 조정벼슬 품급을 적용하는 케이스가 일반적이기 때문...
사실 고려 시대에 '대원군'은 아니더라도 비슷한 케이스는 있었다. 공양왕의 아버지 왕균을 부원군(정원부원군)으로 추존했다고 한다. 신라의 갈문왕과도 비슷하다.
가끔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아버지인 후안 3세를 대원군에 빗대기도 한다.[3]
한편 디시인사이드 삼국지 갤러리에서는 한때 조운이 장판파에서 목숨을 걸고 유선을 구해낸 이유가 유선이 사실은 조운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면서, 조운을 순평대원군[4]이나 자룡대원군[5]으로 추존해야 한다는 드립이 흥하기도 했다.
2 역대 대원군
- 덕흥(德興) 대원군 이초(李岧): 1530 ~ 1559. 조선 11대 국왕 중종의 7남 덕흥군. 14대 국왕 선조의 아버지.
- 정원(定遠) 대원군 이부(李琈): 1580 ~ 1619. 선조의 5남 정원군. 16대 국왕 인조의 아버지. 나중에 원종으로 추증된다.
- 전계(全溪) 대원군 이광(李㼅) : 1785 ~ 1841. 은언군의 서자로, 25대 국왕 철종의 아버지. 방계 왕족이라 군호를 받지 못했지만 그의 사후 아들이 왕이 되면서 군호를 받은 것은 물론 대원군에 봉해졌다.
- 흥선(興宣) 대원군 이하응(李昰應) : 1820 ~ 1898. 우리가 일반적으로 대원군이라 칭하는 인물.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덧붙이자면 살아생전 대원군 대접을 받은 이는 이 사람이 유일하다. 대한제국이 수립되자 대원왕으로 승격 추존되기도. 그래서 대원왕으로서의 시호는 흥선헌의대원왕(興宣獻懿大院王)이다. 만약 대한제국이 망하지 않고 계속 이어졌으면 대원왕의 칭호를 받는 사람이 더 있었을 수도 있겠지만 망하는 바람에 유일한 대원왕이 되었다.
3 스포츠에서
흥선 대원군의 쇄국정책 이미지가 너무 커서 스포츠에서는 다음과 같이 패러디되기도 한다.- ↑ 인조의 경우 생부 정원군을 예법에 맞지 않다는 비판을 무릅쓰고 추존했다.
- ↑ 왕비의 생부는 부원군(府院君)으로 생모는 부부인(府夫人)이다. 부원군의 경우 왕비의 생부가 아닌 신하에게 주기도 하고 부부인의 경우 대군의 정실부인 명칭과 같다.
- ↑ 생전에 왕위에 즉위하지 못했고 자기 대신 아들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왕위에 올랐다. 스페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자기 사후에 스페인 왕정을 복구시키기로 결심했는데(왕실은 혁명으로 축출돼 망명 중이었음) 당시 후안 3세가 축출된 부왕 알폰소 13세의 뒤를 이어 스페인 왕이라고 주장하고 있던 상태였다. 후안 3세는 장남이 아니었지만 형들이 일찍 죽어 왕위(?)를 승계한 상태였다. 프랑코는 그를 대신해서 그의 아들인 후안 카를로스 1세를 자기 사후 후계자로 세우기로 하고 후안 3세에게 왕을 칭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후안 3세로서는 마땅치는 않았겠지만 어쨌든 왕정을 복구시킬 절호의 기회였으므로 프랑코의 제안을 수락하고 더 이상 왕을 칭하지 않았다. 그 후 본인이 생존하던 중에 프랑코가 사망해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왕위에 올랐다. 참고로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즉위 직후 프랑코의 기대를 져버리고(...) 군부 독재 대신 민주화를 택했다. 후안 3세는 사후에 왕으로 추존됐다.
- ↑ 조운은 사후 순평후로 추증되었다.
- ↑ 자룡은 조운의 자(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