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격투기의 돌려차기
본 문서에는 본인과 타인에게 신체적·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 행위를 모방할 시 부상을 당하거나, 물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다리 한쪽을 들어 횡으로 회전하는 궤도를 그리며 상대를 가격하는 발차기. 차는 높이에 따라
으로 나뉜다.
1.1 개요
복싱 같은 특수한 예가 아니면 킥복싱, 태권도, 가라데, 무에타이, 삼보 등 거의 대부분의 격투기에서 사용하는 기술. 몸을 약간 돌리면서 걷어차기 때문에 그냥 차는것보다 강하고, 옆을 차기 때문에 가드의 옆을 노릴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쓰인다. 절대 한바퀴 도는 게 아니니 주의.[1] 발을 돌려차기 위해 허리나 몸통이 약간 돌기도 하지만...
보기엔 간단해 보이지만 상대에게 제대로 된 타격을 주려면 정확한 자세와 근육의 단련이 필수이며 사용 중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달인이 되려면 상당한 수행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거의 누구나 사용하고 있지만 어째서인지 과거엔 사용했다는 흔적을 발견하기 힘든 신묘한 기술이다. 중국권법의 경우 투로에도 기본공에도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형태의 돌려차기를 찾아보기 힘들고, 공수도 역시 초기에는 앞차기 위주의 발기술이 주를 이루었으며, 무에타이의 경우 타류 무술과 교류할 때마다 발전해 온 탓에 과거에 행해지던 방식이 지금의 것과 같다는 보장이 없다.[2] 택견에는 돌려차기와 유사한 형태의 발차기가 있긴 한데 이것이 과거에도 쓰였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다시 말해, 각 무술의 원래의 형태에서는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기술. 돌려차기의 역사에 대해 아시는 분은 추가바람.
전통무술에서 돌려차기가 없거나 비중이 낮은 것은 아래 항목에서 주지된 바 반격의 위험성 탓이 크다. 특히 중국계 무술에서는 땅에 넘어지는 것이 금기 중의 금기인데, 이는 다대다 상황에서의 전술지침이었으며 무기술에 근본을 두었던 전근대 중국무술의 특성과 연관된다. 말하자면 회피당했을 때 무게중심을 잃을 확률이 크고 킥캐치의 위험성이 높으며, 패싸움 상황에서 쓰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무기술에 근간을 둔 바 맨손무술은 장거리 간합(복싱이나 태권도 정도 간합에서 전근대에는 무기를 쓴다)보다 중/단거리 간합에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었기에, 거리 없이 쓰기 힘든 돌려차기 계통 기술이 상대적으로 홀대받은 것으로 보인다. 앞차기의 경우를 보아도 풀컨택트나 킥복싱계의 경우 골반을 앞으로 쑥 내밀면서 차지만, 고쥬류 같은 전통무술에서는 순간적인 골반 움직임만으로 짧게 끊어 찬다. 이러한 특성들 때문에 중국계와 그 맥을 이은 동양 전통 무술에서 돌려차기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1대1 대결의 비중이 높아지고 룰의 제약이 걸리는 현대무술 상황에서는 돌려차기의 단점을 장점이 상회하므로, 어찌 보면 타격기 계통에서 지난 100년 가장 괄목할 기술적 성장을 보인 분야는 돌려차기인지도 모른다.
기술의 발전사에 미루어 봐서는 다시 냉병기가 주류가 되는 순간 사장될 것 같지만 기분탓이겠지...
1.2 반격의 위험성
쉽게 다리를 잡힐 우려가 있다. 그래플러가 상대라면 더욱 더 주의해야 한다. 그런가 하면 상대의 돌려차기에 전후해서 가할 수 있는 반격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태권도수련자가 많은 국내에서는 킥을 잡거나 태클을 거는 요소가 생소할 수 있지만, 실제론 킥이 있는 무술들에는 상대 킥을 잡거나 킥을 차는 다리를 스윕하는 등의 개념이 있는 경우가 많다[3].단 보통 반격기는 성공시키기도 어렵고 위험부담도 많다. 초보자들은 대개 발차기도 못 하지만 반격기는 더더욱 못 하는 게 보통이다. 간단하게 가르치고 대련이라도 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그야말로 속 터진다. 몇가지 예를 들자면...
- 돌려차기가 올때 카운터 펀치.
- 돌려차기가 올때 카운터 킥.
- 돌려차기가 올때 상대 디딤발을 스윕
- 돌려차기가 올때 상대를 밀친다.
- 돌려차기가 올때 킥을 잡는다.(킥 캐치)
- 돌려차기가 올때 태클을 건다.
- 위의 경우에서 '맞은 직후' 상대가 다리를 회수하기 전에 위 반격기를 할수도 있다...
물론 누구도 잡히거나 막히려고 킥을 차는 사람은 없으나, 킥을 차는 순간은 한다리로 버티며 몸이 불균형한 상태가 된다. 때문에 킥을 차는 사람에게도 매우 위험한 순간이기에, 이때 반격을 노리는 경우는 매우 많다. 특히 도복이나 의복을 입으면 더 잘 잡히며, 글러브를 착용하지 않는 무술이라면 손이 자유롭기에 잡을 가능성이 더욱 올라간다. MMA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차라리 맞는 한이 있더라도상대에게 클린치를 가하려고 할 것이고, MMA 경험까지 있으면 다리를 잡히지 않아도 테클을 당해 그라운드로 가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테이크 다운 방어를 익혀야 하지, 다리를 잡히지 않았다고 안심할 일이 아니다.
때문에 킥을 잡힐 가능성이 있는 종목이라면 킥을 어떻게 찰 것인가?만큼 어떻게 잡히지 않을 것인가? 혹은 찬 후에 상대의 반응이 어떨 것인가까지를 주의깊게 봐야 한다. 참고로, 하이킥이나 로우킥을 못잡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하이킥도 잡힐 수 있다. 미들킥보다 잡기가 힘든 것은 사실이나, 블록이 곧 캐치로 이어지거나, 차고나서 찬 다리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잡히는 경우도 많다. 로우킥의 경우 레슬링계열의 MMA수련자들은 피격되는 쪽의 가드를 굳히고, 몸을 극단적으로 낮춰서 접근한다. 가드와 어깨쪽으로 로우킥을 막으면서, 허벅지를 반대편 팔로 캐치후 그대로 태클로 이어가는 방식으로 상대를 테이크 다운하는 경우가 많다.
무에타이나 킥복싱 경기를 보면 아예 킥캐치는 일상적으로 일어난다. 이쪽은 치고 맞고 잡고 다 하는 경험이 너무 쌓여서...
1.3 무술별 차이
무도 이론에 따라 약간씩 차는 법과 세부사항들이 차이가 나는데,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태권도식 돌려차기는 스피드를 최대한으로 살리고 킥만을 위한 공방에 유리하게 되어있다.[4] 반면에 무에타이는 한방에 최대한 무게를 실어서 강하게 차면서, 펀치 반격을 받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해나갔다는 식의 다른 점이 존재한다. 기본기 교습방법에도 차이를 보이는데[5] 상대를 두지 않고 제자리에서 자세만 연습할 경우 태권도는 대각선 방향으로 무릎을 올린 뒤 골반을 넣어 털듯이 차며, 무에타이는 골반을 넣어 찬 뒤 여력이 남으면 한바퀴 도는 것도 권장하고[6], 극진 공수는 골반을 깊게 넣지 않고[7] 상대방의 가드 바깥쪽으로 반원을 그리며 발이 올라간다. 또한 각 무술마다 혼자 연습할 때와 상대를 두고 연습할 때의 방식이 상당히 다르다.[8]
파생형으로는 뒤돌아서 뒷발을 끌어당겨 돌려차는 뒤돌려차기, 회전한뒤 디딤발을 뛰어서 그 디딤발로 돌려차는 2단 돌려차기가 있다.
또한 어떤 슈팅게임의 신은 게임이 생각대로 풀리지 않고 삽질만 반복하자 이에 빡친 나머지 돌려차기를 해서 레버를 꺾어버리기도 하였다.
2 드래곤 퀘스트의 돌려차기
まわしげり
6에서 무투가의 특기로 등장. 적 1그룹을 대상으로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며 MP 소모는 없다. 가장 왼쪽의 적에게 100%의 공격력이 나오고 오른쪽의 적으로 옮겨갈 수록 조금씩 데미지에 마이너스 보정이 걸린다. 회심의 일격은 터지지 않는다.
공격력에 걸리는 패널티가 거의 없고 속성이 없기 때문에 내성을 무시한다. 바이킬트나 힘모으기는 첫1타에만 적용되지만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강력. 플레이어의 레벨이 오르고 무기가 좋아지면 그 위력은 더욱 강력해진다.
무투가로 15번만 전투하면 배우는 것도 굿. 드퀘6의 중반 밸런스 브레이커라는 평도 있다. 왠지 정권지르기같이 드퀘6의 밸런스 파괴 주범들은 7에서 대부분 약해졌는데 이 기술만은 7에서도 그다지 약체화되지 않았다. 이것 때문에 6, 7에서는 기라 계열 마법이 그 존재가치를 상실했었다.
8에서는 삭제됐지만 주인공의 창 스킬의 '베어넘기기', 얀가스의 도끼 스킬 '도끼무쌍' 같은 유사한 그룹공격 특기가 존재한다. 대신 이쪽은 좀 약체화.
3 척 노리스의 필살기
하늘을 가르고 차원을 뚫는다는 충격과 공포의 기술. 소문에 따르면 그는 이것 하나만으로 아우터 갓을 비롯한 우주의 신들을 발라버릴 수 있으며 죽음조차도 두려워 한다고 한다.
또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척 노리스는 다른 사람에게 "어제" 돌려차기를 날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사실 김갑환이 정의를 전도하기 위해 가르쳤다 카더라
4 포켓몬스터의 기술
기술 이름 | 타입 | 분류 | 위력 | 명중 | PP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격투 | 물리 | 60 | 85 | 15 |
돌려차기 | まわしげり | Rolling Kick | |||||
기술 효과 | 특수 분류 | 부가 효과 | 확률 | ||||
- | - | 풀죽음 | 30 |
위력만 놓고 본다면 3번의 이름값이 아깝지만, 풀죽음 확률이 꽤 크므로 스토리 중엔 잠시 활약할 수 있다. 자력으로 배우는 건 시라소몬과 카포에라 뿐이며, 그 외엔 알통몬과 에레키드가 유전기로 배울 수 있다. 특히 카포에라의 경우 운켓몬실전에서도 테크니션을 활용해 아프게 때리고 풀죽음 효과까지 덤으로 노려볼 수 있다.
5 영화
돌려차기(영화) 문서로.- ↑ 물론 한바퀴 도는 느낌으로 차는 킥도 많이 존재한다. 물론 킥이 헛나갔을때도 한바퀴 돌면 상대방에게 헛점이 노출되기에 뒤이은 대처 자세들이 포함된다.
- ↑ 다만 초기형 무에타이인 무에보랑이나 무에차카에 돌려차기가 존재하긴 한다.
- ↑ 시합에서 쓰이지 않을 뿐이지 태권도에도 발차기를 잡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고려 품새에서의 발차기를 잡아서 다리를 꺾는 기술이 있다.
- ↑ 태권도가 스포츠화 되면서 강력한 타격이 아닌 '갖다 대는' 것이 효율이 더 높아지면서 그렇게 커리큘럼이 발전한 탓이 크다. 시범이나 품새를 배울 때 배우는 돌려차기와 겨루기용 돌려차기가 좀 다른데, 겨루기용 돌려차기는 앞서 말했듯 깔짝깔짝 갖다대는 방식으로 발달한 반면, 시범이나 품새용 돌려차기는 골반을 이용해(안쪽으로 최대한 집어넣어) 스피드와 타격력의 두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다만 역시 겨루기용 돌려차기보다 떨어지는 스피드라던가, 자세가 겨루기용 스텝과는 호환이 잘 안 맞는다.
- ↑ 정확한 비교를 위해 아마추어 영상이 아닌 각 무술 단체에서 교습용으로 만든 영상을 참고했음.
- ↑ 여기에 더해서 양발의 스위치나 스텝인을 중요시한다.
- ↑ 태권도가 몸을 90도 쯤 돌린다면 극진은 45도 정도.
- ↑ 무에타이의 경우 상대를 두고 찰 때는 극진 식으로 골반을 깊게 넣지 않고 차거나 아예 깊게 들어가서 정강이 위쪽까지 때려박는 경우도 있다. 이는 무에타이 자체가 대체로 선수양성을 전재로 하다보니 기본기를 가르칠 때부터 당장 쓸 수 있도록 기술을 세분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른 무술은 보통 기본기 파트 다 끝난 다음 대련 방법이나 각 선수들의 특기나 전략 등을 설명할 때 이런 세분화 된 방식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