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의 역전

1 개요

18세기 중엽 이루어진 유럽 외교사의 일대 혁명적인 대사건. 그 충격이 얼마나 컸는지, 'Reversal of Alliances'라는 숙어가 이 사건 이후 고유명사화되었다. 외교혁명(diplomatic revolution)이라고도 불리며,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이를 표제어로 채택하고 있기도 하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전쟁과 7년전쟁 사이의 사건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전쟁(1740-1748)

  • 프랑스, 프로이센, 스페인
  • 오스트리아, 영국, 하노버, 러시아

7년전쟁(1754-1763)

  • 영국, 프로이센, 하노버
  •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페인, 러시아

이 대격변은 오스트리아가 영국과의 동맹을 끊고 프랑스와 손을 잡으며 발생한다. 이 경위에 대한 자세한 내막은 하단 참조.

2 내용

배경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1748)의 불완전한 종결에 있었다. 비록 프리드리히 2세가 이끄는 프로이센슐레지엔 지방을 확보한 상태로 전쟁이 끝났으나, 오스트리아마리아 테레지아는 이를 갈며 복수를 천명하고 있던 상태였다. 또 참전국이던 영국과 프랑스로 국내문제 및 재정악화로 일시 전쟁을 중단했을 뿐이지, 해외식민지를 둘러싼 대립은 오히려 더 격화되어 유럽대륙의 긴장감은 고조되고 있었다.

먼저 움직인 것은 오스트리아였다. 오스트리아의 실세이자 주 프랑스 대사 카우니츠 공작[1]이 주도하여 1756년 1757년에 걸쳐 공수동맹을 체결하였다. 동맹국이던 영국이 지난 전쟁에서 대륙의 전쟁보다는 해외 식민지에서의 대 프랑스 전쟁에 주력한 것에 큰 실망감을 갖고 있었으며, 북으로 프로이센이라는 신흥강국을 상대하면서 합스부르크가의 세수를 22%나 차지했던 알짜 영토 슐레지엔을 빼앗겼기 때문에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를 과감하게 프랑스에 넘기는 대신 다시 유럽대륙 전통의 강자인 프랑스와 포섭해버린 것.[2]

문제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와 프랑스 부르봉 왕조는 단순 적대관계가 아니라 견원지간. 한국일본 관계 저리가라 할 정도의 철천지 원수 사이[3]였다는 것이다. 즉, 어제까지만 해도 원수였던 사이에게 오늘부터 동맹 맺자고 한 셈이었다.

그리고 놀랍게도, 프랑스의 루이 15세(실제로는 퐁파두르 부인[4]) 역시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프랑스 입장에선 중부유럽의 땅조가리를 두고 결판을 내려하는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전쟁에 괜히 끼어들기보다는, 북미인도에서 숙적 영국과 결전을 치뤄야하는 입장이었다. 더군다나, 이 당시 유럽대륙에서 프랑스와 적대관계에 놓인 나라 중 강대국이라 할만한 나라는 오직 오스트리아 뿐이었다. 스페인 역시 합스부르크 왕조였다면 프랑스와 적대관계라 할만 하지만 스페인 왕위계승전쟁 이후로 부르봉 왕조가 성립되면서 양국은 거의 영구적인 동맹 관계였다. 거기에 스페인 부르봉 가문이 획득한 나폴리 왕국과 파르마의 분가까지 합하면 부르봉 가문의 결속은 대단했다.

이에 양국은 베르사유 궁전에서 역사적인 공수동맹을 체결, 어제의 원수가 오늘의 맹우가 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에 자연스레 프랑스로부터 버림받고 고립된 프로이센과 유럽의 동맹 파트너를 상실한 영국이 급히 서로에게 접근하게 되었다.맞바람 영국은 오스트리아가 벨기에를 프랑스에 넘긴다는 조건에 네덜란드가 프랑스에 고스란히 노출되어 자신들의 유럽 정책에 중대한 위협으로 여긴 것. 거기다 오스트리아가 지난 전쟁에서 보여준 무기력한 모습에 실망하고, 영국 왕실의 고향 하노버를 방어할 만한 파트너로 사촌지간[5]이며 떠오르는 신흥강국 프로이센에 큰 기대를 걸고 있어서 동맹 파트너의 교체는 시간문제였다. 결국 이 두 나라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공수동맹을 체결했다.

이렇게 유럽의 양대 강대국, 프랑스와 영국이 서로의 동맹 파트너를 맞바꾸고 스와핑 전열을 가다듬게 되며 유럽대륙에서는 지금까지 느끼지 못한 대규모 전쟁의 그림자가 나타나게 되니, 바로 7년 전쟁의 원인이 된다.

한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는 프랑스와 공수동맹을 체결한 다음 양국의 동맹을 보다 더 굳건히 하기 위해 부르봉 가문과의 대대적인 결혼 동맹을 체결했다.

이처럼 마리아 테레지아는 당시 미혼이었던 거의 모든 왕자/공주들을[8] 전부 부르봉 가문과 결혼시키는 엄청난 일을 해냈다. 특히 마리아 안토니아와 루이 오귀스트의 결혼은 차후 프랑스 궁정에 오스트리아 출신 왕비가 등장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사실, 철천치 원수지간인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였지만, 발루아 왕조 및 부르봉 왕조의 왕비들 중 상당수가 합스부르크 왕조[9]에서 나왔다. 그러나 결과만 놓고 보면 양쪽 모두 손해였고, 이후 부르봉 왕조와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신성 로마 제국은 사이좋게 프랑스의 주권자과 그들이 옹립한 집권자에게 갈아먹혀 버린다.

오스트리아 입장에서 결국엔 프랑스와의 동맹은 별로 남는 것이 없었다. 7년 전쟁에서 서로 망테크를 타고 난 후 1777년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 때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과 또 충돌했지만 프랑스에선 파병을 거부했다... 그 결과 흐지부지 또 한번 프로이센과 타협하고 결국 프랑스 혁명이 터진 1790년대 초 레오폴트 2세는 영국과의 동맹을 복귀시켰다. 마리아 테레지아 사후 고작 12년이 되는 해였다.

하지만 프랑스에게 오스트리아와의 동맹은 나중에 수지맞는 장사로 돌아온다. 오스트리아와 동맹을 맺을 무렵, 러시아의 옐리자베타 여제는 프리드리히 2세를 매우 싫어 했으므로 프-오 동맹에 가담했는데,이 관계가 미국 독립전쟁 시기까지 살아 있었다. 그 결과 영국은 근세 이래로 유럽 대륙에 우방국 하나 없는 최악의 상태로 유럽에도 상당한 전력을 남긴 채 식민지 독립파 및 프랑스와 싸우게 되었고, 대륙에 신경쓰지 않고 견원지간 영국과 싸우게 되었다는 최상의 상태인 프랑스의 전력투구 앞에 마침내 미국의 독립을 승인하게 되었다.

결국 어떻게 보면 이 동맹의 역전에서 최대 수혜자는 엉뚱하게도 미국인 셈이다. 그리고 나비효과로 20세기에 미국에게 빅엿을 두 번 먹게 되는 프로이센은 최대 피해자가 된다
  1. 벨기에 총독으로 공적을 인정받아 등용되고 공작 작위는 1764년 수여 받는다. 1793년 죽을 때까지 오스트리아의 재상이다. 후임자는 메테르니히 공작
  2. 프랑스군은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로이센에 개발살이 난후 7년전쟁에서 발을 빼서 약속을 어겨서인지 다시 오스트리아로 복귀한다
  3. 최소한 발루아 왕조(1328~1589) 시절부터 원수지간이었다. 특히 프랑수아 1세(1494~1547)가 카를 5세(1500~1558)에게 포로로 잡힌 이후(1525)에는 합스부르크 왕조에게 불리한 행동이라면 기꺼이 나섰다. 200년 짜리 원수랄까. 가장 유명한 사례가 루이 13세 시기의 총리인 리슐리외 추기경30년 전쟁에서 신교도 편을 들어 참전한 것. 골수 가톨릭 왕조가 골수 가톨릭 연합군을 편든게 아니라 반란자인 신교도를 편들고, 그걸 해치운 게 가톨릭교의 추기경이었으니 이쯤되면 견원지간이라는 말조차 온건하게 보일 지경이다.
  4. 젊은 시절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대왕이 퐁파두르를 생선집 아가씨라고 비웃은 악연이 있다. 그랬던지 7년 전쟁 때 프랑스의 참가를 저지하려는 프로이센의 뇌물도 거절했다.
  5. 프리드리히 2세의 어머니는 조지 1세의 딸이다.
  6. 이 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공주 마리아 테레사 또한 프란츠 2세의 황후가 되었다.
  7. 딸 중 하나는 프란츠 2세의 황후이자 마리 루이즈의 어머니고 또 다른 딸은 부르봉-오를레앙 왕가의 루이 필리프 1세의 왕비이다.
  8. 항상 편애하여 연애결혼을 허락했던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주와 너무 어렸던 아들 둘은 제외.
  9. 다만 마리 앙투아네트 이전의 왕비들은 모두 스페인 합스부르크 출신이라,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국혼은 사실상 처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