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린(Natural Selection)/건물

마린(Natural Selection)들의 건물들은 커멘더가 위치를 지정해 건물을 건설(소환)하고 마린 플레이어들이 여기에 달라붙어 사용(E)키를 눌러 완전히 작동시켜야 작동이 되며,[1] 완성 여부와 상관없이 커멘더 임의대로 건물을 리싸이클 하여 일정량의 자원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참고로 몇몇 건물들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야 작동 및 건설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NS2에선 이 건물들의 명칭, 테크나 기능 일부가 변경되었다.

1 Natural Selection

1.1 커맨드 콘솔

ns-base-attack-skulk-view.jpg

마린의 체력을 책임진다!

필요자원: 20
약어: CC

마린 플레이어가 이 건물에 사용키(기본 E키)를 누르고 들어가 RTS 형식으로 마린들을 지휘하는 신발 건물.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이며 필히 사수해야 한다...는 둘째치고, 여타 건물에 비해 맷집이 너무 좋아 오노스나 페이드가 단체로 때려도 잘 부서지질 않는다. 체력이 10000[2]으로 높다 보니 좁은 길목에 건설해 바리케이트로도 이용되기도.

1.2 인펀트리 포탈

ns_machina0009.jpg

고지 셋 마린 하나

필요자원: 15
필요건물: 커멘드 콘솔
약어: IP

쉽게 말해 마린이 리스폰되는 건물. 설정상 타 전함에 있던 마린들이 (해당 맵의 무대인) 시설이나 함선 내로 건너오는 포탈이라고...

커멘드 콘솔 인근에만 건설 가능하며, 해당 맵 내의 생존 인원이나 이것이 전무하면[3] 마린 팀의 패배이므로[4] 전투를 지속하기 위해선 필수요소.

그밖에도 팀원이 5명 이상으로 많거나, 초중반 들어 마린들이 죽는 속도가 잦아지면 빠른 리스폰을 위해 2개 이상 지어주는 센스도 필요하다.

1.3 리소스 타워

Skulks.gif

화면 오른쪽 상단이 뭔가 무지 심각한 상황임을 암시하는 듯 싶지만 신경쓰지 말자

필요자원: 15
약어: RT

리소스 노즐위에 설치하는 마린의 주요 자원 공급원. 한기당 4초에 1리소스를 제공해준다. 제공된 리소스는 커맨더가 알아서 잘 쓸것이다.

특성상 길목 근방에 위치해 적 플레이어들에게 견제당하기 쉽다.

  • 전자기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30
필요건물: 터렛 팩토리
(터렛 팩토리에 쓰이는) 전자기장 방어막을 해당 건물에도 적용, 해당 건물에 인접한 카라 유닛 혹은 건물 모두에게 주기적으로 30의 전기 데미지를 주게끔 만든다. 이것의 의의는 리소스의 안정적 수급으로 주 체력 70, 보조 체력 10 정도로 약한 스컬크는 공격 자체를 포기하게 만들고 페이드나 오노스 같은 유닛 역시 이것에 접근하는 것 자체로도 출혈을 강요해 마린이 방어하러 도착할 때 쯤이면 손쉬운 사냥감이 되게끔 만든다. 단, 교전이 치열하거나 카라 본진 앞마당이면[5] 이걸 해봤자 얼마 안가 터지기 쉬우니 자원낭비.

1.4 아모리

ns_altair0000.jpg

필요자원: 10

이 건물에 사용키(E)를 누를 때마다 일정량의 탄약과 체력 회복(메드팩)을 공짜로 제공하며 주변에 산탄총, 웰딩 토치(용접기), 지뢰(마인)등을 뿌릴 수 있다.

다만 체력 회복의 경우 들고 있는 총기의 탄약이 꽉 찼거나 할적엔 버그에선지 제공이 안될 수 있으므로 총기 종류를 골고루 바꿔가며 누르면 좋다.

가끔 교전지에서 유탄발사기 등을 쓰는 이들에게 탄창 10개 뿌리느니, 자원 절감 차원에서 인근에 이걸 만드는 커멘더들도 있다.

  • 수류탄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10
리스폰되는 해병들에게 길다랗게 생긴 지연신관식 수류탄 2발을 기본적으로 지급한다. 중구난방으로 달려드는 스컬크나 고지들이 쳐놓은 웹에 쓰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탄과 마찬가지로) 카라 유닛이나 건물에 직격하면 신관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터진다.
  • 카탈리스크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30
무기의 발사 속도를 높이는 전투 자극제, 카탈리스크 팩을 전장에서 즉각적으로 보급해줄 수 있다.
  • 아모리 개량
필요자원: 30
고급 무기 지급 및 프로토타입 랩 건설 조건을 충족시키고자, 어드벤시드 아모리로 개량(업그레이드)한다.

1.5 어드벤시드 아모리

필요자원:40(아모리 비용 + 추가 업그레이드에 드는 비용)
약어: AA

아모리를 업그레이드 한 건물, 겉보기엔 아모리 밑에 발판 비슷한 뭔가가 튀어나온 게 전부라, 초보 유저들은 구별을 잘 못한다.

아모리에서 진보된 무기인 HMG와 GL 등을 뿌릴 수 있으며, 동시에 프로토타입 연구소 건물 건설시 필요한 건물이기에 카라의 테러 제 1순위 건물. 중요도에 비해 한번 하는데 자원도 자원이거니와 업그레이드 시간도 길고 체력이 낮아 관리에 유의하자. 만약 프로토타입 건물이 없는 상태에서 이게 박살나면 아모리를 새로 짓고 업그레이드 하는 시간동안...마린의 작전에 차질이 생긴다.

1.6 터렛 팩토리

ns_veil0003.jpg

이미지 중앙, 두 리소스 타워 사이에 위치한 것

터렛의 어머니
필요자원: 15
약어: TF

이름만 보면 터렛을 생산할것 같지만 그런거 없고 건물 영향권 내에 터렛들을 건설&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쉽게 말해 포톤 캐논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파일런.

파괴되면 일대의 터렛들이 이 건물이 새로 지어질 때까지 작동을 멈추니 전자기장 등으로 잘 보호하든가 1대를 더 짓든가 하자.

  • 전자기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30
RT랑 효과는 같다, 센트리 터렛이 근처에 있는데 굳이 필요한가...라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지만 터렛의 사각지대에서 팩토리를 치는 스컬크를 쫒아내는데 유용하다
하지만 근방에 마린이 잔뜩있으면 업그레이드 비용 30을 투자할 필요는 적다. 하지만 소수 마린대 wb봇 전에선 쓰면 좋다. 맷집이 좋은 페이드나 오노스 등을 제외하면 잘 안치니 웰더로 보수할 필요가 적다.
  • 터렛 팩토리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15(업그레이드 비용)
일대에 시즈캐논 건설 및 작동 지원이 가능한 어드밴스드 터렛 팩토리로 업그레이드 한다. 만약 이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으면, 이미 건설되었을지라도 시즈 터렛은 팩토리의 영향권 내에 있다 하더라도 작동하지 않는다.

1.6.1 센트리 터렛

HUN-10.jpg

필요자원: 10
필요건물: 터렛 팩토리

사거리에 들어온 카라 유닛과 건물에게 총격을 가한다.

'센트리'나 '터렛'으로만 부르기도 하며 넓은 사거리와 명중률이 뛰어나 전방이 확 트인 공간에 배치하면 뛰어난 효율을 자랑한다.

하지만 개틀링스런 외형과 달리 밸런스를 감안해 단발인데다, 발당 데미지도 낮다. 하지만 넓은 지형에 도배하듯 20개 이상 지어두면 페이드나 오노스도 3초만에 리뎀.

1.7 어드밴스드 터렛 팩토리

하이브 혹은 전략지에 페이드나 오노스, 오펜스 쳄버들이 즐비해 거기로 마린이 진입하면 손실이 크다 생각할때, 근처 앞마당 같은 공간을 점거하고 시즈를 준비할때 업그레이드 해 쓰지만, 시즈터렛에게 사거리가 있어 목표랑 너무 떨어져 지으면 이만한 자원 낭비가 없으니 애당초 짓고 업그레이드 할때 사거리를 잘 계산해 배치해야 한다.[6]

1.7.1 시즈 터렛

sieg.JPG

필요자원: 15
필요건물: 어드밴스드 터렛 팩토리
약어: ST (센트리와 중복되는지라 'siz'로도 칭함)

카라 건물에만 데미지를 주는 특성 때문에 얼핏 잉여로 보일 수 있으나,[7] 한가지 장점이 모든걸 보상한다.

벽을 뚫고 포격한다.
실제로 벽이나 지형의 높낮이 상관없이 사거리만 된다면 적의 건물들을 자동으로 알아서[8] 날려버린다.[9]

주로 카라가 각종 쳄버들을 한가득 깔아놓아 우주방어를 할때, 마린의 돌입만으론 뚫기 어려울때 설치&포격하며, 카라들은 견디다 못해 시즈가 설치된 곳으로 뛰쳐나가 터렛을 지키는 마린과 센츄리들에게 벌집이 되든가, 타깃이 된 지점을 포기하는 수밖에 없다.

1.8 옵져버토리

obs.JPG

필요자원: 15
필요건물: 아머리
약어: OB

마린의 관측 지원 및 긴급 호출을 해주는 건물.
사실 초반부터 급하게 안지어도 되는 건물이나 적이 선 SC를 했다면 엄청 중요해진다.

  • 스캔
테란콤샛 스테이션처럼 자체 에너지 20을 소모해 특정 지역의 시야를 확보한다. 클로킹된 유닛까지 보이게 만드는 디텍팅 능력이 있으며, 마린이 없는 곳을 커멘더가 파악하거나, 시즈캐논의 시야 확보용으로 쓰인다.
  • 모션 트랙킹 업그레이드
필요자원:35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옵저버토리 건물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맵 여기저기에서 이동하는 모든 카라 플레이어들을 포착, 커멘더 및 일반 마린의 시야에 동그란 원으로 표시되게 만들어 카라의 움직임을 훤히 읽게 만든다.
분명 사기성 기술이긴 한데 업그레이드 시점이 페이드나 오노스 뜰 시점이라...
  • 디스트리스 비컨 (긴급 호출)
필요자원: 15
생사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마린 플레이어들을 시작지점으로 불러들일 수 있다.[10] 주로 한데 모아놓고 고급 장비 단체 지급이나, 본진러쉬를 가거나 당했을때, 최후 농성(...)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 페이즈 기술
필요자원:15
마린의 전략의 큰비중을 차지하는 페이즈 게이트를 건설할수 있게 해준다.

1.8.1 페이즈 게이트

jjalbang.jpg

필요자원: 15
필요조건: 옵저버토리-페이즈 업그레이드
약어: PG

텔레포트 건물. 사용(E)키를 눌러 다른곳에 활성화된 페이즈 게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주로 본진, 하이브 포인트, 주요 접전지나 적 후방에 몰래 침투하여 설치해[11] 신속한 병력 이동 용도로 쓰인다.

단, 특정 게이트 일대가 완전 점령되면, 뭣모르고 게이트를 사용하는 마린들이 대기하고 있던 카라들의 사료 제물로 희생당하니[12] 조심해야 한다. 그런 상황을 보통 자판기에서 캔음료가 나오는걸 빗대 '자판기'라고도 부른다 이때 이 상황을 재빨리 파악하고 리사이클 하는것은 커맨더의 능력.

너무 많으면 병력 이동에 차질이 생기니 필요없는건 팔자.
그래도 게이트 테러에 주의해 중요지점에는 두개를 떨어져[13] 짓자.

1.9 암즈랩

arms.JPG

엔지니어링 베이

필요자원: 20
필요건물: 아머리

마린의 공격/방어 능력의 업그레이드를 담당하며 파괴되면 옵저버토리처럼 그동안 했던 업그레이드가 잠시 무효화 되지만 이미 또다른 암즈랩이 있거나 다시 지으면 이전 상태로 복구되니 AA에비해 테러 순위가 낮다.

  • 공격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20-30-40 (단계별로)
마린의 탄환 데미지를 높인다.
어디까지나 탄체한정으로 보조 무기인 지뢰, 웰딩 토치, 나이프는 여기에 적용되지 않는다.
  • 방어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20-30-40 (단계별로)
마린의 장갑을 업그레이드 해 마린의 아머 게이지를 올려주는 업그레이드.
보통 공격력 업대신 방어력부터 누르는데, 카라의 초본 국민 콤보인 패러사이트 1발, 두번 깨물기 콤보로부터 생존력을 높여주기 때문 이걸 해주면 마린의 생환률이 꽤 늘어난다.
가끔 "이왕 HA 주는데 필요 없잖아?"라는 커맨더도 있지만 해주면 좋다.

1.10 프로토 타입 랩

pro.JPG

필요자원: 40
필요건물: 어드밴스드 아모리, 암즈랩
약어: PL

마린 최종 테크이며 중요건물 이 건물이 목격되면 카라로서는 어줍잖은 단독 작전은 그만두고 일전을 슬슬 준비해야하는 만큼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JP와 HA를 뿌릴 수 있다. 그때문에 AA랑 같이 짓는 경우도 많다.
AA 다음으로 테러2순위, 비싸니 잘 보호하자.

  • 젯팩 업그레이드
필요자원:45
장비 창에서 JP를 지급해줄수 있다.
성능은 무기/장비 항목 참조.
  • 헤비 아머 업그레이드
필요자원:40
장비창에서 HA를 보급해 줄수 있다.

2 Natural Selection2

전작의 터렛 팩토리와 센츄리와의 관계처럼 이번 작에선 파워 노즐이나 이를 보조하는 파워 팩의 존재가 전무하면 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

2.1 커맨드 스테이션

225px-Command_station_empty.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5
체력: 3000
아머: 1500

전작과 마찬가지로 마린 플레이어가 이 건물에 사용키(기본 E키)를 누르고 들어가 RTS 형식으로 마린들을 지휘한다. 근데 판자들을 얼기설기 엮은듯한 생김세에 체력이 높다.

2.2 인펀트리 포탈

150px-InfantryPortal.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0
필요건물: 커멘드 스테이션
체력: 2250
아머: 125

전작과 마찬가지로 마린이 리스폰되는 건물이자, 커멘드 스테이션 일대에만 건설이 가능하다.

2.3 익스트랙터(추출기)

180px-Resource_tower.jp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0
체력: 4000
아머: 500

리소스 노즐위에 설치하는 전작의 리소스 타워를 NS2에선 이렇게 부른다. 5초당 팀 리소스 1과 개인 리소스 0.125를 뽑아낸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리소스 노즐들이 길목마다 위치해 불가항력적으로 상대 카라들에게 견제당하기 쉽다.

2.4 아모리

250px-Armory.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0
체력: 1800
아머: 300

전작과 엇비슷한 설정이지만, 마린들이 개인 리소스(사비)를 들여 무기를 별도 구매함이 가능하다.

  • 아모리 개량
필요 건물: 아머리, 인펀트리 포털
체력: 3000
아머: 500
어드벤시드 아모리로 개량(업그레이드)하여 유탄 발사기와 화염 방사기를 보급 가능하다.

2.5 파워 팩 (이동식 발전기)

250px-PowerPack.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5
체력: 1200
아머: 400

파워 노즐(배전반)의 상태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근처 건물 하나에게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참고로 예전엔 근처 건물에게 전력을 충분히 공급해 전략적 요충지의 파워 노즐만 부시면 땡!이었던 카라 전략이 다소 바뀌기도 했으나 이후 하나에게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패치됐다.

2.6 로보틱스 팩토리

200px-Robotics.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5
필요 건물: 아머리
체력: 2400
아머: 800

전작의 터렛 팩토리를 계승하는 건물. 일대에 센츄리 배치와 이동식 포격기인 아크, 모바일 오토메티드 컨스럭터 생산이 가능하다.

  • 터렛 팩토리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15(업그레이드 비용)
일대에 시즈캐논 건설 및 작동 지원이 가능한 어드밴스드 터렛 팩토리로 업그레이드 한다. 만약 이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으면, 이미 건설되었을지라도 시즈 터렛은 팩토리의 영향권 내에 있다 하더라도 작동하지 않는다.

2.6.1 센트리

200px-Sentry.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0
필요건물: 로보틱스 팩토리
체력: 1040
아머: 140

적색 레이저로 감지된 카라 유닛과 건물에게 총격을 가하지만, 개틀링스런 외형에 정신없이 움직이는 카라를 상대로 마린만도 못한 전투력은 여전. 그래도 스컬크 정도는 견제할수 있으며 여러대 지어놓으면 테러는 사실상 불가능. 다만 이녀석 등짝은 공격 못하니 사각을 생각해서 건설하자

2.6.2 아크(ARC)

Arc_deploy_close.gif

필요자원: 팀 리소스 20
필요건물: 로보틱스 팩토리
체력: 2400
아머: 300

전작의 시즈 캐논의 이동식 버전.

커멘더의 조종과 마린의 인도하에 적 건물 근처까지 도달한 후에 포격을 하지만, 전작의 시즈 캐논과 마찬가지로 마린들의 엄호가 없다면 잉여. 평소에는 공격을 하지 않으며 배치를 해야 아군 시야에 들어온 적 건물을 포격한다. 전작과는 달리 이동식이라 시즈 캐논 잘못지었다고 재활용 해야 하는 안습한 일이 없는게 다행이지만 너무 느려서 마린의 엄호없이 도주는 사실상 불가능. 튼튼하긴 한데 ARC공격하러 온 적이 과연 스컬트 한두마리일까...

2.6.3 모바일 오토메티드 컨스럭터

310px-MAC_front.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5
필요건물: 로보틱스 팩토리
체력: 300
아머: 50

전작까지는 마린들의 일거리였던 E키로 건물 짓기와 파워 노즐 복구 능력이 있다. 쉽게 비유하면 마린들을 SCV라 치면 이건 그것들을 보조하는 지게로봇. 다만 인공지능이 병맛인지라 한놈이 맞으면 그놈 수리하겠다고 MAC들이 몰려들어서 바일봄에 몰살당하기도 한다.

월E에 나오는 키보드로봇과 비슷하게 생겼다. 특히 가까이서 E키를 누르면 하는 행동이 귀요미. 색깔 때문에 클랩트랩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2.7 옵져버토리

225px-Observatory.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0
필요건물: 인펀트리 포털
체력: 1700
아머: 0

전작과 마찬가지로 마린의 관측 지원 및 긴급 호출 용도.

  • 스캔
자체 에너지 20을 소모해 카라의 클로킹까지 포함해 특정 지역의 시야를 확보한다.
  • 디스트리스 비컨 (긴급 호출)
필요 에너지: 50
자체 에너지 50을 소모해 모든 마린 플레이어들을 시작지점으로 불러들일 수 있다. 전작과 달리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죽은 이들까지 부활시키는 기능에 제약이 붙었다.
  • 페이즈 기술
필요자원: 팀 리소스 15
페이즈 게이트를 건설할수 있게 해준다.

2.8 페이즈 게이트

275px-ActivePhaseGate.jpg

필요자원: 팀 리소스 15
필요건물: 옵저버토리 (페이즈 기술 업그레이드)
체력: 2700
아머: 450

전작과 마찬가지로 사용(E)키를 눌러 두개의 페이즈 게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마린 이외의 유닛들은 사용 불가.

2.9 암즈랩

225px-ArmsLab.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20
필요건물: 아머리
체력: 2250
아머: 225

전작에서처럼 마린의 공격/방어 능력의 업그레이드를 담당한다. 물론 여느 업그레이드들이 그러하듯 해주면 좋다.

  • 공격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20-30-40 (단계별로 10%씩 탄환 데미지 상승.)
  • 방어력 업그레이드
필요자원: 20-30-40 (단계별로 20%씩 장갑 게이지를 높임.)

2.10 프로토 타입 연구소

250px-PrototypeLab.png

필요자원: 팀 리소스 20
필요건물: 어드벤시드 아머리
체력: 3200
아머: 400

전작과 마찬가지로 추가 옵션이 붙은 아머를 보급, 한때 젯팩만이 보급됐으나 이제는 엑소슈츠도 개인 리소스를 들여 장비함이 가능하며, 참고로 아래의 연구 항목들은 2개 이상의 커멘드 스테이션이 존재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 젯팩 연구
필요자원: 팀 리소스 25
  • 엑소슈츠 연구
필요자원: 팀 리소스 30
  • 듀얼 미니건 연구
필요자원: 팀 리소스 20 (엑소슈츠 업그레이드 완료된 상태에서)
  1. 새로 만들어진 건물들은 완성도를 표시하는 게이지 바가 있으며 여려명이 달라붙으면 이 게이지가 더 빨리 채워지며 완성이 되면 이 게이지는 체력 바로 대체된다. 참고로 카라 상대로 길막 혹은 가스 러시 남용을 방지코자, 새로 생성되었지만 마린이 한번이라도 사용키를 누르지 않은 건물에 카라 플레이어가 닿으면 자동적으로 리싸이클 된다.
  2. 이는 카라의 하이브 (7000)보다도 높은 수치다.
  3. 때문에 커멘드 콘솔이 없어도 패배하지는 않는다. 단, 건물 증설이나 장비 지급이 불가능해져 사실상 망했다고 보면 된다.
  4. 반대로 카라의 임무는 모든 IP의 파괴 및 잔류 해병의 전멸.
  5. 예외적으로 마린이 점령한 하이브 부지나 중요 길목에 위치한 리소스 노즐에 이걸 적용시킨 뒤, 바로 옆에 게이트를 지어놓으면 리소스 수급과 게이트 방어까지 동시에 얻으니 일거양득이다.
  6. 참고로 시즈터렛의 사거리는 건설시 녹색 원으로 표시되고 통상적으로 벽 하나 넘어 쏠 수 있는 정도니 참고.
  7. 예전 버전에선 건물 공격시 근방의 카라 플레이어 유닛까지 스플레쉬 데미지를 받았으나 이후 버전에선 삭제.
  8. 커멘더는 컨트롤 불가
  9. 설정상 초음파 공격이란다.
  10. 마린 본진이 시작지점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간 상태에서 이걸 자주 쓰게 된다면 그 지점에 페이즈 게이트를 지어놓자.
  11. 이걸 '몰래 게이트'라고도 부른다.
  12. 적을 하나 죽일수록 해당 플레이어/팀에게 보상으로 소량의 자원을 준다.(컴벳의 경우 레벨 업을 위한 경험치)
  13. 한곳에 몰려 지으면 자판기가 되기 십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