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톤맨

1 개요

파일:Attachment/megatonmanbook.jpg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한국 해적판 중 하나.

소년점프의 국내 해적판 잡지였던 500원짜리 '슈퍼점프'에서 '죠죠'란 이름으로 실렸던 연재분을 단행본으로 엮은 책이었으나, 해적판 잡지 쪽은 1부가 끝날 즈음에 사라졌고 이후엔 단행본으로만 출판되었다. 작가역자는 박련 오오 명변역자 오오 , 출판사는 나이테와 영림으로 표기되어 있다.

각 부는 실제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파트에 관련없이 12권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별 의미없다. 게다가 표지도 제멋대로다. 1부(1~12), 2부(1~12), 3부(1~12), 4부(1~12), 5부(1~9) 구성으로 되어있다. 5부 9권에서 책이 출판되지 않았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메가톤맨이 더 구하기 쉬웠으나 절판되어 서서히 보이지 않더니, 2013년 죠죠 정발 이후 정발판에 밀려 자취를 감추었다. 수원역 모 만화방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해적판이라 퀄리티는 떨어지지만, 번역 센스가 안 좋은 의미로 극강 이라는 점으로 유명세를 얻었다. 그런데 원작인 죠죠의 진지함을 철저히 망가뜨린 그야말로 막 나가는 번역은 역설적으로 죠죠 특유의 기묘한 센스를 더욱 강화시켰고, 한국의 죠죠러들 사이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일부 팬들은 "메가톤맨을 번역 따위와 비교하지 마라"라고 할 정도.

2 오역의 예시

80 ~ 90년대 심의기준을 철저히 준수해가며 최대한 많은 독자층에게 읽히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인지 대사들이 원작의 심오한 분위기는 사라지고 최대한 가볍고 알기 쉬운 느낌으로 바뀌어 있다. 문제는 그러다보니 긴 대사나 설명은 가차없이 줄이거나 단순히 줄이는 걸 넘어 창작하는 수준까지 다다르는 면모도 보여준다. 그리고 번역한 대사에 물결표시인 ~을 자주 넣기도 한다. 연소자는 거의 존댓말을 쓰고 연장자에 대한 모욕도 순화되어 굉장히 예의바른 사람들이 되었다. 특히 디오가 아버지 무덤에서 욕을 하며 침을 뱉는 장면에서 욕은 전부 순화되었다. 침이 묘비에 맞은 건 새하얗게 칠해놨다. 당시 문화적 분위기 때문에 말투가 바뀐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그 특유의 번역센스 영향이 큰지, 원작보다 많이 가볍고 밝다. 다만 예외적으로 1부의 죠나단은 에리나에게 꺼져버리라고 하는(...) 등 언동이 더 거칠어졌다.

해적판답게 멀쩡한 이름을 멋대로 바꿔버리거나 엉뚱한 오타를 내는 일이 잦다. 펜들턴이 펜돌론으로 나오기도 하고, 체펠리 씨페리오 치약?, 스피드왜건건왜드PISS피스라고 나왔으며, 1부에 등장한 오거 스트리트의 경우 큘라타운으로 바뀌었다. 타커스브루포드는 타카어?브루포드로 졸지에 애칭이 됐고, 리사리사리사리사, 폴나레프나레프, 압둘은 아톨, 이기멍멍이, 하이어로팬트 그린은 그라프, 와이키키로 나온다. 몇몇 인물들은 이름을 표기하는 가타카나를 잘못 보고 적거나 발음을 직역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일본어 이름은 더 심한데, 예로 죠타로는 죠죠챤이라는 홍콩계 청년이 되었다..[1] 뭐 번역자가 번역자인 만큼 처음 홀리 죠스타가 죠타로를 부를때 쓴 죠죠쨩을 이름인줄 알고 밀고 나간걸 수도 있다. 그 밖에 카쿄인은 체리, 죠스케죠루죠[2] 죠르노죠루노 가 되었다(사실 이것은 발음 표기 문제이긴 하지만 얘도 연애 한번 안해본 사람인데 또 죠루가 되었다). 또 로한은 키팅, 코이치는 차우, 오쿠야스나쁜애나프레, 시게치는 뚱뚱이[3], 키라는 케일리(...) 무슨 지거리야 케일리-해밀턴의 킬러 퀸 그리고 틀림없이 3부에서 스탠드악령 그림자라 부르나, 4부부터는 갑자기 대역으로 나온다. 스탠드보고 대역이라니 진짜 네이밍센스가 기묘하다(...)

그 유명한 오라오라오라오라끼요오오옷! 끼아웃!으로 번역..이 아닌 변경해버렸다.

캐릭터들간의 대사 변경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뭔가 동성애색이 강해졌다. 번역자의 최애캐가 폴나레프가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다. '순진한 폴을 놀렸으니 벌을 주겠단 말이다.'나 '아톨씨 일어나서 폴 좀 감싸줘요'등등. 특히 디오가 그런 쪽으로 강해진 편인데, 공교롭게도 디오는 원래 설정부터가 양성애자이고, 원작 자체도 은근히 그런 분위기가 있다보니 우연히라곤 해도 어떤 의미에선 이것 또한 원작 초월이 되어버렸다.

더 많은 예시들은 메가톤맨/번역 항목을 참조.

3 트리비아

메가톤맨의 번역이 또 다른 죠죠 단행본 해적판인 '썬더빅맨'과 같다는 목격담이 있는데 사실이다. 번역자가 같은 게 아니라 흠좀무하게도 해적판인 메가톤맨을 다른 업자가 또 복사해서 해적판을 냈기 때문이다. '썬더빅맨' 말고도 경상도 지역에서 유통되던 '무적 꿀트라맨'도 있다자네가 꿀트라맨이면 난 밥트라맨이란 말인가?. 역시 메가톤맨 복사버전. 실제로 썬더빅맨이나 꿀트라맨을 보면 메가톤맨 인쇄본의 잉크가 튄 자국까지 그대로 복사되어 있다.[4] 전설 위에 전설을 덧붙이는 일이....

디시위키에선 메가톤맨을 한국 만화라고 주장하며 일본으로 수출되어 현지화된게 죠죠의 기묘한 모험이라고 한다.

아래는 관련 패러디.

서양에는 비슷한 것으로 DUWANG이 있다.
  1. 일부 팬들은 죠타로의 약칭인 '죠죠'를 일본식 애칭(XX쨩)으로 읽으면 죠죠이 된다는 걸 노린 역자들의 오덕성 음모라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번역팀에 부녀자가 들어있습니다 여러분!). 재밌는 사실은 "찬"은 의 국립 국어원 표준 표기법을 제대로 준수한 번역이라는 것. 자세한 것은 이나 항목 참조.
  2. 굳이 추정하자면 죠스케가 일본 인명이라 그대로 쓸 수 없었다는 점과 더불어 줄여서 죠죠가 될 수 있는 이름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렇게 지어낸걸로 보인다. 그나저나 실제로 연애 한번 안해본 사람에게 '죠루'라니 슬프다
  3. 재미있는 점은 실제로 해외 팬들은 시게치를 Fatty, 즉 '뚱뚱이'라고 부른다.
  4. 해적판이 해적판을 복사하는 상황은 드래곤볼 해적판에서도 똑같이 일어났다.
  5. 원본은 죠죠 ASB. 1부부터 8부까지의 캐릭터를 전부 넣은 격투 게임. 망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