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황자총통 발굴조작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고고학계와 대한민국 해군의 역대급 흑역사로 남은 발굴 조작사건. 본격 한국판 후지무라 신이치 사건.

2 최고의 발굴

1992년 8월 18일, 해군사관학교를 중심으로 조직된 '충무공 해전 유물 발굴단'은 경상남도 통영한산도 문어포 서북방 460m 수역 해저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총통을 인양했다. 조사 결과 총통의 포신에는 '만력 병신년(1596) 6월 일 제조하여 올린 별황자총통(萬曆丙申六月日 造上 別黃字銃筒)'과 '귀함의 황자총통은 적선을 놀라게 하고, 한 발을 쏘면 반드시 적선을 수장시킨다(龜艦黃字 驚敵船 一射敵船 必水葬)'란 글이 새겨져 있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파일:Attachment/cannon-hoax.jpg
'龜艦'이라는 글귀는 이제까지 기록으로만 전해질 뿐, 실물로는 전하지 않는 거북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었기에, 역사학계와 고고학계는 단번에 흥분의 도가니에 빠지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발굴한 지 겨우 17일이 지난 9월 4일, 문화재청은 이 황자총통을 '국보 제274호 귀함별황자총통'으로 지정했다. 임진왜란 당시에 제작된 것이라고는 하지만 전례없이 빠른 조치였다. 아무리 중요한 유물이라도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보물로 지정되고, 수십 년이 지나야 비로소 국보로 승격된다는 점에서도, 국보 지정 과정은 빨라도 너무 빨랐다.

국보가 된 황자총통은 진해시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었고, 해군은 이후 이를 바탕으로 실물복원은 물론, 포격시험까지 실시하기에 이르렀으며, 포신에 새겨진 '一射敵船 必水葬'(일사적선 필수장)은 해군 전체의 슬로건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런 식으로. 게다가 임진왜란 400주기를 맞아 전국적으로도 엄청난 관심이 집중된 것은 물론, 대한뉴스에서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38톤급 소형 탐사정 한 척과 운영 요원이 불과 30명인 초미니 발굴단으로서는 믿기 어려우리만큼 큰 업적을 올린 것이기에, 발굴단장 황동환 대령(해사 22기)에게는 보국훈장 삼일장이 수여되었다.

3 희대의 사기극으로

발굴 후 4년이 다 되어가던 1996년 5월,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은 수산업자 홍모 씨를 조개 채취 허가와 관련된 뇌물 사건으로 조사하던 중 홍씨로부터 "황동환 대령에게도 돈을 줬는데, 그로부터 국보 별황자총통은 가짜란 말을 들었다"라는 이야기를 접한다. 이에 검찰은 총통을 발굴했던 황동환 대령을 은밀하게 불러 조사를 했지만 황 대령은 "나도 그런 소문을 듣긴 했는데, 해군의 명예도 있고 하니까 대충 덮어 주면 좋겠다."란 말을 한다.

정상적인 상황이었다면 홍모씨의 말이 사실무근이라며 화를 벌컥 내며 명백한 진품이니 조사해보면 다 나올 것이라며 당당하게 나와야 했건만, 황씨의 태도는 누가 봐도 수상했다. 당연히 검찰은 이 말을 그냥 넘기지 않았고, 곧 증거를 잡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와는 별도로 황 대령을 다시 소환해 자백을 유도했지만 황 대령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두 달이 지난 6월 중순에야 황 대령은 결국 사건의 전모를 실토했다. "홍모 씨를 통해 골동품상 신휴철이 가지고 있던 총통을 사서 이걸 바다에 빠뜨렸다가 발굴한 것처럼 꾸몄으며, 이 과정에는 해사 박물관장 故조성도 대령도 관여했다는 것"이었다. 6월 18일, 해군은 이를 공식 발표하면서 학계는 물론 전 국민이 충격과 공포에 빠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총통을 판 신씨의 집에서 제작 시기가 알 수 없는 총통 13점과 글씨를 음각하는 도구들이 발견되었고, 며칠 뒤, 체포된 신씨가 그의 사위와 함께 총통을 만들고 글씨를 새긴 후, 그 위에 화공약품을 부어 부식시켰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물도 아니었다」는 수사결과가 나오면서 해군과 문화재청은 개망신을 피할 길이 없게 되었다.

4 후폭풍

1996년 8월 30일, 문화재위원들은 이 총통을 국보에서 해제했다. 이로 인해 국보 제 274호는 영구결번되었다.

사실 발굴 당시부터 유물에 대한 이런저런 의문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전례없이 초광속으로 국보 지정이 된 게 영 석연찮은 건 차치하더라도, 먼저 바닷물에 의해 부식되어야 정상인데 400년 가까이 바다에 잠겨 있었다던 총통의 상태는 지나칠 정도로 양호했다. 보통의 경우라면 녹으로 덮여 글씨는 알아볼 수도 없어야 정상이었을 텐데, 별황자총통에 새겨진 글씨는 금방 새긴 글씨처럼 너무나 선명했다.

총통의 상태가 지나칠 정도로 양호한 건 백번 양보해서 넘어가더라도, 총통에 새겨진 문구 역시 수상쩍다는 지적이 있었다. 글귀 중 일부는 조선시대에는 사용도 하지 않은 것이었다. 예를 들어 거북선은 한자로 귀선(龜船)으로 적지 귀함(龜艦)으로는 적은 기록은 그 때까지 없었으며, 당시에는 왜군을 가리킬 때 적선(敵船)이란 표현 대신 모두 도적 '적(賊)'으로만 표기했다. 그리고 발사형 무기의 경우, '사(射)'란 표현은 활로 화살을 쏠 때 쓰지, 화약무기를 사용하는 데는 절대 쓰지 않았다.참고로 이 때는 '방(放)'자를 사용한다. 방포하라! 수장(水葬)이란 단어도 물론 조선시대 때 사용하지 않았다.

게다가 총통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아연이 무려 8%나 포함되었는데, 아연은 열에 약해 화포 주조에 아연을 넣으면 대포가 열로 망가지므로 총통의 주된 재료인 청동의 아연 함유량은 아무리 많아봐야 1% 미만이므로 있을 수가 없는 구성비이다. 가장 기본적인 시료 조사조차 안 했다는 이야기다.


참고로, 이와 같은 언어학적 고증은 사료비판의 방법론 중 매우 중요한 일환이며 무려 중세시대부터 수 많은 위조와 허위를 가려 낸 유서 깊은 역사학적 방법론이다.

예컨대, 오늘날 해군에서 대체로 전투에 쓰이는 배는 '전함', '순양함', '구축함' 등 "배 함(艦)"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한반도의 근대화와 함께 숱한 근대문물에 일어 단어를 차용해 쓰기 시작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조선시대에는 '판옥선' 처럼 "배 선(船)"자를 사용했다. '사(射)'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총이든 활이든 뭔가를 쏠 때 '발사'라고 하는 표현은 원래 일본에서는 유래 된 표현이다. 일본에서는 "射て(우테)" 내지는 "發射(핫샤)" 라는 표현을 쓴다. 구한말 및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근대적 군제가 최초로 자리잡기 시작했을 때 일본을 통해서 배웠기 때문에 오늘날 일반화 된 군사용어가 다수가 일본식 표현을 여전히 사용하는 것.

언급된 것처럼 조선에서는 화포류에는 '방(放)'을 사용했는데, 이는 '사(射)'라는 단어가 원래는 <주례>에서 일컫는 육예(六藝) 중 하나라서, 막연히 뭔가를 '쏜다'라는 뜻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활을 쏜다"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즉, 원래 일본에서도 "射て(우테)"는 활 밖에는 없던 시절이었느끼 '활을 쏴라'라는 의미였다. 나중에 총기가 보편화되고 총포류에 기반한 군대가 나오면서 구체적으로 '활'을 지칭하는 의미가 빠지고, 보편적으로 '쏜다'는 단어로 변한 것이다. 무언가 야료가 있거나 외압, 은폐행위가 없이 정상적으로 신중한 연구가 진행되었더라면 처음부터 위조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는 소리다.

결국 '충무공 이순신의 후예들을 양성한'다고 자처하며 유물 발굴을 주도한 해군사관학교는 물론, 유물을 정확히 검증하지도 않고 졸속으로 국보로 지정한 문화재위원들 모두 학문적 정합성 및 연구/고증기간을 무시하고 자기 치적 쌓는데만 정신이 팔린 결과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발굴조작 사건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더 기가 막힌 것은, 당시 국보 지정 심의과정에 참가한 문화재위원 중 군사유물 전문가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사실상 해군의 설명만 믿고 국보로 지정한 것이다. 객관적인 연구방법론을 무시하고 딴 생각 하는 비전문가들이 정책을 주도하는데 누구도 제동을 걸지 않거, 감시하지도 않으면 어떤 식으로 나라의 역사에 오명을 남기는지 보여 준 사례.

결과적으로 신안 해저유물 발굴 등으로 쌓아올린 해저유물 발굴사에 씻을 수 없는 불신을 안긴 사건이 되었다. 2012년 11월에 진도 앞바다에서 승자총통 유물이 인양되었음에도 이를 쉽게 믿지 않고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정도. 게다가 여기엔 도굴꾼들이 관여한 정황마저 있으니, 누가 쉽게 믿을까(…)

더욱이 해당 사전에 관여한 골동품상 신휴철은 가짜 별황자총통 외에도 40여종의 모조 총통, 모조 갑주, 모조 측우기 등을 만들어 결국 구속되고 말았다.# 우리나라 전통 화약무기연구계의 대표적 인물인 채연석 교수의 저서 <우리의 로켓과 화약무기>에도 전체 이름이 다 나온 것은 아니지만 채연석 교수와 있었던 일이 나오는데, 당시 채연석 교수가 그와 그가 가진 총통을 보고 잠시 설렜으나 뭔가 미심쩍어했다고 나온다. 그리고 그 이후 이 글의 주제인 총통 위조 사건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