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역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역사를 다루는 문서.

1 고대사

고대에는 일리리아(Illyria), 혹은 달마티아(Dalmatia)라고 불렸으며, 로마 제국의 속주로 편입되었다. 이 땅에는 독자적인 일리리아 민족이 살았는데 아드리아해에서 해적업을 하던 민족이었다고는 전한다. 4세기 후반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리되면서 서로마 제국에 편입되었지만 서로마가 통치 능력을 잃으면서 동고트족이 대거 이주, 정착하였다.

2 중세사

이후 6세기 동로마 제국에 편입되었으나 7세기 이후 슬라브족이 대거 이주, 슬라브계의 크로아티아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9~10세기경 가톨릭으로 개종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후에 헝가리의 영향 아래 보스니아 공작령이 세워졌으나 곧 여러개의 소국들로 쪼개졌으며 줄곧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양자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다가 1377년에 공식적으로 보스니아 왕국이 건국되었다.

보스니아 역사가 요동치기 시작한 것은 14세기 터키인(튀르크)이 발칸 반도로 밀려들면서부터였다. 15세기 중반에 보스니아를 정복한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의 세르비아 민족에게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강요하고 한편으로는 많은 무슬림을 이주시켰다. 오스만 제국의 압박과 생활상의 편의 및 실리도모를 위해 보스니아 거주 세르비아인 중 일부는 이 시기 이슬람으로 개종했는데, 이 때문에 훗날 유고 내전때 세르비아계가 혈통상으로는 동일한 세르비아계 무슬림을 더 잔혹하게 학살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3 양차 세계대전

이후 19세기 중반까지 보스니아는 별다른 문제없이 오스만의 통치를 받았으나, 1878년 베를린 회의의 결정에 따라 지역전체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관리하에 편입되면서 문제가 되었다.

파일:SBywqVs.jpg
1908년, 르 쁘띠 주르날(Le Petit Journal)[1]

1908년, 오스트리아가 러시아의 사전양해를 얻어 보스니아를 합병하자 세르비아가 격렬히 반발했고, 당시의 삼국동맹-삼국협상의 경쟁 구도와 대립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결국 1914년, 사라예보를 방문한 오스트리아 제국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세르비아계 테러 조직인 검은 손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은 불을 뿜게 되었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 보스니아 지역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연합 왕국에 병합되었고, 이후에 유고슬라비아로 개칭하게 된다. 그러나 민족적, 종교적으로 상이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결속력이 떨어졌고, 결국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크로아티아계가 떨어져 나가 세계대전의 전쟁터가 되었다. 이 때 보스니아의 험악한 지형은 티토가 이끈 공산 게릴라가 활동하는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독립 공화국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고, 이 때 사라예보가 정식 수도로 정해졌다.

90년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공중분해, 연방을 이루고 있던 옆나라인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의 독립선언과 성공에 자극을 받아 국내 무슬림계 주민과 크로아티아계 주민이 협력하여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는 세르비아계가 격렬히 반발, 분리독립반대 무장투쟁에 돌입하자 유고 연방의 종주국인 세르비아가 내전에 개입하였다.

4 보스니아 전쟁

아무런 전쟁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전쟁이 갑자기 발생하게 된 원인은 유고 연방군 및 세르비아 민병대에게 신나게 털리던 크로아티아가 유고 연방군의 대공세를 다른 쪽으로 돌리기 위해 보스니아 내전을 조장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전쟁초기 세르비아 민병대는 거의 양민학살급으로 무슬림계와 크로아티아계를 쓸어버렸다. 세르비아계 주민의 무장투쟁과 민간인 학살은 1945년 이후 약 반세기 만의 인종말살전쟁으로 비화되면서 국제적 파문을 일으켰지만, 별로 건질 것이 없는 보스니아 내전에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은 굼뜬 반응만을 보여주면서 비극은 확산되었다. 이는 국제사회가 인의도덕보다 냉정한 실리에 움직이는 세계라는 점을 너무나 극명히 보여주었다. 더욱이 '인도적'이라는 이름을 걸고 내전에 직접개입해 병력은 파병하고 지나치게 '인도적'이라는 명분에 목을 매면서 중립을 지켜 사태악화에 일조하는 무능함까지 보여주었다.

내전은 무슬림계, 크로아티아계가 연합해 세르비아계에 대항하는 구조였다. 아주 잠깐 크로아티아계가 무슬림계에 전쟁을 선포하기는 했으나 본국인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계 민병대와 유고 연방군에 영혼까지 털리느냐 마느냐의 상황에 처해있었던데다 세르비아계가 보스니아에서 무슬림계와 크로아티아계를 박멸하느냐 마느냐의 상황이었기 때문에 금세 화해하고 세르비아계에 대항했다. 그러나 NATO군이 직접 개입하기 전까지 세르비아계 민병대와 유고 연방군에게 처절할 정도로 발렸다. 그나마 박멸당하지 않았던 이유는 UN평화유지군 및 NATO가 민간인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해주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이 본격적으로 반격을 시작한 것은 국제사회의 비난에 어쩔 수 없이 NATO가 무슬림계, 크로아티아계를 적극 지원하기 시작한 이후다.

결국 갈등이 수습되지 않고 계속 커지자 보다못한 미국이 나서서 무력중재에 돌입했다. 먼저 세르비아계 민병대의 주요거점에 집중폭격을 가해 크로아티아계, 무슬림계가 세르비아계 민병대와 유고 연방군에 반격을 할 수 있게 도와 전세를 바꾼후, 러시아, 독일 등을 끼워넣어 구색을 맞춘 UN의 조정을 거쳐 1995년 데이턴 협정에 따라 휴전 및 내전종식이 합의되었다. 이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해체되고 보스니아계 무슬림의 공화국과 세르비아계의 스르프스카 공화국 등 2개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 공화제가 국체(國體)로 선택되었으나, 옆나라인 신(新)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상황이 요동칠 때마다 보스니아 정국도 불안해졌다.

사실 데이턴 협정의 핵심내용은 '이 협정을 어길 경우 어긴 놈은 미국과 NATO가 아주 영혼까지 부숴버릴거야'라는 협박이다. 협정조인 자체가 미국에서, 그것도 아주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분쟁 당사자들이 조인한 것이다. 그래서 그 후 충분히 내전이 재발할 수 있는 상황이 여러차례 있었지만 내전이 재발하지않고 국가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5 현재

신 유고 연방이 밀로셰비치 통치를 지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이어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찢어지면서 보스니아도 가까스로 안정을 되찾는듯 보이나, 주변국들에 비하면 경제사정은 몹시 열악하고 세르비아계의 인종학살에 따른 인도적 재판과 복구, 뒷처리 문제도 국가적 과제로 남아있다.

참고로 유럽쪽에서 20세기 역사를 두고 종종하는 농담이 "1차대전 이후 모든게 완전히 바뀌었지만 보스니아가 세르비아 땅이 아니라는 사실만은 변하지 않았다"이다. 안습 세르비아(...)
  1. http://en.wikipedia.org/wiki/Bosnian_crisis